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의 사회불평등 인식, 스트레스 및 삶의 질의 관계: 심리 네트워크 분석
- Alternative Title
-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ocial inequality, stress, and quality of life in university students: A psychological network analysis
- Abstract
- 다양한 영역의 사회불평등과 그로 인한 스트레스는 개인의 삶의 질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횡단 및 종단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하여 사회불평등 인식과 스트레스 및 삶의 질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지방 광역시 소재 대학생 365명을 대상으로 2019년 5월부터 2020년 4월까지 온라인 설문조사를 세 차례 실시하였다. 연구 변인은 한국종합사회조사의 사회불평등 인식 문항, 개정판 대학생용 생활 스트레스 척도 및 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간편형 척도로 평가하였다. 횡단 심리 네트워크 분석 결과, 취업 기회 불평등 인식이 다른 사회불평등 영역과 가장 강하게 연결된 중심 불평등 영역이었다. 사회불평등 인식과 스트레스 및 삶의 질의 관계 간의 연결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교량 중심성(bridge centrality) 분석 결과, 소득 및 재산의 불평등 인식, 가치관 스트레스 및 심리적 삶의 질이 주요 교량 요인으로 나타났다. 주요 교량 요인 간의 시간적 관계를 검증한 종단 심리 네트워크 분석 결과, 높은 소득 및 재산의 불평등 인식은 후속 시점의 높은 가치관 스트레스와 관계가 있었으며,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나타나 양방향 관계가 확인되었다. 또한, 높은 소득 및 재산의 불평등 인식은 후속 시점의 낮은 심리적 삶의 질과 관계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회불평등에 대한 주관적 인식이 대학생의 스트레스 및 삶의 질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대학생의 스트레스 완화 및 삶의 질 증진을 위한 개입에서 사회불평등 인식, 특히 소득 및 재산 불평등 인식을 고려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 Author(s)
- 정동희; 심은정
- Issued Date
- 2022-02-28
- Type
- Article
- Keyword
- 사회불평등; 스트레스; 삶의 질; 대학생; 심리 네트워크 분석
- DOI
- 10.14816/sky.2022.33.1.5
- URI
- https://www.nypi.re.kr/repository/handle/2022.oak/2382
- Publisher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Appears in Collections:
- 정기간행물 > 한국청소년연구
- 공개 및 라이선스
-
- 원문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