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패널조사 개요

  • HOME
  • 패널조사 개요
  •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

조사 배경 및 목적

  • 한국사회에 다문화적 배경을 지닌 사람들이 증가하게 됨에 따라 다문화가정의 자녀도 점차 증가하고 있음. 행정자치부 기준 2017년도 외국인주민자녀의 수는 222,450명이고, 교육부 기준 2017년도 다문화가정 학생의 수는 109,387명으로 이는 매년 증가되어 왔고, 최근 들어 증가하고 있는 중도입국청소년과 외국인근로자자녀의 추세를 고려하면 향후 다문화배경을 지닌 청소년의 수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음.
  • 다문화청소년 중 현재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집단은 국내에서 출생하고 성장한 국제결혼가정의 자녀로, 그 특성이 배경에 따라 매우 다양함. 그럼에도 불구하고 각 정부부처와 민간단체, 연구자 등 사회 전반에서 다문화가정 자녀의 부족한 측면에 근거한 지원의 필요성을 강조한 결과, 다문화청소년들이 한국가정 출신의 청소년들에 비해 발달적 측면에서 부족하고 결핍된 존재로 인식되는 사회적 현상을 초래하였음. 이에 다문화청소년의 발달 특성에 대한 보다 객관적이고 면밀한 분석 없이 이들에 대한 사회적 고정관념이 강화되는 현상이 지속될 경우 한국사회의 사회적 통합에 저해요소로 작용될 가능성이 있고, 다문화청소년 개인적으로도 부정적 자아상을 내면화시키는 등 바람직하지 못한 결과가 나타날 수 있다는 문제의식으로부터 본 조사가 시작되었음.
  • 이러한 문제의식으로부터 시작하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는 다문화청소년의 발달을 종단적으로 추적하고 비(非)다문화 청소년과의 비교를 통해 다문화청소년에 대한 보다 객관적인 특성을 파악하고자 2011년부터 다문화청소년과 그들의 부모를 대상으로 패널을 구축하여 2020년까지 총 10개년에 걸친 종단조사를 실시하였음. 또한 2019년부터 새로운 패널을 구축하여 2019년과 2020년 총 2개년에 걸친 종단조사를 실시하였음.
  • 이 조사에서는 다문화가정자녀의 배경특성, 학교생활영역, 심리사회적응영역, 신체발달영역, 부모자녀관계영역, 정책지원영역 등 다양한 영역에 대한 종합적 조사가 이루어졌고, 1기 패널 2020년 조사에서는 다문화청소년의 현재 다양한 진로 상태에 초점을 맞추어 조사를 실시하였음. 1기 패널 2020년 조사에서는 학부모 조사는 대폭 축소하여 진행됨. 2기 패널은 기존 패널 조사항목과 유사하나 대상자의 특성을 반영한 항목이 일부 추가되었음. 매년 조사결과를 기초로 한 정책 연구가 함께 이루어졌음.

