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수련시설 청소년동아리 활성화를 위한 운영모델 및 매뉴얼 개발연구
- Alternative Title
- 청소년 동아리활동 실태조사 결과보고서
- Abstract
-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 동아리활동의 운영현황과 실태파악을 위한 설문도구를 개발하고 청소년수련시설과 일선학교의 청소년 동아리활동 지도자를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실시, 결과를 분석하였다.
실태조사를 위해 전국의 청소년수련관 53개소, 문화의집 58개소 및 서울지역 일선학교 58곳을 표본 추출하였다. 청소년수련시설에 해당되는 청소년문화의집과 청소년수련관의 경우 분포비례 배분에 의한 표집을 통해 표본을 추출하였으며, 학교의 경우 서울지역 중·고등학교에 대한 할당표집으로 표본이 선정되었다.
본 설문도구를 구성하는 조사영역은 동아리 운영기관, 동아리 지도자, 동아리 참여 청소년, 동아리유형과 지원환경, 동아리운영 애로사항 및 동아리활동 활성화 등 크게 6개의 영역으로 구분하였다. 상기영역 중 동아리 운영기관 영역은 시설인력 및 기관현황, 동아리지도자 영역은 지도자인적사항, 경력, 역할 및 자격, 동아리 창여 청소년 영역은 인적구성, 활동시간 및 장소, 동아리유형과 지원환경 영역은 동아리유형, 동아리개수 및 예산, 동아리운영 애로사항 영역은 동아리운영상의 애로사항, 마지막으로 동아리활동 활성화영역은 기관장의 관심도와 활성화의 중요요인 등을 지표로 구성하였다. 상기 지표를 근거로 전체 26개 문항으로 구성된 설문도구를 개발하였으며, 청소년수련시설 청소년동아리 지도자용과 학교동아리 지도자용으로 구분하여 개발되었다.
본 조사결과는 동아리 활동경험과 전문적인 지식이 부족한 지도자와 교사들이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동아리 운영매뉴얼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됨과 동시에 청소년수련시설 동아리 및 학교 내 동아리 운영현황에 대한 광범위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기초자료로서 청소년동아리 활성화를 위한 효율적 정책수립과 추진방향을 설정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 Author(s)
- 모상현; 이진숙; 조남억
- Issued Date
- 2012
- Type
- Report
- Keyword
- 동아리활동 지도자; 동아리활동 활성화; 실태조사; 조사영역 및 지표
- URI
- https://www.nypi.re.kr/repository/handle/2022.oak/5590
- Table Of Contents
- 목차
제 1 장. 조사개요
1. 조사목적
2. 조사내용
3. 조사설계
4. 자료처리 및 분석방법
5. 응답자 특성
제 2 장. 조사결과 요약
1. 해당기관에 근무한 횃수
2. 청소년 동아리지도 업무를 담당한 횃수
3. 소속 학교(기관)의 교사 수(청소년 지도자 수)
4. 근무하는 기관의 청소년동아리에 소속되어 있는 학생(청소년)의 연령
5. 근무하는 학교(기관)의 청소년동아리의 수(문화예술동아리 포함)
6. 근무하는 학교(기관)의 학생(청소년)동아리에 소속되어 있는 평균 회원 수
7. 근무하는 학교(기관)의 청소년동아리 1회 평균 황동시간
8-1. 동아리 담당 지도자수
8-2. 보조(전문 강사 포함) 지도자 수
9. 귀 기관의 동아리 지도자가 주로 담당하는 역할
10. 현재 소지한 청소년지도사 자격증 종류
11. 동아리 활동 담당 교사 및 담당자의 동아리 활동 개입 유형
