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직한 부모 양육태도가 초기청소년의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 학교생활 적응 및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성차비교
- Alternative Title
- The Effects of Desirable Parenting Attitudes upon Life Satisfaction in Early Adolescence : The Mediating Effects of School Adjustment and Ego-resilience and Multiple Group Analysis across Gender
- Abstract
- 본 연구는 바람직한 부모 양육태도가 자아탄력성과 학교생활 적응을 매개로 하여 초기청소년의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성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고자 했다. 총 2,378명의 초등학교 4학년생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첫째, 부모의 세 가지 바람직한 양육태도(애정, 감독, 합리적 설명)에 따라 자아탄력성, 학교생활 적응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각각 다르게 나타났다. 둘째, 자아탄력성은 학교생활 적응과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셋째, 학교생활 적응은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모의 세 가지 바람직한 양육태도는 모두 자아탄력성과 학교생활 적응을 매개로 하여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성별에 따른 차이에서는 ‘자아탄력성→삶의 만족도’ 경로만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해 언급하였다.
- Author(s)
- 손보영; 김수정; 박지아; 김양희
- Issued Date
- 2012-02-28
- Type
- Article
- Keyword
- 바람직한 부모 양육태도; 삶의 만족; 학교생활 적응; 자아탄력성
- URI
- https://www.nypi.re.kr/repository/handle/2022.oak/1986
- Publisher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ISSN
- 1225-6336
-
Appears in Collections:
- 정기간행물 > 한국청소년연구
- 공개 및 라이선스
-
- 원문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