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업중단 현황조사 및 지원 방안
- Abstract
- 본 연구는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학업중단 위기 청소년 지원 방안을 도출하고자 수행되었다. 학업중단 청소년 수는 2015년 이후로 매년 증가추세인데, 실태조사 결과 그 사유로는 학업과 친구관계, 심리 및 신체건강 등이 주요하게 나타났다. 숙려제 참여한 청소년은 조사에 응답한 청소년의 절반 정도로 나타났고, 숙려제 미참여 사유로는 ‘도움이 될 것 같지 않았다’가 가장 많았다.
학업중단을 예방하는 보호요인으로는 ‘즐겁고 편한 친구’, ‘학교에 대한 흥미’를 답한 경우가 많았고, 학교에 대한 개선 요구로 ‘학교 및 교사’와 ‘학교의 환경 및 학교 제도’에 관련된 내용이 많았는데, 구체적으로 보면 폭력으로부터 안전한 학교, 나를 이해해주는 선생님, 건강상 문제에도 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학교 시설, 원활한 전학 제도에 관한 요구 등이었다. 학업중단 이후에도 학업을 지속하고 있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학업중단 후 장래에 대한 막막함을 가장 큰 어려움으로 답하였다. 면담조사에서도 주요한 중단 사유로 ‘친구관계 문제’, ‘학업 및 진로 갈등’, ‘심리 및 신체건강 사유’를 다시 확인할 수 있었는데, 사유들은 상당히 복합적으로 존재하고 있었다.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학업중단숙려제 지원 방안과 학교 학업중단 예방 기능 강화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각 방안별 실행전략으로 학구 구성원 인식 변화, 프로그램 및 매뉴얼 보급, 참여 학생 조기 발굴과 개입 그리고 교내 조직의 기능 강화, 지역 자원과의 연계 강화를 제언하였다.
- Author(s)
- 김성은; 박하나; 김현수
- Issued Date
- 2020
- Type
- Report
- Keyword
- 학업중단; 학업중단 실태조사; 예방정책
- URI
- https://www.nypi.re.kr/repository/handle/2022.oak/5914
-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연구목적 3
2. 연구내용 4
3. 연구방법 5
Ⅱ. 학업중단 현황
1. 학업중단 개념 11
2. 학업중단 규모 및 추이 15
3. 학업중단 예방 정책 28
Ⅲ. 학업중단 실태조사
1. 조사 개요 35
2. 학업중단 이유와 과정 45
3. 학업중단에 관한 생각 55
4. 개인 생활 및 상황 111
5. 소결 121
Ⅳ. 청소년 면담조사
1. 조사 개요 135
2. 학업중단 사유 140
3. 학업중단 보호 161
4. 학업중단 예방 정책 및 제도 169
5. 소결 176
Ⅴ. 학업중단 예방을 위한 지원방안
1. 조사 결과 요약 185
2. 지원 방안 187
참고문헌 191
부 록 197
1. 2020년 학업중단 청소년 실태조사 조사지 199
- Publisher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Appears in Collections:
- 연구보고서 > 수탁연구보고서
- 공개 및 라이선스
-
- 원문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