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YPI

휴먼네트워크 코디네이터 전문성 강화 연구

Metadata Downloads
Table Of Contents
제Ⅰ장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2. 연구내용 6

제Ⅱ장 이론적 배경 9
1. 전문성의 구성요소 및 발달 11
1) 전문성의 정의 11
2) 전문성의 구성요소 12
3) 전문성의 발달단계 14
2. 멘토링 코디네이터의 개념 및 특성 20
1) 멘토링 코디네이터의 개념 20
2) 멘토링 코디네이터의 역할 21
3) 멘토링 코디네이터 유사 직무와의 비교 25
3. 멘토링 코디네이터의 관련 직무 및 역량 32
1) 멘토링 코디네이터와 관련된 직무(NCS) 32
2) 멘토링 코디네이터의 직무수행에 필요한 역량 38
4. 국내외 멘토링 코디네이터의 교육내용 및 활동 사례 분석 42
1) 국외사례 42
2) 국내사례 43

제Ⅲ장 연구방법 49
1. 연구방법론 51
1) 질적연구방법: 멘토링 코디네이터 전문가 성장 및 전문성 개발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요소도출 51
2) 선행문헌분석: 멘토링 코디네이터의 직무 및 전문성 대한 선행문헌 분석 52
3) 멘토링 코디네이터 전문가 성장모형 및 전문가 성장잠재력 검사도구 개발 52
4) 멘토링 코디네이터의 전문성 잠재력 검사를 위한 설문조사 및 자료 분석 53
2. 연구대상 53
3. 연구절차 57
4. 자료수집 및 분석 60

제Ⅳ장 연구결과 61
연구결과 (1) : 멘토링 코디네이터 전문성 정의 및 모형 63
1. 멘토링 코디네이터 전문성의 정의 63
2. 멘토링 코디네이터의 전문성 구인과 잠정모형 64
3. 멘토링 코디네이터의 전문성 구성요인 66
1) 가치 69
2) 관점 75
3) 사고 78
4) 학습 82
5) 관계 85
6) 경험 89
7) 지식 93
8) 문제해결력 98
9) 강점 강화 능력 100
연구결과 (2) : 멘토링 코디네이터 전문성 설문 분석결과 103
1. 멘토링 코디네이터 전문성 진단문항 분석 및 정규성 분석 103
2. 멘토링 코디네이터 전문성 진단결과 분석 109
1) 빈도분석 109
2) 기술통계분석 113
3) 상관분석 117
4) 집단 간 차이 분석 120
연구결과 (3) : 멘토링 코디네이터 전문성 강화를 위한 교육과정 개발안 127
1. 교육과목 개발 방향 127
1) 멘토링 코디네이터의 가치, 관점, 사고, 학습, 관계, 및경험 영역에서의 교육과목 개발(안) 129
2) 멘토링 코디네이터의 지식 영역에서의 교육과목 개발(안) 133
3) 멘토링 코디네이터의 문제해결력 및 강점강화능력 영역에서의교육과목 개발(안) 136
2. 멘토링 코디네이터 교육과목에 따른 교육프로그램 일정 개발(안) 138
1) 기초 교육과정 1 (안): 기본 직무지식을 중심으로 138
2) 기초 교육과정 2 (안): 코디네이터 전문성 요소와 직무지식의 혼합 139
3) 심화 교육과정 (안): 멘토링 코디네이터 전문성 요소와핵심직무지식을 중심으로 140

제Ⅴ장 결론 및 제언 141
1. 멘토링 코디네이터 전문성 강화 프로그램 개발 및 전문강사 풀 (pool)구축 144
2. 멘토링 코디네이터 전문인력 양성 체계 구축 144
3. 멘토링 코디네이터 담당 기관장 인식 제고 145
4. 정기적 멘토링 코디네이터 데이터 수집 및 모니터링 실시 145
5. 멘토링 코디네이터 지역별 거점중심 관리 146
6. 장기적 관점의 멘토링 사업 지원 및 관련 사업 예산 확보 146
7. 멘토링 코디네이터 컨설팅 제공 147

참고문헌 149
부 록 159
Publisher
한국사회복지협의회
Appears in Collections:
연구보고서 > 수탁연구보고서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원문
  • 관련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