조사 연혁

  • 1기 패널: 본 조사는 2011년부터 2020년까지 총 10회 조사가 진행됨(조사 주기 : 1년)
  • 2기 패널: 2019년 새로운 패널을 구축하여 2019년부터 2020년까지 총 2회 조사가 진행됨(조사 주기: 1년)
조사연혁의 2019년(9차 본조사), 2018년(8차 본조사), 2017년(7차 본조사), 2016년(6차 본조사), 2015년(5차 본조사), 2014년(4차 본조사), 2013년(3차 본조사), 2012년(2차 본조사), 2011년(1차 본조사), 2010년(예비조사)에 대한 정보 테이블입니다.
11 2020년(1기 코호트: 10차 본조사, 2기 코호트: 2차 본조사)
  • 사업명: 2020 다문화청소년 종단연구
  • 1기 패널: 1,095가구
  • 2기 패널: 2,054가구(기존 2,028가구, 추가구축 26가구)
  • 조사표 일부 문항 변경 → 통계변경승인 진행
10 2019년(1기 코호트: 9차 본조사, 2기 코호트: 1차 본조사)
  • 사업명 : 다문화청소년 종단연구 2019
  • 1기패널: 1,169가구(학생 1,178명, 학부모 1,145명)
  • 2기패널: 2,223가구 패널 구축
  • 조사표 일부 문항 변경 및 패널 추가 구축→ 통계변경승인 진행
9 2018년(8차 본조사)
  • 사업명 : 다문화청소년 종단연구 2018
  • 1,220가구(학생 1,229명, 학부모 1,197명)
  • 조사표 일부 문항 변경 → 통계변경승인 진행
8 2017년(7차 본조사)
  • 사업명 : 다문화청소년 종단조사 및 정책방안 연구V
  • 1,268가구(학생 1,277명, 학부모 1,244명)
  • 조사표 일부 문항 변경 → 통계변경승인 진행
7 2016년(6차 본조사)
  • 사업명 : 다문화청소년 종단조사 및 정책방안 연구 Ⅳ
  • 1,322가구(학생 1,335명, 학부모 1,304명)
  • 조사표 일부 문항 변경 → 통계변경승인 진행
6 2015년(5차 본조사)
  • 사업명 : 다문화청소년 종단조사 및 정책방안 연구 Ⅲ
  • 1,338가구(학생 1,350명, 학부모 1,330명)
  • 조사표 일부 문항 변경 → 통계변경승인 진행
5 2014년(4차 본조사)
  • 사업명 : 다문화청소년 종단조사 및 정책방안 연구 Ⅱ
  • 1,371가구(학생 1,384명, 학부모 1,361명)
  • 조사표 일부 문항 변경 → 통계변경승인 진행
4 2013년(3차 본조사)
  • 사업명 및 조사명 변경
    • 사업명 : 다문화청소년 종단조사 및 정책방안 연구 Ⅰ
    • 조사명 : 다문화청소년 패널조사(MAPS)
  • 1,433가구(학생 1,446명, 학부모 1,426명)
  • 조사표 일부 문항 변경
  • 대체양육자용 조사표 추가
  • 국가승인(협의)통계로 지정(승인번호 : 제402003호)
3 2012년(2차 본조사)
  • 사업명 : 다문화가족 아동·청소년의 발달과정 추적을 위한 종단연구 Ⅲ
  • 조사명 : 다문화가족 아동·청소년 패널조사(MCAPS)
  • 1,490가구(학생 1,502명, 학부모 1,484명)
  • 조사표 일부 문항 변경
2 2011년(1차 본조사)
  • 사업명 : 다문화가족 아동·청소년의 발달과정 추적을 위한 종단연구 Ⅱ
  • 조사명 : 다문화가족 아동·청소년 패널조사(MCAPS)
  • 1,625가구(학생 1,635명, 학부모 1,625명)
1 2010년(예비조사)
  • 사업명 : 다문화가족 아동·청소년의 발달과정 추적을 위한 종단연구 Ⅰ
  • 학생 416명, 교사 215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 실시

조사 대상

  • 다문화청소년 패널 구축 당시 초등학교 4학년에 재학 중인 다문화청소년과 그들의 어머니를 조사 대상으로 함
  • 1기 패널: 다문화청소년의 정의는 국제결혼가정자녀, 중도입국청소년, 외국인자녀 등을 모두 포함하고 있고, 본 연구에서도 국제결혼가정자녀에 한정하고자 한 것은 아니나 모집단 분포에서 국제결혼가정자녀가 대다수이기에 결과적으로 본 패널의 경우 국제결혼가정자녀가 주요 대상이라고 할 수 있음
  • 2기 패널: 본 연구에서 의미하는 다문화청소년은 교육부의 다문화학생의 정의에 근거하는 대상자들로, 국제결혼가정자녀, 중도입국청소년, 외국인자녀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임.
    • 국제결혼가정자녀: 한국인과 외국인 배우자가 결혼한 가정 자녀 중 국내에서 출생한 자녀
    • 중도입국청소년: 한국인과 외국인 배우자가 결혼한 가정 자녀 중 외국에서 태어나 일정 기간 성장한 이후 국내에 입국한 자녀
    • 외국인자녀: 외국인 사이에서 출생한 자녀 (교육부, 한국교육개발원(2018)의 정의 인용)
  • 어머니의 가출, 사망 등으로 조사가 불가능한 경우, 대체양육자(주양육자)와 조사 진행함

조사 방법

  • 1기 패널 1~8차는 CAPI(Computer Assisted Personal Interviewing)로 진행됨
  • 1기 패널 9~10차와 2기 패널 1~2차는 TAPI((Tablet Assisted Personal Interviewing)로 진행됨
  • 조사 시 사용 언어
조사 방법 - 1기, 2기
1기 2기
학부모(어머니) 한국어 및 9개 외국어(외국어 밑에 한국어 함께 제시) 한국어 및 1차년도 9개 외국어/2차년도 8개 외국어(1차년도 번역본 활용도를 고려하여 2차년도에 9개 외국어로 줄어듬)
청소년 한국어 한국어 외 5개 외국어

