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에 대한 태도와 청소년 적대감과의 관계
- Alternative Title
- The Relation between Attitude Toward Parents and Adolescents' Hostility
- Abstract
-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에 대한 태도와 청소년 적대감과의 관계가 어떠한가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서 부모에 대한 태도의 수준과 청소년의 적대감 수준을 각각 알아보고, 그 다음 부모에 대한 태도 수준에 따라 청소년의 적대감이 어떠한 관계를 맺고 있는지를 파악하여, 이 결과를 토대로 청소년 적대감에 관계된 문제들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연구의 결과로는 첫째, 부모에 대한 태도에 있어서는 청소년들의 과반수 정도만이 부모에게 좋은 태도를 보여주고 있으며, 나머지는 부모 중 한 부모나, 부모 모두에게 좋지 않은 태도를 보이고 있다. 둘째, 적대감에 있어서는 청소년들의 과반수 정도가 높은 수준의 적대감을 나타내고 있으며, 나머지도 대부분이 중간 수준의 적대감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들의 적대감이 대체적으로 높은 수준에 있다는 것을 입증해 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부모에 대한 태도와 청소년의 냉소 관계에서는 부의 태도가 청소년의 냉소에 상대적으로 많은 영향력을 주고 있음이 밝혀졌다. 넷째, 부모에 대한 태도와 청소년의 분노와의 관계에서는 모의 태도가 청소년의 분노에 상대적으로 많은 영향력을 주고 있음이 밝혀졌다. 다섯째, 부모에 대한 태도와 청소년의 공격성과의 관계에서는 모의 태도에 따라 청소년의 공격성이 상대적으로 영향력을 많이 받고 있다. 여섯째, 부모에 대한 태도와 청소년의 적대감과의 관계에서는 모에 대한 태도에 따라 청소년의 적대감이 상대적으로 더 많은 영향을 받고 있음이 밝혀졌다. 따라서 청소년의 적대감은 부모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었으며, 대체적으로 부보다는 모에게서 상대적으로 많은 영향을 받고 있어, 청소년의 적대감 관리는 모의 태도가 가장 중요하다고 본다. 이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적대감 수준을 낮출 수 방법이 강구되어야 하고 더 나아가 청소년을 이해하고 긍정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며, 특히 부의 역할보다 모의 역할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 Author(s)
- 한상훈; 강석기
- Issued Date
- 2002-12-01
- Type
- Article
- URI
- https://www.nypi.re.kr/repository/handle/2022.oak/1648
- Publisher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ISSN
- 1225-6336
-
Appears in Collections:
- 정기간행물 > 한국청소년연구
- 공개 및 라이선스
-
- 원문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