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문화청소년의 눈부신 미래를 위하...
2023-08-04
<p style="text-align: center;"><p style="text-align: center; "><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3/08/20230804_082315457_45710.png" title="" alt=""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br></p><p style="text-align: center;"><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3/08/20230804_082332074_32543.png" title="" alt=""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br></p><p style="text-align: center;"><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3/08/20230804_082342951_98582.png" title="" alt=""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br></p><p style="text-align: center;"><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3/08/20230804_082348677_18340.png" title="" alt=""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br></p><p style="text-align: center;"><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3/08/20230804_082355468_83626.png" title="" alt=""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br></p><p style="text-align: center;"><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3/08/20230804_082404649_29320.png" title="" alt=""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br></p><p style="text-align: center;"><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3/08/20230804_082410919_81618.png" title="" alt=""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br></p><p style="text-align: center;"><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3/08/20230804_082416987_30383.png" title="" alt=""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br></p><p style="text-align: center;"><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3/08/20230804_082424015_81215.png" title="" alt=""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br></p><p style="text-align: center;"><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3/08/20230804_082430514_71732.png" title="" alt=""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br></p><p style="text-align: center;"><br></p></p>
-
청년, 빈곤을 말하다
2023-07-11
<p><p style="text-align: center;"><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3/07/20230718_131124924_64543.png" title="" alt="" border="0" style="width: 840px; height: 840px; border: 0px solid;"><br></p><p style="text-align: center;"><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3/07/20230718_131132733_70039.png" title="" alt="" border="0" style="width: 840px; height: 840px; border: 0px solid;"><br></p><p style="text-align: center;"><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3/07/20230718_131139255_81864.png" title="" alt="" border="0" style="width: 840px; height: 840px; border: 0px solid;"><br></p><p style="text-align: center;"><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3/07/20230718_131147598_16413.png" title="" alt="" border="0" style="width: 840px; height: 840px; border: 0px solid;"><br></p><p style="text-align: center;"><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3/07/20230718_131154489_33390.png" title="" alt="" border="0" style="width: 840px; height: 840px; border: 0px solid;"><br></p><p style="text-align: center;"><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3/07/20230718_131211625_52416.png" title="" alt="" border="0" style="width: 840px; height: 840px; border: 0px solid;"><br></p><p style="text-align: center;"><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3/07/20230718_131218886_40097.png" title="" alt="" border="0" style="width: 840px; height: 840px; border: 0px solid;"><br></p><p style="text-align: center;"><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3/07/20230718_131225878_72977.png" title="" alt="" border="0" style="width: 840px; height: 840px; border: 0px solid;"><br></p><p style="text-align: center;"><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3/07/20230718_131233522_81138.png" title="" alt="" border="0" style="width: 840px; height: 840px; border: 0px solid;"><br></p><p style="text-align: center;"><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3/07/20230718_131239858_06272.png" title="" alt="" border="0" style="width: 840px; height: 840px; border: 0px solid;"><br></p></p>
-
시설퇴소청년의 희망복원을 위한 자...
2023-06-15
<p style="text-align: center; "><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3/06/20230616_141206474_26983.png" title="" alt=""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br></p><p style="text-align: center; "><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3/06/20230616_141214185_84665.png" title="" alt=""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br></p><p style="text-align: center; "><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3/06/20230616_141306779_92516.png" title="" alt=""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br></p><p style="text-align: center; "><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3/06/20230616_141321179_99955.png" title="" alt=""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br></p><p style="text-align: center; "><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3/06/20230616_141329790_44603.png" title="" alt=""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br></p><p style="text-align: center; "><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3/06/20230616_141337991_14851.png" title="" alt=""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br></p><p style="text-align: center; "><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3/06/20230616_141345239_35610.png" title="" alt=""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br></p><p style="text-align: center; "><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3/06/20230616_141353103_28309.png" title="" alt=""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br></p><p style="text-align: center; "><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3/06/20230616_141359499_65593.png" title="" alt=""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br></p><p style="text-align: center; "><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3/06/20230616_141405851_45226.png" title="" alt=""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br></p><p style="text-align: center; "><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3/06/20230616_141412571_63369.png" title="" alt=""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br></p>
-
북한 청소년의 일상을 들여다보다
2023-05-12
<p style="text-align: center;"><p><br></p><p style="text-align: center; "><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3/05/20230516_083046479_64152.png" title="" alt=""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br></p><p style="text-align: center;"><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3/05/20230516_083056740_46934.png" title="" alt=""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br></p><p style="text-align: center;"><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3/05/20230516_083112913_69197.png" title="" alt=""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br></p><p style="text-align: center;"><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3/05/20230516_083123116_02561.png" title="" alt=""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br></p><p style="text-align: center;"><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3/05/20230516_083131409_97395.png" title="" alt=""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br></p><p style="text-align: center;"><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3/05/20230516_083138718_17429.png" title="" alt=""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br></p><p style="text-align: center;"><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3/05/20230516_083145782_32572.png" title="" alt=""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br></p><p style="text-align: center;"><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3/05/20230516_083151705_25297.png" title="" alt=""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br></p><p style="text-align: center;"><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3/05/20230516_083214377_98354.png" title="" alt=""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br></p><p style="text-align: center;"><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3/05/20230516_083220023_93954.png" title="" alt=""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br></p><p><br></p></p>
-
우리들의 목소리도 들어주세요!
2023-04-13
<p style="text-align: center;"><p style="text-align: center; "><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3/04/20230413_151035235_41652.png" title="" alt=""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br></p><p style="text-align: center; "><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3/04/20230413_151041617_06624.png" title="" alt=""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br></p><p style="text-align: center; "><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3/04/20230413_151048755_95887.png" title="" alt=""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br></p><p style="text-align: center; "><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3/04/20230413_151055905_47630.png" title="" alt=""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br></p><p style="text-align: center; "><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3/04/20230413_151103118_57605.png" title="" alt=""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br></p><p style="text-align: center; "><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3/04/20230413_151109906_57315.png" title="" alt=""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br></p><p style="text-align: center; "><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3/04/20230413_151120428_32728.png" title="" alt=""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br></p><p style="text-align: center; "><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3/04/20230413_151126541_61017.png" title="" alt=""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br></p><p style="text-align: center; "><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3/04/20230413_151133395_33208.png" title="" alt=""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br></p><p style="text-align: center; "><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3/04/20230413_151139333_86678.png" title="" alt=""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br></p></p>
-
다문화청소년이 생각하는 학교생활과...
