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 정서인식능력이 중학생 정서인식능력에
미치는 영향: 긍정적 양육태도와 부모-자녀
대화시간의 조절된 매개효과
- Alternative Title
- The impact of parents’ emotional awareness on middle
school students’ emotional awareness: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and
parent-child communication time
- Abstract
- 본 연구는 부모의 정서인식능력이 긍정적 양육태도를 매개로 하여 학생의 정서인식능력에 미치는 영향과 부모-자녀 대화시간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중학생의 정서인식능력 증진을 위한 부모교육 및 개입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수행한 한국 아동·청소년패널조사(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의 4차년도(중1)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이 데이터에는 부모와 학생의 정서인식능력에 대한 특별문항이 포함되어 있으며, 부모와 학생 모두의 정서인식능력에 응답한 2,270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남학생 1,142명, 50.3%). 분석은 Process Macro Model 4, Model 1, Model 7을
통해 각각 매개효과, 조절효과,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으며, 부트스트래핑을 활용하여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긍정적 양육태도는 부모의 정서인식능력과 학생의 정서인식능력 간의 관계를 유의하게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정서인식능력과 긍정적 양육태도 간의 관계에서 부모-자녀 대화시간이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특히 부모-자녀
대화시간이 적을 때, 부모의 정서인식능력이 긍정적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부모의 정서인식능력이 긍정적 양육태도를 매개하여 학생의 정서인식능력에 미치는 영향이 부모-자녀 대화시간에 따라 조절되는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부모의 정서인식능력 수준에 따른 차별적 접근의 필요성을 시사하며, 부모교육에서 정서인식능력과 양육행동을 통합적으로 다루는 접근 방식과 청소년기 자녀를 둔 부모를 위한 맞춤형 의사소통 훈련의 중요성을 제시한다.
- Author(s)
- 최은영
- Issued Date
- 2025-05-31
- Type
- Article
- Keyword
- 부모 정서인식능력; 중학생 정서인식능력; 긍정적 양육태도; 부모-자녀 대화시간; 조절된 매개효과
- DOI
- 10.14816/sky.2025.36.2.59
- URI
- https://www.nypi.re.kr/repository/handle/2022.oak/6438
- Publisher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Appears in Collections:
- 정기간행물 > 한국청소년연구
- 공개 및 라이선스
-
- 원문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