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YPI

청소년지도사 효능감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youth leader efficacy scale
Abstract
본 연구는 청소년지도사 효능감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자기효능감 관련 이론과 이와 관련된 측정도구 및 청소년지도사 직무분석 등 관련 선행연구를 통해 초기문항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문항은 전문가의 내용타당도 검증과 예비 조사를 통해 문항에 대한 적절성과 양호도를 검토하였다. 본 조사에서 문항분석을 실시한 결과 정규성의 가정을 성립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요인분석 결과 4개 하위요인별 각각 7문항으로 구성된 28문항이 추출되었다. 1요인은 ‘직무 자신감’, 2요인은 ‘프로그램운영 조절효능감’, 3요인은 ‘직무 난이도선호’, 4요인은 ‘직무 귀인’이라 명명하였다. 청소년지도사 효능감 전체와 하위요인 간 상관은 0.69∼0.81, 하위요인 간 상관은 0.34∼0.61로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나타내었고, Cronbach’s α는 0.90으로 나타났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한 구성타당도 평가 결과 χ2/df는 2.304, TLI는 0.919, CFI는 0.930, RMSEA는 0.053으로 나타나 본 연구의 모형 적합도가 수용 가능함을 확인하였으며, 평균분산추출지수와 개념신뢰도가 유의미하게 나타나 수렴타당도, 구성타당도 및 판별타당도가 확보되었다. 또한, 타당화 조사를 실시하여 공인타당도, 수렴타당도 및 교차타당도가 입증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청소년지도사의 직무 상황과 관련한 직무 수행성과를 예측하는 유용한 도구로 사용되기를 바라며, 청소년지도사 효능감 증진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을 위한 진단 및 평가도구로 사용되기를 기대한다.
Author(s)
이원희
Issued Date
2015-08-31
Type
Article
Keyword
청소년지도사효능감청소년지도사 효능감측정도구 개발
DOI
10.14816/sky.2015.26.3.133
URI
https://www.nypi.re.kr/repository/handle/2022.oak/2082
Publisher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ISSN
1225-6336
Appears in Collections:
정기간행물 > 한국청소년연구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원문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