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지도의 학문적 정립방향에 대한 일 고찰
- Alternative Title
- A Review on the Youth Education and Leadership as an Academic Discipline
- Abstract
- 우리 나라에서 최근 대학에 청소년지도 관련학과가 점차 확대 설치·운영되고, 민간조직 및 정부기관의 청소년 관련 단체와 조직들이 활성화되어 청소년지도의 새로운 대안을 모색하고 있으나 아직 학문적 뿌리는 미약한 실정이다. 청소년지도는 교과서의 지식 전달 방법과는 다른 원리로서 청소년지도 분야에서 경험학습experiential learning에 의한 활동지도 방법론이 청소년지도의 학문적으로 성장에 매우 중요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해 나갈 수 있다. 이 방법론은 청소년들을 활동의 주체로 간주하고 청소년들이 사전에 마련된 프로그램에 적극적으로 참여involve하고 행함doing으로써 새로운 경험을 체험한 후에 청소년들이 자신들의 체험을 서로 공유하고 자신만의 소중한 경험세계로 새롭게 조직하여 내면화시키고 일반화시켜 일상 생활 속에서 자연스럽게 적용시켜 나가는 원리를 가지고 있다. 특히 경험학습적 접근은 청소년들이 여가와 흥미를 즐기는 수단으로서의 실질적 지도를 제공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해 주고 있으며 청소년들의 야외학습의 특성에 대한 포괄적 전망돠 실천성을 제공해 주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아직은 미흡하지만 청소년지도에 관련된 다양한 학문의 지원과 실천적 탐색, 이론적 검증 등이 보다 활발하게 이루러지게 된다면 청소년지도학이 하나의 학문으로 자리잡는데 중요한 동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Author(s)
- 권일남
- Issued Date
- 1998-12-01
- Type
- Article
- URI
- https://www.nypi.re.kr/repository/handle/2022.oak/1577
- Publisher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ISSN
- 1225-6336
-
Appears in Collections:
- 정기간행물 > 한국청소년연구
- 공개 및 라이선스
-
- 원문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