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YPI

창의적 체험활동 활성화를 촉진하는 학교 내외적 요인에 대한 사례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case study on conditions for the facilitation of creative hands-on activities in schools
Abstract
학교 내의 자원이 한정되어 있어 창의적 체험활동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지역사회자원이 원활하게 활용되어야 하지만, 교사의 업무가 가중되는 등의 문제를 해결하지 않으면 성공적인 안착이 어렵다. 이에 창의적 체험활동을 활발히 운영하고 있는 청담중학교 사례분석을 통해 창의적 체험활동의 활성화를 위해 학교가 내적으로 어떤 변화를 수반해야 하며, 지역사회와 어떻게 연계해야 하는지에 대한 실천적 해법을 제시하는 것이 연구 목적이다. 청담중학교는 교사 업무의 균등 배분, 교과교실제, 모든 교사의 담임화, 담임운영매뉴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매뉴얼 제작 등 교육시스템의 변화를 시도하였으며, 체험활동을 차수 마다 반별로 순환식으로 운영하였다. 동시에 지역사회 기관과의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지역사회자원을 원활하게 연계하였다. 다양하고 전문적인 지역사회자원을 연계한 체험활동은 학생과 교사, 학부모의 학교만족도를 높이고, 창의적 체험활동에 대한 기대감을 갖게 하였으며, 창의적 체험활동이 학교문화로 정착할 수 있는 가능성과 지역사회와의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체험활동 활성화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무엇보다 지역사회자원 연계를 위한 교사의 코디네이터로서의 역할이 주효했다. 그러나 교사의 코디네이터 역할은 교사의 업무 가중으로 인해 모든 학교에 적용하기에는 어려운 모델이다. 따라서 학교 외적으로 지역사회 코디네이터 기관이나 코디네이터의 역할이 절실히 요구된다.
Author(s)
김현철윤혜순
Issued Date
2013-02-28
Type
Article
Keyword
창의적 체험활동지역사회연계지역사회 코디네이터학교시스템 변화
URI
https://www.nypi.re.kr/repository/handle/2022.oak/2029
Publisher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ISSN
1225-6336
Appears in Collections:
정기간행물 > 한국청소년연구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원문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