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YPI

아동·청소년의 놀이 실태 및 성장지원 방안연구

Metadata Downloads
Abstract
이 연구는 아동·청소년 놀이와 여가 활동 실태에 대해 놀 권리 측면과 행복이란 가치추구에 대해 종합적인 분석을 위하여 아동·청소년의 심리적 행복감, 청소년의 놀이성향, 정책환경, 놀이환경, 놀이관계, 놀이인식, 놀이 욕구, 놀이정책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놀이 정책에 필요한 정책과제를 개발하고, 전문가 집단에 대한 자문을 통하여 성장지원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를 통하여 놀이권의 개념과 국내외 놀이정책을 분석하였고, 전문가 자문을 통해 연구설계 및 정책과제 개발에 대한 검토를 받았으며, 설문조사를 통해 초중고등학생 2,992명에 대해 놀이 실태를 분석하였다.
아동·청소년의 놀이 및 여가 활동 실태 분석은 행복한 아동·청소년의 기준으로 심리적 행복도를 가치기준으로 하여 이에 영향을 주는 놀이 및 여가활동 기회제공, 아동·청소년의 일일 단위 활동시간, 지역사회의 놀이 및 여가활동 친화환경, 놀이 및 여가활동에 대한 주변의 지지, 상호관계, 아동·청소년의 놀이 및 여가활동 욕구, 놀이 및 여가활동 장소, 놀이 및 여가활동에 대한 정부정책 지원 요구를 인구사회적 측면을 포함하여 분석하였다.
설문조사 분석결과는 놀이 및 여가활동 기회의 충분한 제공과 지역내 놀이 및 여가 활동 친화환경의 다양한 조성, 놀이 및 여가활동에 대한 부모·교사·지역사회의 긍정적 인식과 지원이 이루어질 경우 아동·청소년 심리적 행복수준이 올라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놀이 및 여가 활동에 대한 요구는 자유로운 휴식, 자유로운 놀이활동, 오락활동, 문화활동, 취미활동,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욕구가 높은 편으로 나타났으며, 정책적 요구에서 지역의 놀 환경에 대해 각각이 연령대에 필요한 환경과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하며, 비용지원 측면에서 상위연령대를 중심으로 우선 지원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놀이 공간 조성에 아동ㆍ청소년의 참여 요구가 높고, 전문 인력 필요분야는 상위연령대에서는 요구가 높으며, 자발적 프로그램에 대한 지원 방안이 별도로 요구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정책과제를 제시하였다.
첫째는 놀 권리 강화 방안으로 놀이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방안, 놀 권리 보장을 위한 부모교육 실시방안, 장애 아동·청소년의 놀 권리 보장방안, 놀이정책 사업 확산 및 아동·청소년 참여 보장 등의 과제를 제시하였다.
둘째는 놀이 활동 활성화 방안으로 놀이 시간 확보방안, 놀이 친화환경 조성방안, 놀이지도자 양성 및 배치 방안, 코로나 19 시대 비대면 놀이 개발방안, 아동 놀이와 청소년 놀이 차별화 방안 등의 과제를 제시하였다.
셋째는 학습으로써의 놀이지원 방안으로 놀이 활성화를 위한 교육시스템 개선방안, 놀이치료를 통한 성장지원 방안, 놀이 중심의 돌봄 서비스 확대방안, 여가 및 놀이 활동의 교육과정 포섭 방안 등의 과제를 제시하였다.
넷째는 법 제도적 지원 방안으로 놀이 혁신을 위한 제도 활성화 방안, 아동기본법 제정 및 놀 권리 조례제정 확대방안, 안전한 놀이환경 조성을 위한 법 제도 개선방안 등의 과제를 제시하였다.
Author(s)
김영한이유진
Issued Date
2021
Type
Report
Keyword
놀 권리놀이 활동여가활동놀이실태청소년활동
URI
https://www.nypi.re.kr/repository/handle/2022.oak/2930
Table Of Contents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3
2. 연구방법6
3. 연구추진체계9

Ⅱ. 이론적 배경
1. 놀이에 대한 이론적 논의13
2. 아동·청소년 놀이실태 내용구성22

Ⅲ. 놀 권리의 법적 근거 및 정책현황
1. 아동·청소년 놀 권리의 법적 근거27
2. 우리나라 정책현황 분석46

Ⅳ. 주요 외국의 놀이 정책 및 사업
1. 개관83
2. 영국84
3. 프랑스95
4. 독일97
5. 미국100
6. 일본103
7. 시사점109

Ⅴ. 설문조사 결과분석
1. 조사설계117
2. 표본설계123
3. 가중치와 모수추정127
4. 조사 결과 해석131

Ⅵ. 결론 및 정책제언
1. 주요 결과227
2. 정책 제언 237

참고문헌275

부 록 : 설문지287
Publisher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Appears in Collections:
연구보고서 > 기본연구보고서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원문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