조사 모형

  • 2011년 초등학교 4학년에 재학 중인 다문화청소년 및 그들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구축되었으며, 동일한 대상을 후기청소년까지 조사를 진행하는 것으로 설계함
  • 2019년 초등학교 4학년에 재학 중인 다문화청소년 및 그들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구축되었으며, 동일한 대상을 후기청소년까지 조사를 진행하는 것으로 설계함
  • 종단비교 분석을 통해 집단의 특성과 성격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어떻게 변화해 가는지를 분석할 수 있음

조사 내용

청소년용 설문조사 내용 : [ ]속의 년도는 해당 문항이 추가로 설문에 포함된 시기

<표 1> MAPS 청소년용 설문조사 내용 분류(1~9차년도)

MAPS 청소년용 설문조사 내용 분류의 대분류, 소분류, 조사항목에 대한 정보 테이블입니다.
대분류 소분류 조사항목
다문화적 특성 언어능력 부모의 외국인 여부, 외국 출신 부모의 한국어 실력, 부모와의 의사소통 시 사용 언어, 부모 간 의사소통 시 사용 언어, 한국어 실력, 사용가능한 외국어, 외국 출신 부모 나라 언어실력
이중문화 경험 국적에 대한 인식, 외국 출신 부모 나라 방문 여부, 외국 출신 부모 가족의 한국 방문 경험 여부, 외국 출신 부모 나라에 대한 관심 정도, 문화적응 스트레스, 국가정체성, 이중문화수용태도, 다문화수용성[2012], 다문화가족 자녀임을 알렸는지 여부[2012]
다문화지원정책에 대한 태도 다문화가족 관련 지원 여부[2012], 선호하는 지원방식[2012], 향후 원하는 지원내용[2012]
개인 특성 신체 건강상태, 신체만족도
사회·정서·행동 자아존중감, 자아탄력성, 삶의 만족도, 우울[2012], 사회적 위축[2012], 비행[2013], 현재 고민 및 걱정거리[2017]
인지 학교성적, 성취동기, 성적에 대한 만족도
진로 결정 희망 직업, 직업선택 시 주요 고려사항, 진로태도[2014], 진로에 대해 의논하는 사람[2014], 희망 교육수준, 중학교 졸업 후 계획[2016], 진로장벽[2016], 부모님 진로관련 행동[2016], 고등학교 졸업 후 계획[2017], 학교 진로교육 활동 참여 및 참여 만족도[2017], 학교 진로교육 활동 전반적 만족도[2017], 아르바이트 경험[2017]
환경적 특성 부모와의 관계 가족의 지지, 부모님의 지지[2014], 부모에 대한 생각, 부모의 양육태도, 부모님과 활동 및 대화[2017]
친구 친한 친구 수, 친구의 지지, 교우관계(적응), 집단 괴롭힘 피해 경험
학교생활 학교생활의 어려운 점, 학교공부의 어려운 점, 학습활동(적응), 교사의 지지, 교사와의 관계(적응), 학교 내에서 어려운 일 발생 시 도움을 주는 어른이 있는지 여부, 고등학교 생활[2017]
지역사회 지지망 학교 밖에서 어려운 일 발생 시 도움을 주는 어른이 있는지 여부, 거주지역에 대한 인식
학업 중단 요인 생활 및 태도[2014], 친구 및 선후배의 영향[2014]
학습 활동 교과목 관련 학습 활동 시간[2014], 특기적성 활동 시간[2014]

<표 2> MAPS 청소년용 설문조사 내용 분류(10차년도)

