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YPI

디지털시대, 디지털 문해력 개념의 확장

Metadata Downloads
Table Of Contents
Ⅰ. 연구배경과 목적
1. 연구배경과 필요성 3
1) 디지털 대전환에 따른 학교교육을 둘러싼 환경변화 3
2) 디지털 문해력 교육의 국가 정책적 필요성 대두 8
2. 연구의 목적과 방향성 12

Ⅱ. 디지털 문해력 개념 및 요소 도출
1. 미디어 기술 발전 맥락에서 문해력 개념의 발전 17
1) 문해력(Literacy)의 개념 17
2) 문해력(Litearcy)과 미디어기술 18
2. 문해력의 다차원적 접근에 대한 선행연구 22
1) 디지털 문해력의 학문적 세 갈래 22
2) 미디어 문해력 관점의 접근 22
3) 컴퓨터 교육학 관점의 접근 27
4) 디지털 시민주의 관점의 접근 36
3. 디지털 문해력 개념과 하위 역량 요소 구성 41
1) 미디어 문해력에서 디지털 문해력으로의 확장 41
2) 디지털 문해력의 개념 41
3) 디지털 문해력을 구성하는 역량차원에 대한 기존 논의 43
4. 융합적 개념으로서 디지털 문해력 개념적 체계 제안 52
1) 확장된 디지털 문해력 프레임워크 52
2) 디지털 문해력 개념적 체계에 기반한 하위 차원 구성 요소의 정의 54
3) 디지털 문해력 프레임워크의 디지털 교육 적용과 활용에서의 유연성 60

Ⅲ. 해외 디지털 문해력 교육사례
1. EU 65
1) 디지털 대전환에 대응하는 EU디지털 전략 65
2) 디지털시민 역량 강화를 위한 전략: DigComp Framework 67
3) 교육자를 위한 디지털역량 프레임워크(DigCompEdu) 72
4) 유럽연합의 디지털 교육 액션 플랜(Digital Education Action) 2021-2027 74
2. UNESCO 78
1) UNESCO의 디지털 문해력 교육 전략 78
2) 유네스코의 미디어 정보 문해력(Media Information Literacy) 78
3) UNESCO의 AI문해력 교육방안 : K12-AI 커리큘럼 80
4) 2020-2025 청소년과 성인을 위한 리터러시 함양 전략(UNESCO, 2019) 82
5) 디지털 문해력 글로벌 프레임워크 83
3. 미국 85
1) 법적 체계 정비 85
2) 민간단체 활동 86
3) 학교 교육 사례 : 미국의 AI4K12(The ArtificalIntelligence for K-12 initiative) 90
4. 해외 사례에서의 시사점 92

Ⅳ. 국내 디지털 문해력 교육 진단
1. 디지털 문해력의 관련 법 및 제도 마련 미비 99
1) 디지털 문해력 관련 법적 제도 현황 99
2) 지방자치단체의 비체계적 디지털 문해력 교육 관련 조례 102
3) 현황진단과 시사점 105
2. 국가 차원의 정책 거버넌스 부재 106
3. 분산된 공공기관의 디지털 문해력 교육 사업과 자원 107
4. 디지털 문해력의 교과과정 반영 문제 108
1) 국내 교과과정에서 디지털 문해력의 반영 현황 108
2) 디지털 문해력의 교육과정 반영에 대한 현황진단 115
5. 이해관계자의 국내 디지털 문해력 교육 진단 116
1) 이해관계자의 국내 디지털 문해력 교육 진단 방법 116
2) 디지털 문해력 교육의 현황 진단 117
3) 국내 디지털 문해력 교육의 반영 방향성과 방안 118

Ⅴ. 학교교육에서 디지털 문해력 안정적 정착을 위한 과제
1. (거시적) 디지털 문해력 관련 국가의 정책 비전 설정 123
2. 디지털 문해력 관련 법제도 기반 마련 124
1) 디지털 문해력 관련 법률 해외 입법사례 124
2) 국내 디지털 문해력 관련 법률 제정 방향 126
3. 학교 현장 안착을 위한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 127
1) 해외 디지털 문해력 범부처 지원체계 사례 127
2) 학교 디지털 문해력 교육을 위한 범부처 지원체계 구축방안 128
4. 디지털 문해력 지원을 위한 교육 환경 구축 131
1) 물리적 학습 환경 조성 131
2) 디지털 문해력 역량진단과 교육자 역량모형 마련 135
3) 디지털 문해력 교육을 위한 공동체 협력 140

참고문헌 145
부 록
1. 전문가인터뷰 설문지내용 153
2. 그림 원본 155
Publisher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Appears in Collections:
연구보고서 > 수탁연구보고서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원문
  • 관련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