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YPI

청소년문화 담론 형성을 위한 시론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Study for the Discourse Building of the Korean Youth Culture
Abstract
아래 글은 최근에 우리 사회에서 일고 있는 새로운 흐름인 청소년을 보는 시각의 변환, 발상의 전환, 정책의 변화와 관련하여 이를 뒷받침할 만한 청소년문화 담론의 형성을 위한 제안의 목적으로 쓴 것이다. 이번에 새로 개정된 청소년 현장에서 우리는 청소년을 자기 삶의 주체로 선언하고 있다. 하지만 이것이 선언적인 의미에 그치지 않고 실체적인 정책으로 실현되고 나아가서 청소년들의 삶과 문화를 되살리는데 기여하려면 무엇보다도 그에 걸맞은 학문 및 실천의 담론현성이 필요하다. 이를테면 그동안 청소년을 '문제범주'로만 보아 이들을 대상화하고 객체화 해 온 청소년 연구나 교육이론의 극복과 함께 청소년들을 '주제'로 삼는, 곧 청소년들의 삶의 문화, 나아가서 청소년들이 주체가 된 대중문화 등에 대한 폭넓고 깊이 있는 담론이 절실하다. 이를 위해 우선 서구의 문화연구 등의 다양한 학문적 성과를 비판적으로 수용하고, 우리 교육 및 청소년들의 삶의 상황을 충분히 고려한 담론의 기초를 세워야 한다. 아래 글에서는 이러한 의미에서 지금까지 왜곡되고 상실된 청소년들의 삶과 문화를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나아가서 창조의 공간으로 전환하기 위한 기초로서의 청소년문화 담론 형성의 제안을 시론적이고 원론적인 수준에서 해보고자 한다.
Author(s)
정유성
Issued Date
1998-12-01
Type
Article
URI
https://www.nypi.re.kr/repository/handle/2022.oak/1576
Publisher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ISSN
1225-6336
Appears in Collections:
정기간행물 > 한국청소년연구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원문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