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탈 청소년의 문화적응 과정 분석 : 적응유연성을 중심으로
- Alternative Title
- A Study on the Resilience of North Korean Refugee Adolescents in terms of Their Acculturative Process in South Korea
- Abstract
- 본 연구는 문화통합형 북한이탈 청소년들의 문화적응 과정을 적응유연성 중심으로 분석한 질적연구이다. 문화통합형으로 분류된 46명의 북한이탈 청소년들을 추적조사하여 12명을 심층면접한 결과, 문화적응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의지 ․ 지지 ․ 영적 ․ 강인유연성이 탈북 이전 단계, 제3국 체류 단계, 국내 입국 정착단계에 걸쳐 출현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의지유연성은 북한에서의 고생스러운 생활과 죽음에 가까운 북한이탈 과정을 통해 인과적으로 출현되며, 타국에서의 역경, 남한생활에 대한 기대 등은 이러한 의지유연성을 강화시키는 상황적 조건으로 밝혀졌다. 또한 남한에 입국하게 큰 도움을 주는 지지자의 출현은 지지유연성을 나타내는 인과적 조건이며 이러한 지지자를 통해 영적유연성이 이 시기에 발생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지지 및 영적유연성은 다시 의지유연성을 강화시키는 매개적 조건으로 작용하였으며 부적 강인유연성은 긍정적이며 낙관적인 사고를 강화시켜 지지유연성의 매개적 조건이 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를 토대로 한 북한이탈 청소년들의 국내 입국 정착 단계에서의 새로운 개입실천 및 지원방향이 요구되는 바이다.
- Author(s)
- 김윤나
- Issued Date
- 2008-08-31
- Type
- Article
- Keyword
- 북한이탈 청소년; 문화적응; 적응유연성; 현상학적 연구방법; 콜라이찌(Colaizzi) 자료분석 방법
- URI
- https://www.nypi.re.kr/repository/handle/2022.oak/1796
- Publisher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ISSN
- 1225-6336
-
Appears in Collections:
- 정기간행물 > 한국청소년연구
- 공개 및 라이선스
-
- 원문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