2022-12-22
<p><p style="text-align: center;"><br></p><p style="text-align: center;"><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3/01/20230102_101750965_26627.png" alt="다문화청소년이 생각하는 학교생활과 학업만족도" border="0" style="width: 842px; height: 842px; border: 0px solid;"><br></p><p style="text-align: center;"><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3/01/20230102_101758404_50654.png" alt="다문화청소년은 외국인 가정 자녀, 중도입국청소년, 국제결혼가정 등 한 가족 내에 다양한 문화가 공존하는 가정에서 생활하며 성장하는 청소년을 일컫는 말입니다. / 다문화청소년 증감추이 - 비(非)다문화청소년은 2013년 6,489,349명에서 2021년 5,332,044명으로 감소하였으며, 다문화청소년은 2013년 55,780명에서 160,056명으로 증가하였음(출처 : 여성가족부(2022) 다문화가족 관련 연도별 통계) / 학령기 다문화청소년 추이 - 9-11세(2018년 16.3, 2021년 17.9), 12-14세(2018년 8.6, 2021년 13.5), 15-17세(2018년 5.8, 2021년 6.2), 18-24세(2018년 4.9, 2021년 6.3), 25세 이상(2018년 3.4, 2021년 6.0), 만 9~27세는 43.9%로 '18년 대비 8.3%p 증가(출처 : 여성가족부(2022) 전국 다문화가족실태조사.) / 10여 년 전부터 최근에 이르기 까지 국내 다문화청소년이 점점 많아지고 있는데요." border="0" style="width: 842px; height: 842px; border: 0px solid;"><br></p><p style="text-align: center;"><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3/01/20230102_101805263_73620.png" alt="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은 다문화청소년들이 지닌 환경요인에 따라 학업에 대해 어떤 생각을 갖고 있는 지 알아보고자 초등학교 4학년에 재학 중인 다문화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습니다. / 설문조사 - 조사대상 : 2019년 기준 초등학생 4학년에 재학 중인 다문화학생 총 2,245명, 조사방법 : TAPI(Tablet Assisted Personal Interviewing)을 활용한 1:1 면접조사, 조사기간 : 2019년 6월 ~ 2019년 10월" border="0" style="width: 842px; height: 842px; border: 0px solid;"><br></p><p style="text-align: center;"><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3/01/20230102_101811803_94046.png" alt="설문조사 시 고려된 개인별 환경 특성 : 지역규모, 정체성, 사교육 여부, 정책 수혜경험 / 주요 조사항목 - 01 학교생활적응, 02 성적, 03 성적만족도, 04 희망교육수준" border="0" style="width: 842px; height: 842px; border: 0px solid;"><br></p><p style="text-align: center;"><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3/01/20230102_101817539_57171.png" alt="[조사결과 01] 지역규모에 따른 차이 - 조사대상 다문화청소년들의 거주지를 살펴본 결과, 대도시 거주자가 728(32.4%)명, 중·소도시가 814명(36.3%), 읍·면지역이 703명(31.3%)으로 나타났습니다. 거주지에 따라 학교생활적응, 성적수준, 성적만족도 차이는 없었으나, 대도시 거주자의 경우 다른 집단에 비해 희망교육수준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border="0" style="width: 842px; height: 842px; border: 0px solid;"><br></p><p style="text-align: center;"><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3/01/20230102_101823908_38297.png" alt="[조사결과 02] 정체성에 따른 차이 - 본인이 어느 나라 사람이라고 생각하지 질문한 결과 71.4%는 한국사람이라고 응답했고, 9.4%는 본국사람, 17%는 한국사람이면서 본국사람이라고 응답했습니다. 이중정체성을 지닌 집단이 학교생활적응, 성적, 성적만족도, 희망교육수준이 가장 높았습니다." border="0" style="width: 842px; height: 842px; border: 0px solid;"><br></p><p style="text-align: center;"><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3/01/20230102_101930337_62020.png" alt="설문조사 결과, 다문화청소년들은 환경적 요인에 따라 학업을 바라보고 생각하는 점이 저마다 다른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은 이번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다문화청소년 정책의 방향성을 수립하고 구체적인 정책대안을 마련해갈 계획입니다.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1 다문화청소년 종단연구 - 양계민(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정윤미(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전문연구원), 한지형(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전문연구원)" border="0" style="width: 842px; height: 842px; border: 0px solid;"><br></p><p style="text-align: center;"><br></p><p><br></p></p>
-
청소년들은 기후변화 문제를 어떻게...
2022-12-19
<p style="text-align: center; "><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2/12/20221219_140221538_47439.png" title="" alt=""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2/12/20221219_140228734_33299.png" title="" alt=""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2/12/20221219_140237261_14017.png" title="" alt=""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2/12/20221219_140243345_69358.png" title="" alt=""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2/12/20221219_140250805_19467.png" title="" alt=""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2/12/20221219_140256599_28782.png" title="" alt=""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2/12/20221219_140302808_48764.png" title="" alt=""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2/12/20221219_140308269_25004.png" title="" alt=""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2/12/20221219_140315006_53714.png" title="" alt=""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2/12/20221219_140320336_53468.png" title="" alt=""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br></p>
-
아동·청소년 인권! 잘 보장받고...
2022-11-23
<p><p style="text-align: center; "><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2/11/20221123_140518843_70117.png" alt="우리나라 아동·청소년 인권! 잘 보장받고 있을까요?"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2/11/20221123_140527019_43155.png" alt="오늘을 살아가는 시민이자 인격체로서 존중받을 권리를 지닌 아동·청소년 인권의 주체로서 정당한 삶을 누리고 있을까요?"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2/11/20221123_140533193_51913.png" alt="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은 2021년 6월부터 8월까지 초4~고3 아동·청소년 8,718명을 대상으로 인권실태조사를 실시했습니다. / 주요 조사문항 - 인권일반 및 일반원칙, 시민적 권리와 자유, 폭력 및 학대, 가정환경 및 대안양육, 장애·기초 보건 및 복지, 교육·여가 및 문화적 활동, 특별보호조치 / ※ 유엔아동권리협약에 기반한 '아동·청소년인권지표체계'에 따라 조사문항 구성, ※ '아동·청소년 인권실태조사'는 국가승인통계(제402001)로 본원 홈페이지와 통계청(KOSIS, MDIS)에 조사결과와 원자료 제공"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2/11/20221123_140539573_59454.png" alt="아동·청소년에게 질문했습니다. 인권 관련 협약에 대해 알고 있나요? / 유엔아동권리협약 - 이름도 들어봤고, 어떤 것 인지도 알고 있다 20.1%, 이름만 들어봤다 47.9%, 모른다 32.0% (이름도 들어봤고, 어떤 것인지도 알고 있다 - 2019년 16.1%, 2020년 21.2%, 2021년 20.1%) / 국가인권위원회 - 이름도 들어봤고, 어떤 것 인지도 알고 있다 23.7%, 이름만 들어봤다 54.0%, 모른다 22.3% (이름도 들어봤고, 어떤 것인지도 알고 있다 - 2019년 17.8%, 2020년 24.7%, 2021년 23.7%) / 유엔아동권리협약, 국가인권위원회에 대한 인지도는 모두 20% 초반으로 낮은 편이었습니다."