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YPI

어머니의 마음챙김양육과 아동의 마음챙김, 학업성취압력인식이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impact of maternal mindful parenting, children’s mindfulness, and recognition of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on academic stress
Abstract
본 연구는 스트레스의 역동적 상호작용 모델에 근거하여 아동의 학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적 요소를 분석했다. 개인적 변인으로 아동의 마음챙김, 환경적 요인으로 학업성취압력인식을 다뤘으며 특히 어머니의 마음챙김양육이 이들 요소와 학업스트레스 간의 관계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규명하고자 했다. 이에 초등학교 6학년 아동과 그의 어머니 총 201쌍을 질문지 조사하여 기술통계분석,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CFA), 구조방정식모형 분석(SEM), 부트스트랩 방식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마음챙김은 학업스트레스에 직・간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학업스트레스와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은 부적 영향을, 학업성취압력인식은 정적 영향을 미쳤다. 즉, 마음챙김 수준이 높을수록 학업스트레스는 감소한 반면, 학업성취압력인식 수준이 높을수록 학업스트레스가 증가했다. 또 마음챙김은 학업성취압력인식을 매개로 학업스트레스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정리하면, 마음챙김은 자신의 자원과 환경에 대한 아동의 올바른 인지를 강화하여 직접적으로 학업스트레스 감소 효과에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아동의 학업성취압력인식을 완화함으로써 학업스트레스를 약화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어머니의 마음챙김양육은 아동의 마음챙김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 마음챙김을 매개로 학업성취압력인식과 학업스트레스 감소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어머니의 마음챙김양육을 통해 아동의 마음챙김을 강화하는 것이 학업성취압력인식과 학업스트레스 완화에 유의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아동의 학업스트레스 완화와 건강한 대처 전략 수립을 위해, 어머니의 마음챙김양육을 통한 아동의 마음챙김 역량을 키우는 필요와 효용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학업적 수요와 자원 간의 인지적 불균형 상황에서 학업스트레스가 유발되는 이론에 근거하여 아동의 학업스트레스 해소에 실효성 있는 방안을 논의하고자, 아동 중심의 정서-집중적 대처 방안의 기조로 마음챙김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학업스트레스와 관련 변인의 인지적 평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마음챙김의 기능을 밝혀 아동의 학업스트레스에 대한 인지 변인 연구의 확장과 의미를 제시하며, 또한 국내에서 거의 연구되지 않은 마음챙김양육 변인을 함께 검토하여 아동의 학업스트레스 문제에 다각적으로 접근한 의의를 지닌다.
Author(s)
전미지최나야
Issued Date
2025-02-28
Type
Article
Keyword
학업스트레스학업성취압력인식마음챙김마음챙김양육
DOI
10.14816/sky.2024.36.1.55
URI
https://www.nypi.re.kr/repository/handle/2022.oak/6386
Publisher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Appears in Collections:
정기간행물 > 한국청소년연구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원문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