12-1. 귀 학교(기관)의 전체 동아리 중 목적 동아리(기관 육성 동아리)의 수
12-2. 귀 학교(기관)의 전체 등록(이용) 동아리의 수
13. 학교(기관)의 동아리들이 가장 많이 활동하는 시간대
14-1. 학교(기관)에서 운영하는 동아리들의 1개월(4주 기준) 평균 주중 활동 횟수
14-2. 학교(기관)에서 운영하는 동아리들의 1개월(5주 기준) 평균 주말(토,일) 활동 횟수
15. 현재 동아리들이 가장 많이 활동하는 장소
16. 청소년이 동아리활동에 참여하는 주목적
17. 동아리 지도자로서 청소년 동아리 운영상 가장 어려운점
18. 동아리 지도자로서 청소년 동아리 지도의 어려운 점
19. 귀하가 근무하시는 학교(기관)의 청소년동아리 활동을 위한 예산(활동비) 지원 여부
20. 예산(활동비)을 지원하고 있다면 동아리별로 1년 지원 금액
21. 귀하가 근무하시는 학교(기관)의 문화예술 동아리 개수
22. 귀하가 근무하시는 학교(기관)의 동아리 유형
23. 귀하가 속해 있는 학교(기관) 혹은 학교(기관)장의 청소년동아리 활동에 대한 관심도
24. 청소년 동아리활성화를 위해서 필요한 점
제 3 장. 조사결과 분석
1. 해당기관에 근무한 횃수
2. 청소년 동아리지도 업무를 담당한 횃수
3. 소속 학교(기관)의 교사 수(청소년 지도자 수)
4. 근무하는 기관의 청소년동아리에 소속되어 있는 학생(청소년)의 연령
5. 근무하는 학교(기관)의 청소년동아리의 수(문화예술동아리 포함)
6. 근무하는 학교(기관)의 학생(청소년)동아리에 소속되어 있는 평균 회원 수
7. 근무하는 학교(기관)의 청소년동아리 1회 평균 황동시간
8-1. 동아리 담당 지도자수
8-2. 보조(전문 강사 포함) 지도자 수
9. 귀 기관의 동아리 지도자가 주로 담당하는 역할
10. 현재 소지한 청소년지도사 자격증 종류
11. 동아리 활동 담당 교사 및 담당자의 동아리 활동 개입 유형
12-1. 귀 학교(기관)의 전체 동아리 중 목적 동아리(기관 육성 동아리)의 수
12-2. 귀 학교(기관)의 전체 등록(이용) 동아리의 수
13. 학교(기관)의 동아리들이 가장 많이 활동하는 시간대
14-1. 학교(기관)에서 운영하는 동아리들의 1개월(4주 기준) 평균 주중 활동 횟수
14-2. 학교(기관)에서 운영하는 동아리들의 1개월(5주 기준) 평균 주말(토,일) 활동 횟수
15. 현재 동아리들이 가장 많이 활동하는 장소
16. 청소년이 동아리활동에 참여하는 주목적
17. 동아리 지도자로서 청소년 동아리 운영상 가장 어려운점
18. 동아리 지도자로서 청소년 동아리 지도의 어려운 점
19. 귀하가 근무하시는 학교(기관)의 청소년동아리 활동을 위한 예산(활동비) 지원 여부
20. 예산(활동비)을 지원하고 있다면 동아리별로 1년 지원 금액
21. 귀하가 근무하시는 학교(기관)의 문화예술 동아리 개수
22. 귀하가 근무하시는 학교(기관)의 동아리 유형
23. 귀하가 속해 있는 학교(기관) 혹은 학교(기관)장의 청소년동아리 활동에 대한 관심도
24. 청소년 동아리활성화를 위해서 필요한 점
제 4 장. 정책제언 및 논의
1. 청소년 동아리활동 지도를 위한 체계적인 매뉴얼 개발 및 보금
2. 기관별 청소년 동아리활동의 특성분석을 통한 연계협력망 구축
3. 지역별 동아리활동의 특성화
4. 학교 동아리와 수련시설 동아리의 역할 분담
5. 주제별 동아리의 선택과 집중을 통한 효율성 제고
6. 공식동아리와 비공식동아리에 대한 차별화된 운영방안 모색
7. 동아리활동에 대한 정책적 지원과 체계적 연구 필요
참고문헌
부록
- Publisher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Appears in Collections:
- 연구보고서 > 수탁연구보고서
- 공개 및 라이선스
-
- 원문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