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2/11/20221123_140546165_40125.png" alt="아동·청소년에게 질문했습니다. 참여권을 보장받고 있다고 생각하나요? / 아동·청소년 참여권 보장에 대한 긍정적 인식 - 2019년 68.6%, 2020년 71.0%, 2021년 72.6% (아동·청소년의 참여권을 보장받고 있다 72.6%) / 그렇다면 참여권 보장을 방해하는 요인은? - 청소년을 미성숙한 존재로 보는 사회의 편견 30.7%, 시간 부족 29.2%, 참여 정보 부족 24.2% / 청소년의 72.6%가 '참여권을 보장받고 있다'고 답했으며, 참여권 보장을 방해하는 가장 큰 요인으로는 '청소년을 미성숙한 존재로 보는 사회의 편견'을 꼽았습니다."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2/11/20221123_140552706_12427.png" alt="아동·청소년에게 질문했습니다. 지난 1년 간 한 번이라도 차별 받았던 경험이 있나요? / 지난 1년 간 한 번이라도 차별 받은 경험은? - 연령에 따른 차별 23.0%, 학업성적에 따른 차별 21.7%, 성별에 따른 차별 21.6%, 외모·신체조건에 따른 차별 21.0% / (내가) 다른 사람을 차별했던 경험은? - 외모·신체조건에 따른 차별 9.1%, 연령에 따른 차별 8.1%, 학업성적에 따른 차별 7.4%, 성별에 따른 차별 7.1% / 청소년 5명 중 1명은 지나 1년 동안 나이, 학업성적, 성별, 외모·신체조건 등에 따른 차별을 경험한 적이 있다고 응답했습니다."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2/11/20221123_140601273_74447.png" alt="아동·청소년에게 질문했습니다. 신체적·정신적 건강 상태는 어떤가요? / 수면시간이 부족하다고 느낀다(52.4%) - 이유가 무엇인가요? - 학업문제(47.4%), 인터넷(영상, 블로그 등) (13.7%), 게임(10%.9%) / 죽고 싶다고 생각해본 적이 있다(29.9%) - 이유가 무엇인가요? - 학업문제(45.8%), 미래(진로)에 대한 불안(20.3%), 가족간 갈등(15.9%) / 청소년들은 신체적·정신적 건강(수면부족, 자살 생각 등)을 악화시키는 주요 요인으로 학업문제, 진로에 대한 불안감 등을 꼽았습니다."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2/11/20221123_140608489_63623.png" alt="아동·청소년에게 질문했습니다. 학교를 그만두고 싶다는 생각을 한 적이 있나요? / '학교를 그만두고 싶다고 생각을 한 적이 있다'(25.3%) - 학교를 그만두고 싶은 이유는? - 1순위 귀찮고 아무것도 하기 싫어서(31.0%), 2순위 공부가 하기 싫어서(27.6%), 3순위 성적이 좋지 않아서(16.1%), 4순위 내가 배우고 싶은 내용이 없어서(10.3%) / 청소년 4명 중 1명은 학업중단을 생각해본 적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학교급이 높거나 학업성적이 낮을수록, 경제적 여건이 어려울수록 학업중단에 대한 생각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2/11/20221123_140617858_06604.png" alt="아동·청소년에게 질문했습니다. 언어폭력 및 체별을 경험한 적이 있나요? / 언어폭력 - 부모 30.6%, 교사 9.0% / 신체적 벌 - 부모 24.0%, 교사 3.1% / 청소년들은 1년에 1회 이상 부모와 교사로부터 체벌 받은 경험이 각각 24.0%, 3.01% 있었다고 응답했습니다."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2/11/20221123_140624756_14840.png" alt="조사결과 - 아동·청소년은 학업부담으로 심리적·신체적 어려움을 겪고 있었으며, 인권과 참여의 주체로서 정당한 권리를 충분히 누리지 못하는 것으로 알 수 있습니다."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2/11/20221123_140630538_96766.png" alt="정부는 유엔아동권리위원회가 권고한 130여개 아동·청소년 인권과제를 충실히 이행할 의무를 가지며, 이행결과를 담은 제7차 협약이행 국가보고서를 2024년까지 유엔에 제출해야 합니다. 체계적인 아동권리협약 이행 모니터링을 통해 아동·청소년의 인권 증진을 위한 적극적인 노력을 가속화할 때입니다. *대한민국은 1991년 11월 20일 아동·청소년 인권보장을 위한 국제적 약속인 '유엔아동권리협약'을 비준함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1 아동·청소년 권리에 관한 국제협약 이행 연구 한국 아동·청소년 인권실태 - 김영지(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유설희(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전문연구위원), 최홍일(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전문연구위원)"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br></p></p>
-
청년들의 사회 첫 출발은?
2022-10-24
<p><p style="text-align: center; "><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2/10/20221024_083248542_69952.png" alt="설렘 가득한 시작을 응원합니다! 청년들의 사회 첫 출발은?"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2/10/20221024_083254424_88449.png" alt="처음이라는 단어는 언제나 설렘과 기대를 품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청년들은 성인으로서 사회에 첫 진출하는 시기를 언제로 생각하고 있을까요?"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2/10/20221024_083300415_21892.png" alt="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은 청년 사회 첫 출발 실태와 정책방안을 연구하고자 청년 2,04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습니다. / 사회 첫 출발, 첫 일자리에 대한 설문조사 - 조사 방법 : 개별 방문면접 조사 TAP(Tablet pc-Assisted Personal Interviewing), 조사대상 : 만 18세 ~ 34세 일반 국민 2,041명"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2/10/20221024_083309799_81805.png" alt="[조사결과 01] Q.여러분이 생각하는 사회 첫 출발은 무엇인가요? / 청년들이 생각하는 '사회 첫 출발'의 의미 - 학교를 졸업하는 것 11.1%, 첫 일자리를 갖게 되는 것 35.4%, 부모와 타인으로 부터 경제적으로 독립하는 것 25.2%, 부모(보호자)와 함께 살지 않는 것 4.0%, 결혼 하는 것 7.4%, 자녀를 출산하는 것 0.8%, 주택을 구입하는 것 0.4%, 성인으로서 권리를 갖게 된느 것 15.5%, 기타 0.1%"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2/10/20221024_083316960_67185.png" alt="이 밖에도 성별, 연령이 따라 사회의 첫 출발의 인식이 달랐습니다. / 성별 사회 첫 출발 주요 인식 - 결혼하는 것(남자 8.2%, 여자 6.5%), 성인으로서 권리를 갖게 되는 것(남자 14.1%, 여자 17.1%) / 연령별 사회 첫 출발 주요 인식 - 18~19세(경제적으로 독립하는 것), 20대 초반(성인으로서 권리를 갖는 것), 20대 후반(첫 일자리를 갖게 되는 것), 30대 후반(결혼하는 것)"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2/10/20221024_083323501_49884.png" alt="[조사결과 02] Q.여러분이 생각하는 첫 일자리란 무엇인가요? / 청년들이 첫 일자리로 생각하는 근로기간 - 최소 1일 이상 1.1%, 최소 1주일 이상 4.2%, 최소 1개월 이상 25.6%, 최소 6개월 이상 30.9%, 최소 12개월 이상 27.8%, 최소 24개월 이상 10.0% / 청년들은 최소 6개월 이상, 주당 최소 35시간 이상 일한 경험을 첫 일자리로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2/10/20221024_083329918_59371.png" alt="학교 졸업 여부에 대한 질문에는 전체 응답자의 59.2%가 졸업을 가진 일자리가 첫 일자리라고 답했습니다. / 학교 졸업 여부 - 졸업과 상관없이 40.8%, 졸업 후 59.2%"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2/10/20221024_083335932_11590.png" alt="[조사결과 03] Q.청년들은 만족스럽게 일하고 있는가? 국제노동기구(ILO)는 학교·직업 이행을 일반적 이행과 엄격한 이행으로 구분해 제시하고 있는데요. ①일반적 이행(정규직으로 근무했거나, 계약직이지만 만족스러운 경우) ②불안정 이행(실업 상태이거나, 계약직이면서 불만족스러운 경우) ③엄격한 이행(괜찮은 일자리(Decent Work)여부로 이행 여부를 적용. 정규직 이면서 평균 이상의 수입을 얻는 경우)"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2/10/20221024_083345000_40327.png" alt="조사결과, 청년 중 정규직이거나 만족스러운 일자리로의 이행은 51.6%로 절반 정도에 그쳤으며, 괜찮은 일자리로의 이행 비율은 45.2%로 절반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일반적 이행 - 이행완료 51.6%, 이행중 12.9%, 이행 미시작 35.6% / 엄격한 이행 - 이행완료 45.2%, 이행중 19.2%, 이행 미시작 35.6% / ①이행완료(정규직 이행, 계약직이지만 만족스러운 직업 이행, 비임금으로 만족스러운 이행), ②이행 중(실업 상태, 계약직이면서 불만족스러운 직업 이행), ③이행 미시작(재학 상태, 비경제활동인구로 구직의사가 없는 경우)"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2/10/20221024_083351113_58015.png" alt="무슨 일이든 첫 시작은 두근거리고 설레기 마련입니다. 사회 첫 발을 내딛는 청년들이 희망을 품을 수 있도록,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은 실효성 높은 정책연구를 앞으로도 성실히 수행해 나가겠습니다.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청년 사회 첫 출발 실태 및 정책방안 연구 1 : 일자리 - 김기헌(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br></p></p>
-
미래 시민인 청소년의 정치참여를 ...