MAPS 청소년용 설문조사 내용 분류의 대분류, 조사항목에 대한 정보 테이블입니다.
대분류 조사항목
배경특성 혼인상태, 부모님과 동거 여부, 가정의 생활비 마련 주체 및 부담 정도, 개인 생활비 마련 주체 및 부담 정도
대학진학 2020년 대학 진학 여부, (미진학인 경우)미진학 사유, 올해 입학한 대학교, 대학 전공계열, 학부 또는 학과(전공), 입학한 모집유형, 입학한 전형방법, (특별전형인 경우)지원자격, 대학 및 전공계열/학과 선택에 영향을 준 것, 대학입학과 관련한 항목들에 대하여 가장 많은 영향을 준 사람, 현재 대학 학적상태, 2020년 1학기 등록금 마련 방법, 등록금 마련에 대한 부담 정도, 대학 생활에 대한 생각
대학진학 준비 2021학년도 대학 입시 준비 여부, 2021학년도 대학 입시 준비 이유, 진학하고자 하는 대학 종류, 대학진학 준비를 위해 하는 활동, 대학진학 준비를 위해 발생하는 사교육 비용에 대한 부담 정도
일경험 지난 1주간 수입을 목적으로 일(아르바이트) 여부, (한 경우) 일의 개수, (안 한 경우) 최근 한 달 내 일 여부, 종사상 지위, 일의 종류, (특성화고 졸업자만) 가장 많은 시간 일하고 있는 일의 특성화고 전공과 관련 여부, 일의 직장 소재지, 주당 평균 근로일수/일 평균 근무 시간, 월 평균 총 소득, 주로 하고 있는 일에 대한 만족도
취·창업준비 및 교육훈련 취업 또는 창업 준비 여부, 취업을 위한 항목별 준비 여부, 취업에 관한 정보 수집 경로, 준비하고 있는 취업 일자리 직종, 준비하는 취업 일자리, 창업을 위한 항목별 준비 여부, 창업에 관한 정보 수집 경로, 준비하고 있는 창업의 업종, 준비하는 창업, 1개월 이상 교육훈련 여부/교육훈련 종류/교육훈련 기간/교육훈련 제공 기관
구직활동 지난 한달 간 취업(아르바이트 제외)를 위한 원서접수 및 면접 등의 구직활동 여부, (안 한 경우) 구직 활동을 하지 않은 주된 이유, 학력과 능력에 맞는 일자리/직장이 있을 경우 일 할 의향, 현재 주로 하는 일, (그냥 쉬는 경우)그냥 쉬고 있는 이유
기타 영역/공통 문항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도, 우울, 주관적 건강상태, 차별 받은 경험 및 차별 받은 후의 대응, 다문화가정의 자녀라는 이유로 향후 사회진출과정에서 차별/불이익을 받을 가능성, 직업 선택 시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 한국사회에 대한 생각, 희망하는 학력 수준, 다문화가정 자녀 특별지원정책 필요성, 청년 관련 정책에 대한 인지도/이용 경험/이용의 도움 정도
군복무 (남자만) 군복무 여부,(복무 시)입대 시기,(미복무 시)입대 예정 계획, 군복무 만족도 및 전역 후 계획

학부모용 설문조사 내용 : 표시가 있는 항목은 외국인학부모에게만 조사한 설문문항임.

<표 3> MAPS 학부모용 설문조사 내용 분류(1~9차년도)

MAPS 학부모용 설문조사 내용 분류의 대분류, 소분류, 조사항목에 대한 정보 테이블입니다.
대분류 소분류 조사항목
배경변인 가족 특성 혼인상태, 월평균 소득수준, 주요 소득원, 주관적 가정형편
다문화적 특성 언어능력

모국어, 한국에서 거주한 기간, 한국어 공부 경험, 한국어 수준

이중문화 경험 걱정거리를 의논할 수 있는 사람, 한국생활이 모국문화와 달라서 어려운 점, 국적 정체성, 주로 어울리는 사람, 모국음식을 자주하는 정도, 주로 따르는 가치관, 모국에 대한 생각, 평소에 말을 할 때 사용하는 언어, 평소에 글을 쓸 때 사용하는 언어, 문화적응 스트레스, 문화적응 유형[2012]
다문화지원정책에 대한 태도 자녀가 다문화가족지원을 받은 경험[2012], 선호하는 지원방식[2012], 선호하는 지원의 종류[2012]
개인 및 환경특성 어머니의 신체적.심리적 특성 자아존중감, 일상생활 스트레스, 전반적 건강, 심리적·신체적 건강, 개인주의·집단주의 가치[2012]
자녀 교육 관련 특성 5~7세경 주양육자, 자녀교육 관련 주 의사결정자, 자녀의 학교 교육에 대한 도움 정도, 자녀의 학교문제나 숙제지도를 주로 하는 사람, 자녀의 성적향상을 위한 노력, 자녀의 학교생활을 위해 하는 활동, 자녀 재학 학교의 다문화가족 관련 프로그램 진행 여부, 지원프로그램의 제공 장소 선호도, 선호하는 자녀 교육방식, 학교 다문화가족 학부모 교육 경험, 자녀가 가족 외의 사람에게 한국어를 배운 경험[2012], 방과후 교육(사교육 포함) [2014], 특기적성 교육[2017]
자녀 진학·진로 지도 관련 특성 희망하는 자녀의 교육수준, 자녀의 장래 직업의 종류에 대한 기대, 자녀가 나중에 갖기 원하는 직업[2016], 자녀 진로지원 행동[2016], 자녀의 진로지도와 관련한 지원요구[2016], 자녀의 진로진학 설명회 참석[2017]
양육 관련 특성 자녀 지도 시 어려운 점[2014], 부모효능감, 자녀와 대화 시 사용언어, 자녀와의 의사소통 정도, 자녀가 잘하기 바라는 언어, 자녀가 한국어와 모국어 외에 배우기 바라는 언어, 자녀 지도 시 어려운 점[2014], 자녀가 한국어 외 잘하기 바라는 언어[2017], 자녀가 한국어와 모국어 외 잘하기를 바라는 언어[2017]

