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의 외로움과 목소리에 대한 주의 및 해석
- Alternative Title
- Adolescents’ loneliness and the differences it makes to the attentional and interpretive pattern of auditory social cues
- Abstract
- 외로움은 현대 사회의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성인기로 이동하는 과도기적 단계에 있는 청소년들은 소속에 대한 높은 욕구 및 기대 수준으로 인해 외로움에 취약하다. 선행 연구들에 의하면 외로움은 사회적 단서에 대한 민감성을 높인다. 하지만 기존 연구에서 사용한 사회적 단서가 대부분 시각적 자극(예, 미소)에 국한되어 있던 반면, 본 연구는 ‘청각’에 주목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 소리에 대한 지각이 청자의 외로움 수준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개의 연구를 실시하였다. 먼저 연구 1의 참가자들은 조건에 따라 2가지(사회적, 비사회적) 소리 중 하나를 들으며 수학 암산 과제를 풀었다. 분석 결과, 예상대로 외로운 사람일수록 사회적 소리(웅성거리는 목소리)에 더 많은 선택적 주의를 기울였으며, 이로 인해 과제 수행에 더 큰 방해를 받았다. 하지만 이러한 현상은 비사회적 소리(자동차 소리)를 들을 때에는 발생하지 않았다. 이어서 연구 2의 참가자들은 조건에 따라 2가지(모호한 대화, 명확한 대화) 소리 중 하나를 들으며 숨은 그림 찾기 과제를 풀었다. 앞서와 마찬가지로, 외로운 사람일수록 그 내용의 명확성 수준에 관계없이 대화 소리에 더 많은 주의를 기울이는 모습을 보였다. 그리고 이로 인해 과제 수행에 더 큰 방해를 받았다. 나아가 사람들은 외로울수록 모호한 대화 내용을 자신에게 더 긍정적인 방향으로 해석하는 모습을 보였다. 본 연구는 외로운 사람의 청각 지각을 살펴봄으로써 목소리의 사회적 기능을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
- Author(s)
- 신지은; 김가영
- Issued Date
- 2018-02-28
- Type
- Article
- Keyword
- 외로움(loneliness); 사회적 소리(auditory social cue); 선택적 주의(selective attention)
- DOI
- 10.14816/sky.2018.29.1.295
- URI
- https://www.nypi.re.kr/repository/handle/2022.oak/2214
- Publisher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ISSN
- 1225-6336
-
Appears in Collections:
- 정기간행물 > 한국청소년연구
- 공개 및 라이선스
-
- 원문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