2022-09-02
<p><p style="text-align: center; "><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2/09/20220902_094934723_38701.png" alt="미래 시민인 청소년의 정치참여를 높이려면?"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2/09/20220902_094941647_13694.png" alt="최근 청소년의 정치적 참여권을 지속적으로 확대하는 방향으로 사회가 조금씩 변화하고 있습니다."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2/09/20220902_094949043_88718.png" alt="하지만 실질적으로 청소년은 정치적 의사결정 과정에 참여할 기회가 많지 않나, 주체적으로 건강한 시민으로서 성장할 기회를 제한 받고 있는 것이 현실인데요."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2/09/20220902_094955875_82439.png" alt="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은 우리나라 청소년의 정치참여 실태를 알아보고 정치참여 활동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총2,816명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습니다. / 청소년 정치참여 실태조사 - 조사기간 : 2021년 5월~8일, 조사대상 : 전국 17개 시도 중학생 1,400명/고등학생 1,416명"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2/09/20220902_095002591_76648.png" alt="01_정치 이슈, 누구와 대화할까? 청소년들은 정치 관련 이슈에 대하여 주로 부모님, 친구들과 대화를 많이 나누고 있었는데요. / 부모님 43.9%, 친구 30.3%, 기타 : 온라인 유저 12.2%, 학교 선생님 8.8%"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2/09/20220902_095009808_88213.png" alt="02_정치적 견해, 어디에서 영향을 받을까? 특히, 언론매채(43.3%)와 부모님(37.9%)으로부터 정치적 견해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반면, 온라인 유저(14.7%)와 학교 선생님(13.7%)의 경우 청소년들에게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2/09/20220902_095017828_28268.png" alt="03_정치 참여 경험이 미치는 영향은? 청소년들은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얻은 정치 참여 경험이 자신의 정치역량 강화에 다방면으로 도움이 되었다고 답변했는데요. / 서로 다른 정치적 견해를 수용하는 태도에 도움이 되었어요. (54.6%), 사회·정치적 현안에 대한 의사결정 능력 44.9%, 사회·정치적 문제를 이해하는 능력 44.3%, 사회·정치적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 40.1%"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2/09/20220902_095036096_39053.png" alt="04_청소년 정치참여, 저해하는 요인은? 반면, 그들이 정치참여를 저해하는 가장 큰 요인으로 입시 위주의 교육제도(47.2%)를 지목하고 있었습니다. / 요인별 정치참여저해 정도 47.2, 학교에서 정치 참여의 실천적 기회가 제공되지 않음 36.0, 학생정치참여에 대한 사회의 부정적 시각 34.2, 학교에서의 자기 의사표현 등 결정권이 보장되지 않음 23.9, 가정에서의 자기 의사표현 등 결정권이 보장되지 않음 19.3"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2/09/20220902_095042567_83796.png" alt="05_청소년 정치참여, 활성화 방법은? 마지막으로 조사에 응한 청소년들은 정치참여를 활성화할 수 있는 방법으로써 자기 의사표현 등 결정권 보장과 정치 교육 확대가 가장 크게 도움이 될 것이라고 보고 있었습니다. / 학교에서 자기 의사표현 등 결정권 보장 57.5%, 교내 정치 및 인권 교육 확대 55.0%, 가정에서 자기 의사표현 등 결정권 보장 52.9%, 학교 밖 정치 활동 허용 44.2%, 중고등학생 정당가입 허용 35.1%"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2/09/20220902_095150348_01686.png" alt="정책 대안 - 본 연구는 이번 실태조사의 내용을 토대로 청소년들이 정치 이슈에 대해 이해의 폭을 넓히고, 일상 속 문제를 논의하는 체험의 자리가 될 수 있는 다양한 대응방안을 제시했습니다. / 1. 정책과정의 이해를 돕는 유스(Youth) 정치 아카데미, 2. 부모와 함께 정치역량을 높이는 부모동반 정치 프로그램, 3. 참정권의 의미를 되새기는 청소년 모의투표, 4.실제적인 정치참여 기회를 경험하는 범 청소년 의회"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2/09/20220902_095159299_86001.png" alt="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은 우리나라의 청소년이 활발한 정치 참여 경험을 통해 미래사회의 주역으로 목소리를 낼 수 있도록 연구원 정책제안을 지속적으로 치진해 나가겠습니다.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청소년 정치참여 실태 및 활성화방안 연구 - 모상현(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최용환(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위원)"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br></p></p>
-
놀 권리와 놀 기회로 아동·청소년...
