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학습활동과 교우관계가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할함수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한 종단관계 분석
- Alternative Title
- The effects of school learning activities and friendships on adolescents' life satisfaction: A longitudinal study using a piecewise latent growth model
- Abstract
- 이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 학교 학습활동 및 교우관계가 초등학교와 중학교 시기에 질적으로 달라지는지 확인하고, 학습활동과 교우관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종단적으로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분할함수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삶의 만족도, 학습활동, 교우관계의 각 변인별로 변화 양상을 검토한 결과, 초등학교 6학년 시점을 기준으로 그 전(초4∼초6)과 후(초6∼중3)의 기울기를 다르게 추정하는 분할함수 잠재성장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삶의 만족도는 초등학교 시기에는 유의한 변화가 없다가 중학교 시기에는 점차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활동은 두 시기 모두에서 점차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학교 시기보다 초등학교 시기에서 그 감소율이 다소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교우관계는 두 시기 모두에서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학교 시기보다 초등학교 시기에서 그 증가율이 다소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모형의 검증 결과, 초기치 간 관계에서는 초 4시점의 학습활동이 높고 교우관계가 원만할수록 같은 시기의 삶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변화율 간의 관계에서는 같은 교급 내에서 학습활동의 감소가 작은 학생일수록 그리고 교우관계가 더 크게 증가하는 학생일수록 같은 시기의 삶의 만족도의 감소 추세가 둔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다른 교급 간 관계에서는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학교에서의 학습활동과 교우관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가 종단적으로 유의하게 존재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 Author(s)
- 손수경; 이현정; 홍세희
- Issued Date
- 2017-08-31
- Type
- Article
- Keyword
- 삶의 만족도; 학습활동; 교우관계; 분할함수 잠재성장모형; 종단연구
- DOI
- 10.14816/sky.2017.28.3.57
- URI
- https://www.nypi.re.kr/repository/handle/2022.oak/2163
- Publisher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ISSN
- 1225-6336
-
Appears in Collections:
- 정기간행물 > 한국청소년연구
- 공개 및 라이선스
-
- 원문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