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YPI

위기청소년 자립을 위한 사회진출지원 프로그램 효과 분석 : 두드림존프로그램 참여자 유형을 중심으로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n Analysis of Transition-Support Program Evaluation for the Self-Independence of At-Risk Youth. : Focusing on the Types of DoDreamZone Program Participants
Abstract
본 연구는 위기청소년의 자립을 위한 사회진출지원프로그램(두드림존프로그램 1단계 교육프로그램)을 위기청소년들에게 실시한 후 참여자의 유형별로 그 효과의 차이를 분석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두드림존 시범운영기관에서 실시한 프로그램에 참여한 위기청소년 520명(학교부적응집단 138명, 대안교육집단 92명, 가출집단 57명, 비행집단 190명, 직업훈련집단 43명)이다. 프로그램은 4일간 총 6회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18시간 집중적으로 실시되었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진로성숙도검사와 자체 개발한 프로그램 성취도 검사 및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처리는 참여자의 유형간 프로그램 효과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혼합변량분석(Mixed ANOVA)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두드림존프로그램은 진로성숙도를 제고시키며, 사회진출의 필수 요소인 비전설정, 경제마인드, 직업이해, 구직 및 생활적응기술, 실천의지를 높이는 데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자의 유형에 따른 효과 분석에서 학교부적응집단과 비행집단이 대안교육집단, 가출집단, 그리고 직업훈련집단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성과를 보였다. 또한 프로그램 회기별 만족도에서 참여자들 대부분 흥미성과 유익성에서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회기가 진행될수록 만족도가 조금씩 떨어지는 변화 양상을 보였다. 본 연구는 위기청소년 유형별 특성화 두드림존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Author(s)
조규필권해수김범구박가열
Issued Date
2008-05-31
Type
Article
Keyword
위기청소년자립사회진출두드림존
URI
https://www.nypi.re.kr/repository/handle/2022.oak/1799
Publisher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ISSN
1225-6336
Appears in Collections:
정기간행물 > 한국청소년연구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원문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