2022-08-10
<p><p style="text-align: center; "><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2/08/20220810_075957382_86439.png" alt="놀 권리를 놀 기회로 아동·청소년을 행복하게!"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2/08/20220810_080004765_81136.png" alt="'우리나라 아동·청소년들의 불균형한 삶!' 어떻게 바로 잡아줄 수 있을까요? / 대한민국 아동·청소년들의 학업성취도 OECD 최상위 / 대학민국 아동·청소년들의 주관적 행복지수 OECD 최하위"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2/08/20220810_080011016_68646.png" alt="우리나라는 국제사회 조약 비준 국가의 일원으로 UN 아동권리선언 협약 당사국입니다. 하지만 아동·청소년들의 놀 권리와 행복 추구라는 두 가치에 대한 인식은 부족한 편인데요. / UN 아동권리선업 제7조 - 어린이는 놀이 및 레크레이션의 충분한 기회를 부여 받을 권리는 갖는다. / UN 아동권리협약 31조 - 문화·미술·오락 및 여가활동을 위한 적절하고 균등한 기회의 제공을 장려해야 한다."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2/08/20220810_080019591_40276.png" alt="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은 아동·청소년의 심리적 행복감과 놀이 및 여가활동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아동·청소년 2,99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습니다. / 조사기간 : 2021년 6월 1일~8월 30일 / 조사대상 : 전국 17개 시도 초4~6학년 1,006명, 중1~3학년 987명, 고 1~2학년 999명"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2/08/20220810_080025934_24234.png" alt="조사결과, 놀 권리과 여가 환경은 아동·청소년의 행복도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는데요. 특히 저연령대의 아동·청소년에게는 놀이와 여가환경이 어느 정도 지원되고 있으나, 높은 연령대의 아동·청소년에게는 놀이 여건 및 지원이 매우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2/08/20220810_080032294_02300.png" alt="① 놀 기회의 제공 / 아동·청소년에게 놀이 및 여가활동의 기회가 많이 제공될 수록 심리적 행복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놀이 및 여가활동 기회에 따른 심리적 행복도 비율 - 기회가 매우 충분할 경우 57.7%, 기회가 매우 부족할 경우 11.8%"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2/08/20220810_080038829_55158.png" alt="② 놀이에 대한 주변의 지지 / 놀이 및 여가활동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지지도가 높을수록 아동·청소년의 행복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주변 지지도에 따른 '높은' 심리적 행복도 - 매우 높을 경우 21.3%, 높을 경우 13.2%, 낮을 경우 9.9%, 매우 낮을 경우 7.4%"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2/08/20220810_080045255_11976.png" alt="③ 놀이 여가활동 유형별 욕구 / 아동·청소년들의 놀이 유형에 대한 욕구를 살펴보면, 취미·특기 활동과 자유놀이 활동에 대한 수요가 높았습니다. 자유로운 휴식 3.65점, 자유로운 놀이 활동 3.66점, 오락 활동 3.52점, 문화예술 활동 3.52점, 취미·특기 활동 3.77점, 자원봉사 활동 3.5점"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2/08/20220810_080051254_21594.png" alt="보다 행복한 아동·청소년의 미래를 위해서 휴식시간과 놀 시간 보장, 다양한 놀이활동 제공 등 놀이 및 여가활동 정책을 확대 추진 할 필요가 있습니다."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2/08/20220810_080057511_83092.png" alt="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은 본 연구를 통한 문제점과 시사점에 대한 분석을 통해 아동·청소년 놀이 정책의 비전과 정책목표를 포함한 정책과제를 제안하였습니다. / 비전 - 놀이하면 성장하는 아동·청소년을 위하여 / 정책 목표 - 청소년의 놀 권리 보장을 위한 제도 개선, - 청소년이 안전하고 행복하게 놀 수 있는 사회 환경 조성, - 청소년의 놀이를 통한 성장지원에 관한 인식 개선 / 정책과제 - 놀 권리 강화, 학습으로써의 놀이지원, 놀이활동 활성화, 법 제도적 지원"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2/08/20220810_080103812_49971.png" alt="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은 우리나라 아동·청소년이 놀 권리와 놀 기회를 통해 정신적·신체적으로 건강하게 자랄 수 있도록 정책과 지원방안을 지속적으로 마련해 나가겠습니다.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아동·청소년의 놀이 실태 및 성장지원 방안 연구 - 김영한(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이유진(한국청소년정연구원 선임연구위원)"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br></p></p>
-
디지털 성범죄 OUT!
2022-07-11
<p><p style="text-align: center; "><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2/07/20220711_141105502_82714.png" alt="성범죄 예방교육으로 아동·청소년 보호하자! 디지털 성범죄 OUT!"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2/07/20220711_141113552_49818.png" alt="디지털 성범죄로 이어지는 관문 / 온라인 그루밍 / 온라인 그루밍은 채팅 앱 등 온라인 매체를 통해 신뢰 관계를 형성한 후 약점을 잡아 성적 노예 혹은 돈벌이 등의 목적으로 이용하는 범죄 행위입니다. 주로 익명계정과 오픈채팅으로 호의와 친절을 가장하여 접근하는데, 기프티콘 같은 작은 선물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2/07/20220711_141120039_13946.png" alt="아동·청소년 디지털 대응방안 필요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은 아동·청소년 대상 디지털 성범죄 현황과 대응 방안을 연구하기 위해 전국 청소년 3,789명 대상으로 '온라인 그루밍 노출 현황조사'를 실시했습니다. / 온라인 그루밍 노출 현황조사 - 초등학교 5학년~고등학교 3학년, 총 3천 789명 / 조사기간 : 2021년 6월~8월 / 조사대상 : 전국 청소년(초등학교 5학년~고등학교 3학년)"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2/07/20220711_141126939_13537.png" alt="중학생 10명 중 2명 오픈채팅 경험?! / 청소년 10명 중 2명 가량(19.6%)은 온라인 그루밍 범죄의 통로인 오픈 채딩에 참여한 경험이 있었으며, 여자 청소년은 21.7%는 익명 계정을 보유·사용한 경험이 있었습니다. / 오픈 채팅에 참여한 경험이 있다 19.6%, 익명 계정을 보유·사용한 경험이 있다 21.7%"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2/07/20220711_141133687_64411.png" alt="아동·청소년 대상 조사결과① / 낯선 타인으로부터 개인톡을 받아본 적 있다? 오픈채팅을 해본 청소년 중 75.4%는 '낯선 타인으로부터 개인톡을 받아본 적 있다'고 답했으며, 중학교 1,2학년 여자 청소년들의 비율이 높았습니다. "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2/07/20220711_141140238_48053.png" alt="아동·청소년 대상 조사결과② / 낯선 이에게 개인정보를 알려준 적 있따? 전체 청소년 중 나이를 알려준 경험은 56.2%, 이름을 알려준 경우는 37.8%, 휴대전화 번호를 알려준 경험은 17.1%, 사는 지역이나 생년월일을 알려준 경우는 4명 중 1명 꼴로 나타났습니다."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2/07/20220711_141146546_82903.png" alt="아동·청소년 대상 조사결과③ / 온라인 만남이 오프라인으로 이어진 적 있다? 전체 청소년 중 10.2%는 온라인을 통해 알게 된 사람을 직접 만난 적이 있다고 답했습니다. 이 비율은 여자 청소년(11.5%)이 남자 청소년(9%)보다 높았습니다."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2/07/20220711_141153534_33639.png" alt="아동·청소년 대상 조사결과④ / 관련 예빵교육의 경험이 있다? 응답한 청소년의 절반 이상은 개인정보 보호교육(58.4%)이나 온라인 성폭력 예방교육(76.2%)을 받아본 경험이 있었으며, 관련 교육경험(개인정보 보호, 온라인 성폭력 예방)이 있는 집단이 온라인 환경에서 위험한 행동을 적게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2/07/20220711_141201506_47282.png" alt="조사결과, 많은 아동·청소년들이 온라인 익명 채팅 등으로 낯선 이를 만나고 있었는데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은 이에 대한 법 제도적 보완책이 필요하다고 제언했습니다. / 예방교육의 조기 실시 필요 - 초등학교 5학년 이전부터 디지털 성범죄 예방교육을 실시할 필요가 있음 / 특정 취약 시기 교육 프로그램 보완 필요 - 특정 취약 시기 중1,2의 여자 청소년 대상으로 보다 명확하고 표적화된 예방 교육 프로그램 필요 / 법적 제도적 보완책 필요 - 온라인 그루밍에 대해 실효성 있는 금지 및 처벌규정 필요, 아동 성착취물에 대한 기업의 모니터링 의무 및 사회적책임 프로그램 활성화, 국제공조 신고시스템 구축 및 아동·청소년 성범죄 전담기구 설치"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2/07/20220711_141207213_13841.png" alt="아동·청소년들이 초등학교 시기부터 디지털 성범죄 위협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아동·청소년들의 온라인 활동 실태와 온라인 그루밍 노출 위험을 고려하여 초등학교 5학년 이전부터 관련 예방교육을 집중 강화해 나가야 하겠습니다. / 한국청소년 정책연구원 아동·청소년 대상 디지털 성범죄 현황 및 대응방안 연구 - 장근영(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임지연(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br></p></p>
-
후기청소년은 건강할 권리를 보장받...
