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YPI

다문화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과 학교적응의 직렬다중매개효과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effects of acculturative stress on life satisfaction amongst multicultural adolescents: The double-medi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and school adjustment
Abstract
본 연구는 다문화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 관계에서 자아탄력성과 학교적응의 직렬다중매개효과를 검증하여 다문화 청소년의 사회복지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모색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다문화청소년 패널조사 1기 데이터(MAPS 1)」의 4차년도 자료에서 중학교 1학년생 총 1,325명(남학생 648명, 여학생 677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둘째, 자아탄력성은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를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적응은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를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자아탄력성과 학교적응은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직렬다중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다문화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대한 개입이 삶의 만족도 향상에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줄 뿐만 아니라 스트레스에 직접 개입하지 못할 경우에는 자아탄력성과 학교적응 향상이 삶의 만족도 증진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다문화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 향상을 위한 사회복지의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Author(s)
최려나노충래
Issued Date
2022-11-30
Type
Article
Keyword
다문화 청소년문화적응 스트레스자아탄력성학교적응삶의 만족도다문화청소년 패널조사 1기
DOI
10.14816/sky.2022.33.4.59
URI
https://www.nypi.re.kr/repository/handle/2022.oak/2921
Publisher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Appears in Collections:
정기간행물 > 한국청소년연구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원문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