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YPI

청소년의 아르바이트 경험 : 그 과정과 의미에 대한 질적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Qualitative Study on Part-Time Work Experiences of Adolescents
Abstract
이 연구는 우리 나라 청소년들의 노동시장 참여경험에 대한 실증연구가 극히 부족하다는 점에 주목하여, 청소년의 아르바이트 경험과 이에 관련된 부모의 역할에 대한 심층자료를 수집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서울과 수도권의 13-18세의 청소년 15명과 청소년 자녀를 둔 4명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심층면접과 focus group 방법을 병행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청소년 아르바이트가 더 이상 일부 불량 청소년이나 불우 청소년에 해당되는 경험이 아니며, 상당수의 학생들이 아르바이트 경험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청소년 아르바이트 경험의 과정과 의미가 다양해서, 아르바이트를 통하여 성취감, 자신감, 자아 존중감의 상승 등을 경험한 아이들이 있는가 하면. 스스로 아무것도 배우지 못하였다고 평가하는 아이들까지 차이의 폭이 켰다. 아이들의 이야기를 종합해 보면 아르바이트의 동기, 일터에서의 피드백의 성격, 부모의 지원과 관여정도 등이 그런 차이를 만들어 내는 중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난다. 청소년 아르바이트의 시작이 비록 일의 내재적 가치에 대한 관심에서 출발하지 않고 경제적 동기에서 비롯되었더라도, 목표가 뚜렷하였던 아이들, 그리고 나아가서 어려운 책임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일 자체에서 긍정적인 경험을 얻은 아이들은 아르바이트 경험에서 많은 긍정적 측면을 발전함을 알 수 있었다. 부모가 자녀의 아르바이트에 긍정적 태도를 가지고 적극적으로 관여한 경우, 청소년의 아르바이트는 일하는 과정뿐 아니라 일해서 번 돈을 쓰는 과정까지 아주 보람있는 경험이 될 수 있음도 보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들의 아르바이트가 긍정적 경험이 되도록 도와주는 사회적 환경 마련의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Author(s)
한경혜
Issued Date
2000-12-01
Type
Article
URI
https://www.nypi.re.kr/repository/handle/2022.oak/1625
Publisher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ISSN
1225-6336
Appears in Collections:
정기간행물 > 한국청소년연구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원문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