2022-06-07
<p><p><br></p><p style="text-align: center;"><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2/06/20220607_085506664_67087.png" alt="후기청소년은 건강할 권리를 보장받고 있을까?"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br></p><p style="text-align: center;"><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2/06/20220607_085517719_73977.png" alt="후기청소년이란! 성인기 이행 단계에 있는 만 19~24세 *청소년기본법 제3조(정의) : '청소년'이란 9세 이상 24세 이하인 사람을 말한다. / ①부모나 사회의 보호에서 벗어나기 시작하는 시기 ②건강습관이나 건강위험행동이 고착화되는 시기 ③취업 등 진로에 대한 스트레스와 미래에 대한 불안이 높은 시기 ④예비부모의 시기"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br></p><p style="text-align: center;"><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2/06/20220607_085528042_03023.png" alt="후기청소년은 전·중기 청소년들에 비해 같은 연령대 내에서 대학(원)생, 취업자, 취업준비자, 군장병, 니트 등 훨씬 다양한 환경에 놓여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br></p><p style="text-align: center;"><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2/06/20220607_085537735_12530.png" alt="후기청소년 건강 관련 언론기사(2016~2020) 키워드 분석 결과 우울증, 자살 등의 정신건강 관련 내용이 사회적으로 가장 중요하게 다뤄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br></p><p style="text-align: center;"><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2/06/20220607_085555499_35109.png" alt="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은 후기청소년의 건강권 보장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만 19~24세, 2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습니다. / 건강권 보장 실태조사 대상 - 대학(원)생 1,180명, 취업자 420명, 취업준비자 200명, 군장병 200명 *자료수집방법 : 온라인 설문조사"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br></p><p style="text-align: center;"><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2/06/20220607_085604709_44196.png" alt="① 건강행태 - 후기청소년들은 수면, 영양, 식습관, 음주, 흡연, 신체활동 등 영역에서 개선이 필요한 상황이었습니다. / 수면 장애 17.2%, 주 3-4회 이상 간편식 이용 32.5%, 7일 동안 20분 이상 운동한 적 없다 40.6%, 월간 폭음률 35.0%, 현재 흡연율 22.0%, 비만율 28.2%"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br></p><p style="text-align: center;"><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2/06/20220607_085613277_78918.png" alt="② 정신건강 - 후기청소년들의 스트레스 수준은 10점 만점에 6.51점으로 보통을 상회하였습니다. 특히 4명 중 1명은 치료가 필요한 중등도 이상의 우울 상태였으며, 자살방법을 구체적으로 생각해 본 비율도 16.3%에 달하였습니다."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br></p><p style="text-align: center;"><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2/06/20220607_085623823_56116.png" alt="③ 건강검진/심리상담·치료 - 최근 2년간 건강검진을 받은 후기청소년은 32.9%에 불과하였으며, 특히 41.4%가 무료 국가건강검진에 대해 알지 못했습니다. / 질문 : 무료 국가건강검진에 대해 알고 있나요? / 응답 : 모름 41.4% / 또한 우울과 불안에서 중증도 이상으로 분류되었지만 검사, 상담, 치료를 받지 않은 비율이 77.6%에 달하였습니다."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br></p><p style="text-align: center;"><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2/06/20220607_085633006_55445.png" alt="후기청소년들이 가장 우선적으로 확대되기를 희망하는 정책은 심리지원 서비스 정책과 건강검진 지원 정책이었습니다. / 후기청소년 건강권 보장 정책 수요 조사결과 : 심리지원 서비스(1+2+3순위 55.2, 1순위 23.3), 건강검진 지원(1+2+3순위 53.4, 1순위 23.2), 주요 질병 치료비 지원(1+2+3순위 50.7, 1순위 14.4), 영양/식생활 관리 지원(1+2+3순위 37.6, 1순위 11.3), 생활체육시설 확대(1+2+3순위 37.0, 1순위 9.6), 유급병가 정책(1+2+3순위 21.3, 1순위 7.6), 금연 정책(1+2+3순위 17.4, 1순위 5.2), 비만관리 대책(1+2+3순위 15.6, 1순위 3.4), 음주폐해 예방(1+2+3순위, 1순위 1.8)"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br></p><p style="text-align: center;"><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2/06/20220607_085641169_95245.png" alt="후기청소년의 건강권 보장을 위해서는 보편적 관점의 정책과 대상별 특성을 고려한 특화 정책을 병행하여 추진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되었습니다. / 정책제언 = 전체 후기청소년 대상 보편적 관점의 정책으로 큰 틀 유지 + 대상별(대학(원)생, 취업자, 취업준비자, 군장병, 니트 등)특화 정책으로 보완 + 청년 1인 가구 및 영 케어러(Young carer)대상 지원 방안 마련"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br></p><p style="text-align: center;"><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2/06/20220607_085650060_38979.png" alt="후기청소년들이 도달 가능한 최고 수준의 건강을 누릴 권리를 보장받을 수 있도록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더욱 노력하겠습니다.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청소년의 건강권 보자을 위한 정책방안 연구 Ⅲ:후기청소년 - 임희진(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황여정(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br></p><p><br></p></p>
-
청소년이 가고 싶은 청소년시설, ...
