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생의 일상생활에서 경험하는 적응과 일탈의 의미에 대한 질적 연구
- Alternative Title
- A qualitative study on the adaptation and deviance of high school students as experienced in their daily lives
- Abstract
-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의 경험의 이해를 심층적으로 탐색하여 일상생활에서 경험하는 적응과 일탈의 의미를 밝히는 데 두었다. 적응과 일탈은 매우 상반된 개념이지만 환경적 요인이나 특정한 사건으로 인하여 복합적으로 나타날 수도 있으며, 더 심화된 형태의 적응과 일탈로 발전할 수도 있다. 이에 적응과 일탈을 이분법적인 방법으로 구분하지 않고 고등학생의 삶 안에 존재하고 있는 일탈과 적응의 역동적인 관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일상생활에서 고등학생의 적응과 일탈에 대한 경험적 의미구조를 도출하기 위하여 이들에게 적응과 일탈은 삶에서 어떤 의미가 있는지 질적 연구를 통하여 탐구하였다. 이를 위해 일상생활에서 적응과 일탈을 반복적으로 나타내는 인문계 고등학생 1~3학년 남녀 각 2명씩 총 12명을 대상으로 면담자료를 수집하였다. 이렇게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고 해석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고등학생들이 일상생활에서 경험하는 적응과 일탈의 의미는 3개의 핵심주제 ‘어정쩡한 일상생활’, ‘삐딱하고 불안한 사회’, ‘노력과 희망사이에서 느끼는 소외’로 정리 될 수 있었다. 둘째, 핵심주제에 따른 세부적인 8개의 범주는 ‘어쩔 수 없는 상황’, ‘뭐든 적당히 해야 함’, ‘불분명한 경계선상에서의 갈등’, ‘사회적 현실인식을 통한 한계설정’, ‘기성세대에 대한 비판적 태도’, ‘죽으라고 노력해도 끝없는 상황’, ‘진로선택에 대한 무력감’, ‘그래도 한 자락의 희망을 품어 봄’으로 분류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고등학생들이 좀 더 행복한 삶을 영위하고 긍정적인 방향으로 적응할 수 있도록 어떻게 개입해야 할지에 대한 현실적인 해결방안을 모색하였다.
- Author(s)
- 지연정; 김병주
- Issued Date
- 2018-08-31
- Type
- Article
- Keyword
- 고등학생; 일상생활; 적응; 일탈; 경험; 질적 연구
- DOI
- 10.14816/sky.2018.29.3.159
- URI
- https://www.nypi.re.kr/repository/handle/2022.oak/2197
- Publisher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ISSN
- 1225-6336
-
Appears in Collections:
- 정기간행물 > 한국청소년연구
- 공개 및 라이선스
-
- 원문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