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의 신뢰: 구체적 신뢰, 일반신뢰, 공적신뢰
- Alternative Title
- Trust in adolescents: Specific trust, general trust, public trust
- Abstract
- 장차 시민사회의 구성원으로 성장할 청소년들이 청소년기에 경험하는 구체적 신뢰를 기반으로 한 연계경험은 사회의 안정성, 나아가 사회의 발전과 밀접한 관계에 있는 일반신뢰, 공적신뢰와 밀접한 관계를 가질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구성원으로서의 청소년이 가지는 연계경험을 구체적 신뢰로 유형화하고 청소년의 일반신뢰, 공적신뢰와 더불어 신뢰유형들 간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시 고등학생 493명을 대상으로 세 가지 신뢰유형의 수준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설문 응답자 중 게임실험(죄수의 딜레마 게임) 참여 의향을 밝힌 35명을 대상으로 청소년의 각 신뢰 유형 간 관계를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로, 첫째, 설문과 실험 모두에서 청소년의 구체적 신뢰는 일반신뢰와 상호 정적 관계인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청소년의 구체적 신뢰는 공적신뢰와 의미 있는 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셋째, 일반신뢰와 공적신뢰 간 관계는 설문과 실험결과에서 혼재된 결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청소년의 각 신뢰 유형이 보이는 특성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구체적 신뢰가 성인의 사적 연결망과는 다른 의미로 재해석될 수 있는 근거를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이에 청소년의 신뢰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 특히 구체적 신뢰에 대한 사회자본적 접근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 Author(s)
- 노자은; 김현주
- Issued Date
- 2015-05-31
- Type
- Article
- Keyword
- 청소년; 구체적 신뢰; 일반신뢰; 공적신뢰; 사회자본; 사회연결망분석; 죄수의 딜레마 게임
- DOI
- 10.14816/sky.2015.26.2.177
- URI
- https://www.nypi.re.kr/repository/handle/2022.oak/2089
- Publisher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ISSN
- 1225-6336
-
Appears in Collections:
- 정기간행물 > 한국청소년연구
- 공개 및 라이선스
-
- 원문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