2022-05-12
<p><p style="text-align: center; "><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2/05/20220512_170435612_49802.png" alt="청소년이 가고 싶은 청소년시설 무엇이 필요할까?"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2/05/20220512_170441034_32552.png" alt="학교, 학원, 집을 쳇바퀴처럼 돌고 있는 우리의 청소년들 / 청소년에게는 그들이 원할 때 휴식, 충천, 체험을 하면서 미래를 꿈꿀수 있는 공간이 필요한데요."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2/05/20220512_170448014_14394.png" alt="청소년들이 이용중이 시설은 1990년대 청소년기본법과 청소년육성기본계획 이후에 세워진 것이 많아, 새로운 패러다임에 따른 변화가 필요한 상황입니다. / 청소년시설의 종류 - (생활권 시설 : 청소년수련관, 청소년문화의집, 청소년특화시설), (자연권 시설 : 청소년수련원, 청소년야영장, 유스호스텔)"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2/05/20220512_170454096_40837.png" alt="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은 미래지향적 청소년시설을 위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청소년시설에 대한 청소년의 요구를 살펴보았습니다. / 청소년 요구조사 / 조사기간 : 2021년 6월 25일 ~ 8월 12일 / 조사대상 : 청소년수련시설 이용경험이 있는 1,028명의 청소년 / 조사방법 : 온라인 설문조사"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2/05/20220512_170500325_37821.png" alt="①생활권 청소년시설 만족도 / 청소년문화의집 - 매우만족 33.8%, 만족 46.7%, 보통 18.5%, 불만족 1%, 매우불만족 0% / 청소년수련관 - 매우만족 20.2%, 만족 49%, 보통 27.4%, 불만족 3.3%, 매우불만족 0% / 청소년특화시설 - 매우만족 25.9%, 만족 35.2%, 보통 33.3%, 불만족 5.6%, 매우불만족 0% / 생활권 시설에 속하는 청소년문화의집, 청소년수련관, 청소년특화시설의 만족도는 60% 이상으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습니다."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2/05/20220512_170506452_35540.png" alt="②자연권 청소년 시설 만족도 / 청소년수련원 - 매우만족 5.8%, 만족 24.8%, 보통 59.9%, 불만족 7.3%, 매우불만족 2.2% / 청소년야영장 - 매우만족 0%, 만족 35.3%, 보통 64.7%, 불만족 0%, 매우불만족 0% / 유스호스텔 - 매우만족 7.1%, 만족 32.7%, 보통 50%, 불만족 8.2%, 매우불만족 2% / 자연권 시설에 있는 청소년수련원, 청소년야영장, 유스호스텔에 대한 만족도는 30%대로 낮은 편이었습니다."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2/05/20220512_170512518_16850.png" alt="③청소년시설 개선사항 / 생활권 청소년시설(청소년수련관, 청소년문화의집, 청소년특화시설)의 가장 큰 개선사항으로는 '먼 거리'를 꼽았습니다. 자연권 청소년시설(청소년수련원, 청소년야영장, 유스호스텔)의 개선사항으로는 '시설 노후화'를 지적했습니다."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2/05/20220512_170518405_99255.png" alt="④청소년시설별 개선이 필요한 공간 / 청소년들은 각 시설별로 가장 개선이 필요한 시설 공간을 다양하게 지적했습니다. / 청소년수련관 안에 화장실이 부족하고 휴지도 없는 경우가 많아요. 샤워실도 개별샤워실이면 좋겠어요. / 청소년수련관 - 위생시설 / 청소년문화의집 - 활동시설과 휴게시설 / 청소년특화시설 - 활동시설 / 청소년수련원 - 생활관 / 유스호스텔 - 숙박실 / 청소년야영장 - 대피시설과 체육활동장"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2/05/20220512_170524232_12134.png" alt="⑤추가 설치가 필요한 시설공간 / 추가 설치가 필요한 시설로는 체육시설, 휴게실과 같은 편의시설에 대한 요구가 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청소년수련관 - 체육시설 / 청소년문화의집 - 휴게실 / 청소년특화시설 - 동아리학습실과 컴퓨터실습공간 / 청소년수련원 - 휴게실 / 유스호스텔 - 매점 / 청소년야영장 - 화장실 / 청소년문화의집 휴게실은 조용히 쉴 수 있는 공간이 되었으면 좋겠어요."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2/05/20220512_170529834_32605.png" alt="청소년과 시설종사자, 청소년 전문가의 의견을 종합하여 얻은 응답내용과 청소년 전문가 자문을 거쳐 청소년 시설을 위한 혁신방향을 도출했습니다. / 청소년 시설을 위한 혁신방향 ①청소년시설의 공공성 회복을 지향해야 한다. ②청소년시설의 자율성을 강화해야 한다. ③시설공간의 청소년 친화성을 강화해야 한다. ④디지털 및 친환경 기술 등 미래지향성 확대해야 한다."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2/05/20220512_170534888_46467.png" alt="청소년들이 그들의 가치에 걸맞는 미래지향적인 공간을 누릴 수 있도록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더욱 노력하겠습니다.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미래지향적 청소년 시설 및 공간 혁신방안 연구 - 김경준(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강경균(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위원)"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br></p></p>
-
대안교실 담당자는 학교 내 대안교...
2021-12-30
<p><p style="text-align: center;"><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1/12/20211230_093713041_27382.png" alt="대안교실 담당자는 학교 내 대안교실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을까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br></p><p style="text-align: center;"><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1/12/20211230_093739837_90617.png" alt="학교 내 대안교실이란? 다양하고 특별한 교육적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정규 교육과정의 일부 또는 전부를 대체하여 대안적 교육 프로그램을 편성·운영하는 별도의 학급을 말합니다.(교육부, 2014.12.26.;교육부,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부설 학업중단예방 및 대안교육지원센터, 2016)"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br></p><p style="text-align: center;"><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1/12/20211230_093747443_27457.png" alt="대안교실이 도입된 지 8년이라는 시간이 흘렀지만, 대안교실 담당자는 아직도 많은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대안교실에 대해 교장선생님, 담임선생님들께 뭐라고 설명해야 하죠?' '대안교실에는 학교부적응 학생들만 참여한다고 생각해서 잘 오지 않아요.' '대안교실 프로그램은 어떻게 구서 및 운영해야 할까?'"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br></p><p style="text-align: center;"><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1/12/20211230_093755478_22642.png" alt="본 연구에서는 대안교실 담당자 인식을 조사하여 대안교실 발전을 위한 주요 과제를 살펴보고자 하였습니다. ①Q모집단 구축 ②Q표존 선정 ③P표본 선정 ④Q분류 ⑤자료처리 및 해석 - 최종 진술문 30개 확정, 총 31명의 P표본을 대성으로 인터뷰 진행"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br></p><p style="text-align: center;"><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1/12/20211230_093804294_65394.png" alt="연구결과, 대안교실에 대한 담당자의 인식 유형은 초 4개 유형으로 구분되었습니다. ①대안교실 지원 제도 체계화형 ②적극적 업무 수행을 위한 근거 마련형 ③업무 과중으로 인한 소진형 ④협력 강화 우선형"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br></p><p style="text-align: center;"><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1/12/20211230_093812161_34968.png" alt="인식 유형1. 대안교실 지원제도 체계화형 - 지원제도 : 담당자 연수, 지역사회 자원에 대한 정보 제공, 운영 메뉴얼 제작·보급 → 대안교실 취지와 목적에 맞게 참여 학생에게 맞춤형 교육 제공"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br></p><p style="text-align: center;"><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1/12/20211230_093821270_72215.png" alt="인식 유형2. 적극적 업무수행을 위한 근거 마련형 - 담당자로서 권위를 가지고 적극적으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대안교실 운영에 대한 명확한 근거 필요"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br></p><p style="text-align: center;"><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1/12/20211230_093829214_17071.png" alt="인식 유형3. 업무 과중으로 인한 소진형 - 업무 과부화로 인해 한계를 느기고 있는 유혀 → 대안교실 운영 유연화, 예산 지원 확대 등이 필요하지만 업무 부담에 따른 소진이 가장 큰 어려움이라고 응답"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br></p><p style="text-align: center;"><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1/12/20211230_093838286_97743.png" alt="인식 유형4, 협력 강화 우선형 - 관리자, 동료교사, 학부모, 시·도 교육청 → 대안교실 내실화"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br></p><p style="text-align: center;"><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1/12/20211230_093846742_19372.png" alt="본 연구에서는 각 유형의 인식을 토대로 대안교실 발전을 위한 주요과제를 아래와 같이 제시하였습니다. - 담당자의 역량 강화, 명확한 법적 근거 마련, 담당자 동기부여, 취지와 목적에 대한 홍보 - 이는 순차적 혹은 분절적인 것이 아니라, 대안교실 담당자를 지원하는 상호보완적이고 유기적인 체제로 구축되어야 합니다."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br></p><p style="text-align: center;"><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1/12/20211230_093854348_66859.png" alt="한 명의 학생도 소외되지 않는 그 날을 위해! 새로운 미래 교육을 준비하는 지금, 대안교실에 대해 돌아볼 때입니다. 「대안교실에 대한 담당자의 인식 유형 및 지원 방안」 김다인(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사업운영원), 지슬비(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사업운영원)"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br></p></p>
-
우리나라 아동·청소년은 인권을 보...
