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지도사 자격검정과목 개편방안 연구
- Abstract
- 제4차 산업혁명시대가 도래하고 저출산·고령화, 청소년인구의 감소 등 청소년을 둘러싼 급격한 환경 변화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새로운 청소년정책의 수립과 현장에서의 집행을 위한 청소년지도자의 직무 변화와 새로운 역할이 계속적으로 요청받고 있다.
그러나 청소년지도자의 전문성을 제고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청소년지도사 양성체계는 1993년에 처음 제도가 도입된 이후, 1999년, 2006년, 2008년 등 4차례 변화를 거치면서 전문성을 강화해 나갔으나, 그동안의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온 검정과목과 현장의 괴리, 급수별 검정과목의 차별화 부족, 유사자격에 비해 이수학점의 부족, 현장실습의 의무화 등 필기시험 면제에 따른 제도 개선의 문제, 보수교육의 개선, 필기시험 부활에 대한 논란 등을 제대로 해결하지 못한 채 운영되고 있다(모상현, 이진숙, 2014;김경준, 오해섭, 2015;최창욱, 좌동훈, 남화성, 박정배, 2019).
이에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는 2019년도에 청소년지도사 양성시스템의 개선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여 청소년기본법 등 청소년지도사 양성 관련 법·제도의 개선과 대학의 청소년지도사 양성 교육과정 특성화·전문화, 청소년시설 및 단체 현장실습 역량강화를 위한 슈퍼비전체계 구축, 자격연수, 전문연수, 보수교육 등 연수제도 정비 등 청소년지도사 양성 관련 인프라 정비, 그리고 미래형 청소년지도사 양성체계 모델 개발, 청소년지도사 표준 교육과정 개발, 청소년지도사 수급, 배치, 활용 방안 등 청소년지도사 양성 관련 R&D 강화를 위한 과제를 발굴한 바 있다 (최창욱, 좌동훈, 남화성, 박정배, 2019:178~194).
특별히 청소년지도사 자격검정과목과 관련해서는 2, 3급 청소년지도사 자격검정 과목 수의 조정과 기초공통, 실천, 정책?제도 등으로의 재구조화하는 방안을 제시하였으나(최창욱, 좌동훈, 남화성, 박정배, 2019:167~169), 각각 제시된 과목에 대한 검증과정과 1급 청소년지도사 자격검정과목에 대한 의견이 누락되어서 새로운 자격검정과목으로 법제화하기에는 다소 미흡한 점이 있다. 현행 청소년지도사 자격검정과목이 확정된 이후에 청소년지도사 자격검정과목 개선을 위한 연구가 이전에도 여러 차례 있었기 때문에 이를 함께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청소년 환경변화에 따른 청소년정책 변화 및 청소년지도사의 직무와 역할에 요구되는 전문성 함양을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청소년지도사 자격검정과목 개선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 Author(s)
- 김경준; 이종원; 박정배
- Issued Date
- 2020
- Type
- Report
- Keyword
- 청소년지도사; 지도사 자격검정과목
- URI
- https://www.nypi.re.kr/repository/handle/2022.oak/3000
-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의 내용 2
3. 연구의 방법 3
Ⅱ. 이론적 배경
1. 사회환경 및 청소년 환경 변화에 따른 청소년정책 요구 6
2. 청소년지도사의 역할과 직무 11
3. 청소년지도사 자격제도 변화와 자격검정과목 15
1) 청소년지도사 자격제도의 주요 변화 15
2) 청소년지도사 자격검정 과목 및 검정방법 17
4. 현행 청소년지도사 자격검정과목 확정 이후 의견조사 결과 18
1) 1급 청소년지도사 자격검정과목 18
2) 2, 3급 청소년지도사 자격검정과목 20
3) 청소년지도사 자격검정과목 개선안 비교 24
Ⅲ. 델파이조사 결과
1. 조사개요 27
2. 델파이조사 주요결과 28
1) 청소년지도사의 역할과 직무 28
2) 청소년지도사 자격검정과목으로 부적합한 과목 33
3) 추가해야 할 청소년지도사 검정과목 38
4) 통합 및 조정해야 할 과목 46
5) 공통필수, 필수과목, 선택과목 48
3. 전문가 검토 결과 50
1) 1급 청소년지도사 검정과목(안) 50
2) 2급 청소년지도사 자격검정과목(안) 51
3) 3급 청소년지도사 자격검정과목(안) 52
Ⅳ. 설문조사 결과 분석
1. 조사 개요 54
2. 조사 결과 분석 55
1) 전체 조사결과 55
2) 신분별 조사결과 분석 61
3) 청소년지도사 자격등급별 조사결과 분석 70
4) 기타 의견 78
Ⅴ. 결론
1. 현행 제도에서의 자격검정과목 개선(안) 82
1) 1급 청소년지도사 자격검정과목(안) 84
2) 2급 청소년지도사 자격검정과목(안) 85
3) 3급 청소년지도사 자격검정과목(안) 88
2. 검정과목 이수자의 필기시험 시행 시 자격검정과목 개선(안) 89
3. 기타 91
참고문헌 92
부 록 94
- Publisher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Appears in Collections:
- 연구보고서 > 수시연구보고서
- 공개 및 라이선스
-
- 원문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