<표 4> MAPS 학부모용 설문조사 내용 분류(10차년도)

MAPS 학부모용 설문조사 내용 분류의 대분류, 조사항목에 대한 정보 테이블입니다.
대분류 조사항목
사회에 대한 인식 한국사회에 대한 인식, 교육관행
환경 특성 월평균 소득수준, 가정형편

2기 패널

청소년용 설문조사 내용 : [ ]속의 년도는 해당 문항이 추가로 설문에 포함된 시기

<표 5> MAPS 청소년용 설문조사 내용 분류(1~2차년도)

MAPS 청소년용 설문조사 내용 분류의 대분류, 소분류, 조사항목에 대한 정보 테이블입니다.
대분류 소분류 조사항목
다문화적 특성 언어환경 부모의 외국인 여부, 외국출신 부모님의 한국어 능력, 외국부모와의 의사소통 시 사용언어, 외국출신 부모님 나라의 언어를 하도록 하기 위해 하는 활동, 외국출신 부모나라 언어실력
이중문화경험 문화적응 스트레스, 한국에 대한 생각, 이중문화수용태도, 외국출신부모 나라 방문여부(국내출생만 해당), 국가정체성
개인 특성 신체적, 정신적 특성 신체적, 정신적 건강 상태
정서·행동적 특성 스트레스, 절망감,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도, 고민/걱정거리
학업·성취 관련 특성 희망 학력, 장래 희망 직업, 졸업 후, 일하고 싶은 국가, 미래 대한 대화 정도(대상별)
환경적 특성 가정환경 부모의지지, 부모의 양육태도, 부모님과 대화 정도, 부모님과 보내는 시간, 평일 방과 후 어른이 없이 있는 시간, 가정형편***
학교환경 친한 친구의 수(국내출생만 해당), 교우관계(적응), 학교 생활(적응), 학교생활의 어려운 점, 친구와 생활 시 어려운 점, 학교공부의 어려운 점, 지난 학기 전 과목 성적, 성적에 대한 만족도, 교사와의 관계(적응), 집단괴롭힘 피해경험, 학교 내에서 도움을 주는 어른이 있는지 여부
지역사회 환경 학교 밖에서 도움을 주는 어른이 있는지 여부, 차별 경험(여부, 대상, 대응), 차별에 대한 생각
기타*** 방과후 생활 방과 후 활동, 문화생활, 스포츠 관람, 레저시설 이용 등
외국 출신 배경* 본국환경** 한국에 들어오기 전 학교를 다녔는지 여부, 다닌 경우, 몇 학년까지 다녔는지, 학교 출석 정도, 다니지 않은 경우, 다니지 않은 이유
입국 후 환경** 한국에서 처음 초등학교 입학 학년, 한국에 들어온 후, 초등학교 입학 전에 주로 한 활동, 한국에 입국 한 후, 초등학교 입학 전에 한국어를 배운 경험 여부, 학생의 한국어 실력, 친한 친구(한국 친구, 출생국이 같은 친구, 다른 나라 친구, 어느 나라 출신인지 잘 모르는 친구)
향후 희망 거주 형태 (한국 국적이 아닌 경우만) 한국 국적 취득 희망 여부, 향후 한국에서 계속 살고 싶은지 의향, (계속 살고 싶지 않은 경우만)한국에서 계속 살고 싶지 않은 이유
  • * 외국출생 학생에만 해당하는 문항임
  • ** 한국입국 전, 한국 입국 후 경험은 1차년도만 조사한 문항임.
  • ***1차년도만 조사한 문항임.

