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청소년종합실태조사
- Table Of Contents
- Ⅰ. 조사 개요 3
1. 조사 목적 3
2. 조사 연혁 5
3. 조사 체계 5
3-1. 조사 대상 5
3-2. 조사 기간 5
3-3. 조사 방법 5
3-4. 조사 기관 6
3-5. 조사시행 근거 법률 및 국가승인통계 내역 6
4. 표본 설계 6
4-1. 모집단 분석 6
4-2. 표본 설계 9
5. 조사 내용의 구성 22
5-1. 조사 영역 및 주요 측정 내용의 구성 22
5-2. 조사 문항 및 내용 23
Ⅱ. 조사 결과 분석 31
1. 주관적 웰빙 및 일상생활 만족도 31
1-1. 주관적 웰빙 31
1-2. 일상생활 만족도 34
1-3. 코로나로 인한 삶의 변화 37
1-4. 디지털 기술 발전으로 인한 삶의 변화 49
2. 건강 54
2-1. 수면 54
2-2. 식습관 및 신체활동 64
2-3. 정신 건강 72
2-4. 주관적 건강 평가 및 자존감 84
3. 부모와의 관계 및 지원 기대 인식 99
3-1. 부모와의 대화 및 활동 99
3-2. 부모와의 대화 시간 103
3-3. 부모와의 돌봄 및 지원기대 106
4. 참여·권리 및 사회의식 115
4-1. 의견존중 인식 및 청소년증 발급 115
4-2. 자기의존지향성 및 참여경험 121
4-3. 결혼 및 성역할의식, 다문화수용성 128
4-4. 사회관 및 사회문제인식, 사회문제 위험인식 134
5. 학습과 활동 144
5-1. 학습 144
5-2. 활동 경험 156
5-3. 학업 중단 경험 184
5-4. 대학 입학 이후 경험 198
6. 진로 및 직업탐색 204
6-1. 진로 교육 및 체험활동 204
6-2. 장래 희망 직업 208
7. 사회진입 및 이행 226
7-1. 아르바이트, 취업 및 구직활동 여부 226
7-2. 취업 내용 239
7-3. 부당행위 경험 250
Ⅲ. 주요 결과 요약 및 제언 263
1. 주요 결과의 요약 263
2. 조사 개선을 위한 제언 305
참 고 문 헌 311
부 록 315
1. 분석 결과 부표 315
2. 주요 지표 상대표준오차 318
3. 2023년 청소년 조사표 변경내역 323
4. 조사표 4종 349
- Publisher
- 여성가족부
-
Appears in Collections:
- 연구보고서 > 수탁연구보고서
- 공개 및 라이선스
-
- 원문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