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l. 86_다문화청소년 종단조사 및 정책방안 연구Ⅴ
- Abstract
- 한국사회에 다문화청소년이 점차 증가하고 있음. 2015년 11월 1일 현재 국내에 다문화가정 자녀의 수는 19만 7천
550명으로 집계되고 있는데(행정안전부, 2016), 그 중 높은 비율이 사회경제적으로 취약한 계층에 속해 있음. 취약성을
근거로 다문화청소년들에 대한 지원의 필요성 및 정책의 정당성이 확보되었으나 이 과정에서 그 반대급부로 다문화가정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가 형성된 측면이 있음.
미래 한국사회의 중요한 구성원으로 성장할 청소년에게 부정적 낙인이 형성되는 것은 사회통합의 측면에서도
문제가 될 뿐 아니라, 개인적인 측면에서 볼 때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는 청소년이 사회적 편견을 내면화시킴으로써
스스로의 성장을 억압하는 일이 될 수 있는 문제임. 이에 본 연구는 다문화청소년에 대한 보다 장기적인 관찰을 통해
비(非)다문화청소년과의 격차를 객관적으로 파악함으로써, 격차가 발견되는 정확한 지점을 확인하고, 그러한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 및 제시함으로써 국가정책의 효율성을 제고하고자 수행되었음.
이 중 「다문화청소년 종단조사 및 정책방안연구 Ⅴ」는 다문화청소년과 비(非)다문화청소년의 진로격차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패널설문조사, 심층면접 및 정책분석을 실시하였음.
연구수행결과를 토대로 다문화청소년의 학습역량 제고, 진로정보 접근성 제고, 진로탐색 및 직업체험의 기회 확대
및 다양화, 그리고 이중언어교육의 체계화 등을 포함한 '다문화청소년 진로역량 강화'에 관한 정책을 제안하였고,
다문화청소년을 둘러싼 환경 중 '지지집단 진로지도 역량강화'를 위한 학부모 진로지도 역량강화, 교사 진로지도
전문성 강화, 청소년진로지도 관련자 전문성 강화의 세 가지 정책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좀 더 거시적인 환경요인으로
'지역사회 진로지원망 구축'을 위하여 지역사회 다문화청소년 진로지원 협의체 구성과 지역사회 다문화청소년 진로지원
전담서비스 기관 지정 운영 등 두 가지 정책방안을 제시함.
- Author(s)
- 양계민
- Issued Date
- 2017-09-28
- Type
- Issue Paper
- Keyword
- 다문화청소년; 종단조사
- URI
- https://www.nypi.re.kr/repository/handle/2022.oak/2567
- Table Of Contents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결과
3. 정책제언
- Publisher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Appears in Collections:
- 정기간행물 > Bluenote 이슈 & 정책
- 공개 및 라이선스
-
- 원문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