학부모용 설문조사 내용

<표 6> MAPS 한국인 학부모용 설문조사 내용 분류(1~2차년도)

MAPS 한국인 학부모용 설문조사 내용 분류의 대분류, 소분류, 조사항목에 대한 정보 테이블입니다.
대분류 소분류 조사항목
개인 및 환경 특성 자녀교육 및 양육 관련 특성 자녀와 대화 시 사용언어*, 자녀와의 의사소통 정도*, 초등학교 입학 전 자녀 주양육자**, 자녀교육관련 주 의사결정자, 자녀가 한국 입국 전 떨어져 산 기간* **, 입국 후 초등학교 입학까지의 소요 기간* **, 자녀의 학교 교육에 대한 도움 정도, 자녀가 학교에서 어려운 일이 생겼을 때 도와주는 사람, 자녀의 성적 향상을 위한 행동, 자녀의 학교생활을 위해 하는 활동, 희망하는 자녀의 교육수준, 자녀의 향후 한국 거주 계획, 자녀가 장래에 가졌으면 하는 직업, 희망하는 자녀 교육 방식, 사교육 경험, 자녀 양육 시 어려운 점, 부모효능감
심리적 특성 자아존중감, 걱정거리를 의논할 수 있는 사람
신체적 특성 전반적인 건강상태
가족특성 배우자와의 결혼상태, 월평균 소득수준, 주요 소득원, 가정형편
다문화적 특성 지원정책에 대한 태도 지원 프로그램의 제공 장소 선호도, 자녀가 서비스를 지원받은 경험 및 도움 정도, 다문화 청소년에 대한 특별 지원의 필요성
  • * 외국출생 학생의 학부모에만 해당하는 문항임
  • **1차년도만 조사한 문항임.

<표 7> MAPS 외국인 학부모용 설문조사 내용 분류(1~2차년도)

MAPS 외국인 학부모용 설문조사 내용 분류의 대분류, 소분류, 조사항목에 대한 정보 테이블입니다.
대분류 소분류 조사항목
배경변인 배경정보 모국어, 한국어 수준, 한국어 공부 여부
개인 및 환경 특성 자녀교육 및 양육 관련 특성 자녀와 대화 시 사용언어, 자녀와의 의사소통 정도, 자녀의 어머니 모국어 정도, 초등학교 입학 전 자녀 주양육자**, 자녀가 한국 입국 전 떨어져 산 기간***, 자녀교육관련 주 의사결정자, 입국 후 초등학교 입학까지의 소요 기간***, 자녀의 학교 교육에 대한 도움 정도, 자녀가 학교에서 어려운 일이 생겼을 때 도와주는 사람, 자녀의 성적 향상을 위한 행동, 자녀의 학교생활을 위해 하는 활동, 희망하는 자녀의 교육수준, 자녀의 향후 한국 거주 계획, 자녀가 장래에 가졌으면 하는 직업, 희망하는 자녀 교육 방식, 사교육 경험, 자녀 양육 시 어려운 점, 부모효능감
심리적 특성 자아존중감
신체적 특성 전반적인 건강상태
이중문화 관련특성 이주민이라는 이유로 차별을 받은 경험, 걱정거리를 의논할 수 있는 사람, 주로 어울리는 사람, 한국생활이 모국문화와 달라서 어려운 점, 문화적응스트레스, 문화적응유형
가족특성 배우자와의 결혼상태, 월평균 소득수준, 주요 소득원, 가정형편
다문화적 특성 지원정책에 대한 태도 지원 프로그램의 제공 장소 선호도, 자녀가 서비스를 지원받은 경험 및 도움 정도, 다문화 청소년에 대한 특별 지원의 필요성
  • * 외국출생 학생의 학부모에만 해당하는 문항임
  • **1차년도만 조사한 문항임.

배경특성 조사영역

거주시도, 청소년성별, 청소년연령, 청소년학교진학상태, 부모연령, 부모교육수준, 부모직업, 부모출신국

조사영역과 데이터 공개영역은 다를 수 있음.

문의하기

이메일maps@nypi.r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