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아동·청소년 패널조사 2010 Ⅲ 데이터 분석보고서 1
- Alternative Title
- 범죄유발적 지식구조와 청소년비행에 관한 연구
- Abstract
- 이 연구에서는 그동안 간과했던 비행청소년의 주관적 사고과정을 밝혀 우리나라 청소년 비행대책의 미비점을 보완해보고자, 범죄유발적 지식구조(criminogenic knowledge stucture)와 청소년비행과의 관계, 상황적 조건과 범죄유발적 지식구조와의 관계, 청소년비행에 미치는 상황적 조건과 범죄유발적 지식구조의 영향을 분석한 후, 분석결과를 토대로 필요한 비행예방대책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아동청소년패널 중1패널 1~2차년도 자료를 대상으로 교차분석(χ2 검증)과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범죄유발적 지식구조와 청소년비행과의 관계 분석에서는 범죄유발적 지식구조를 가진 청소년들이 비행을 많이 저지르는 경향이 나타났다. 둘째, 상황적 조건과 범죄유발적 지식과의 관계 분석에서는 학교애착, 부모애착, 이웃통합 등 청소년들의 생활경험들이 부정적일수록 범죄유발적 지식구조를 갖는 경향이 나타났다. 셋째, 상황적 조건, 범죄유발적 지식구조, 청소년비행과의 관계 분석에서는 상황적 조건들이 범죄유발적 지식구조의 형성에 영향을 미치고 이렇게 형성된 범죄유발적 지식구조로 말미암아 청소년들이 비행을 선택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남학생일수록 범죄유발적 지식구조를 더 강하게 발전시키며(.057**), 자아존중감이 약할수록(-.073**), 부모에 대한 애착이 약할수록(-.275***), 학교에 대한 애착이 약할수록(-.450***), 이웃통합의 정도가 약할수록(-.367***) 범죄유발적 지식구조를 더 강하게 발전시킨다. 그리고 이렇게 형성된 범죄유발적 지식구조가 강할수록 더 많은 비행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22***).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첫째, 일반 청소년 대상의 청소년 자아의 성찰적 능력 향상을 위한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보급, 둘째, 일반 청소년 대상의 범죄유발적 지식구조를 약화시킬 수 있는 비행예방 프로그램의 개발과 보급, 셋째, 단체·시설 담당자 및 교사 대상의 프로그램 교육 실시, 넷째, 비행 청소년 대상의 사회적 인지틀 개선 프로그램의 개발 및 보급의 네가지 정책제언을 제시하였다.
- Author(s)
- 이경상; 이순래; 박철현
- Issued Date
- 2012
- Type
- Report
- Keyword
- 범죄유발적 지식구조; 청소년비행패널조사
- URI
- https://www.nypi.re.kr/repository/handle/2022.oak/3313
- Table Of Contents
- 목차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상징적 상호작용 이론
2. 범죄유발적 사고
3. 연구문제의 설정
Ⅲ. 연구방법
1. 자료 및 표본
2. 조작적 정의
3. 분석 방법
Ⅳ. 분석결과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주요 독립변인들과 비행과의 관계 : 교차분석
3. 개인적 요인과 범죄유발적 지식구조와의 관계 : 교차분석
4. 비행을 설명하는 구조방정식 모델
Ⅴ. 결과
1. 연구요약
2. 정책제언
참고문헌
- Publisher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Appears in Collections:
- 연구보고서 > 기본연구보고서
- 공개 및 라이선스
-
- 원문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