2021-12-02
<p><p style="text-align: center; "><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1/12/20211202_110115841_70514.png" alt="유엔아동권리협약 비준 30주년 우리나라 아동·청소년은 인권을 보장받고 있을까?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1/12/20211202_110121890_90017.png" alt="1989년 11월 20일, 유엔총회에서 채택된 「유엔아동권리협약」 이 협약은 만 18세 미만 아동의 권리를 포괄적으로 규정하고 있는데요. 우리나라는 1991년 11월 20일 「유엔아동권리협약」을 지준했습니다. 유엔아동권리협약을 비준한 지 30년, 우리나라 아동·청소년은 인권을 보장받고 있을까요?"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1/12/20211202_110127749_39986.png" alt="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은 2020년에 전국 초·중·고 학생 8,623명을 대상으로 '아동·청소년인권실태조사'를 실시했습니다. [주요 조사문항] 아동·청소년인권지표체계 -유엔아동권리협약 기반- 인권일반 및 일반원칙, 가정환경 및 대안양육, 시민적 권리와 자유, 장애·기초 보건 및 복지, 특별보호조치, 폭력 및 학대, 교육·여가 및 문화적 활동 '아동·청소년인권지표체계'는 7개 대분류 영역 114개 지표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중 41개 지표항목을 아동·청소년인권실태조사를 통? 산출하고 있습니다."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1/12/20211202_110134052_68661.png" alt="인권 관련 협약 및 기관 인지도 - 인권 관련 협약 및 기관에 대한 인지도를 조사한 결과, 유엔아동권리협약, 국가인권위원회 모두 인지도가 낮은 편이었습니다. "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1/12/20211202_110140638_81511.png" alt="차별 경험 - 1년에 한 번이라도 차별받은 경험이 있는지 조사한 결과, '나이'에 따른 차별 경험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어리다는 이유로 차별받은 경험 32.6%' 자신이 다른 사람을 차별한 이유 또한 '나이'가 1순위인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1/12/20211202_110147139_31639.png" alt="건강 및 여가 - 아동·청소년은 여가와 운동, 수면시간이 부족했으며 학업부담으로 인해 신체적, 정신적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수면부족 이유로는 숙제와 학원 및 학업문제가 41.9%로 가장 높게 나타났습니다."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1/12/20211202_110153253_13637.png" alt="교육 - '학교를 그만두고 싶다'고 생각한 적이 있는 아동·청소년은 23.6%로, 학교급이 올라갈수록, 그리고 가정의 경제적 수준이 낮다고 생각할수록 많게 나타났습니다. '죽고 싶다는 생각을 해본 적이 있다'고 응답한 학생은 27.0%로, 학업부담과 성적 등 학업문제(39.8%)가 주된 이유로 꼽혔습니다."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1/12/20211202_110159035_19075.png" alt="폭력 - 그리고 최근 1년 이내 부모, 교사로부터 체별 경험이 있는지 물었는데요. 부모로부터 신체적 체별을 받은 경험이 있는 아동·청소년은 22.9%, 교사로부터 체별을 받은 경험이 있는 아동·청소년 4.0%인 것으로 나타나 신체폭력 및 학대가 여전히 존재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1/12/20211202_110206123_74379.png" alt="참여 및 인권의식 - 71.0%의 아동·청소년이 우리 사회에서 참여권을 보장받고 있다고 응답했지만, 실제 지표들은 낮은 참여권 수준을 보여부고 있으며 청소년을 미성숙한 존재로 보는 사회적 편견이 참여의 장애가 되고 있습니다. 학생회 운영 자율권 보장정도는 40~50% 수준에 그쳤으며, '학생회 대표가 학교운영위원회에 참여하여 발언할 수 있다'는 응답율은 27.4%로 낮게 나타났습니다. 아동·청소년 참여기구 인지도는 11.9%에 불과했습니다. "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1/12/20211202_110212726_59180.png" alt="청소년의 참여에 대한 긍정적 가능성도 볼 수 있는데요, 청소년은 결정능력이 부족하므로 성인의 생각에 따라야 한다는 의견에 69.9%는 '그렇지 않다'고 응답했으며, 87.3%가 청소년도 사회와 정치문제에 참여해야한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자신의 인권이 존중받는다고 답한 아동·청소년 83.75로 문항별 응답결과에 비해 인권수준을 높게 인식하고 있는데, 이는 인권감수성 증진에 필요성을 보여주는 결과이기도 합니다."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img src="https://www.nypi.re.kr:443/dext5upload/2021/12/20211202_110219060_54628.png" alt="아동·청소년은 오늘을 살아가는 시민이자 인권은 주체입니다. 대한민국은 협약 비준국으로서 아동권리협약에 규정된 아동·청소년 권리를 보장해야 할 의무를 가지고 있습니다. 협약 비준 30년을 맞아 유엔아동권리협약을 성실히 이행하고 아동·청소년 인권을 보장하기 위한 노력을 더욱 가속화해야 할 것입니다. 한국정책연구원 「2020 아동·청소년 권리에 관한 국제협약 이행 연구 - 한국 아동·청소년 인권실태 : 총괄보고서」 김영지(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선임연구위원), 황세영(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연구위원), 최홍일(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전문연구원)" border="0" style="width: 859px; height: 859px; border: 0px solid;"><br></p></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