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자치구 청년참여 활성화 지원 용역
- Abstract
- 청년문제가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면서 지방정부 차원에서 청년을 대상으로 하는 정책이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정책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지역 내 청년의 수요를 반영한 정책을 수립·집행할 필요가 있다. 특히, 주민의 접근성이 높은 지방정부차원에서는 기초자치단체에서 청년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이에 따른 정책을 집행하는 것이 정책수혜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으로 제시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서울시는 자치구 정책 수요에 기반한 수요자 중심의 청년정책을 발굴하고자 청년참여 활성화 지원사업을 추진하였다. 그러나 기존의 청년정책을 수행한 결과 및 효과가 가시적이지 않은 측면이 있어 정책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요구되었다. 자치구 수준에서 청년참여를 활성화하고 정책의 효과를 제고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청년 참여기구의 운영 현황을 파악하고, 정책 제안의 주체인 청년들의 정책 수립 역량을 증진하기 위한 교육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서울시 자치구 청년참여기구의 운영 현황에 대한 현장조사와 정책역량 강화를 목적으로 교육을 수행하였다. 또한 금천구, 강동구, 중구 등 일부 자치구를 제외한 22개 자치구를 대상으로 자치구 청년참여기구 운영지원·관리, 교육 및 정책컨설팅 기획·운영을 수행하였다. 또한, 청년정책 컨설팅단을 구성하여 정책개발 컨설팅 및 자문, 정책 제안서 작성에 대한 역량을 증진하고자 하였다.
또한, 2022년과 2023년 실적 기준으로 청년정책의 평가를 수행하여 각 자치구별로 추진하고 있는 기반사업과 특화사업에 대한 평가 결과를 도출하고, 평가시 나타난 성과정보에 근거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Author(s)
- 최용환; 이동성; 장혜윤; 임채홍
- Issued Date
- 2023
- Type
- Report
- Keyword
- 청년문제; 청년참여; 청년참여 활성화; 자치구; 청년정책
- URI
- https://www.nypi.re.kr/repository/handle/2022.oak/6280
- Table Of Contents
- I. 사업 추진의 목적과 필요성 1
1. 사업 추진목적 및 필요성 3
2. 사업 내용 및 범위 4
Ⅱ. 자치구 청년참여 활성화 관련 교육 5
1. 공무원 대상 교육 7
2. 청년위원 대상 교육 9
Ⅲ. 23년 자치구 청년참여자 교육 및 컨설팅 11
1. 청년참여기구 활성화 지원(컨설팅) 개요 13
2. 자치구별 컨설팅 추진 경과 15
3. 자치구 청년정책 제안의 주요 내용 및 문제점 50
Ⅳ. 22년 자치구 청년참여 활성화 성과평가 53
1. 평가 결과 개요 55
2. 자치구별 평가 결과 63
Ⅴ. 23년 자치구 청년참여 활성화 성과평가 119
1. 평가 결과 개요 121
2. 자치구별 평가 결과 125
Ⅵ. 자치구 청년참여 활성화에 대한 설문조사 및 행동실험결과 분석 181
1. 응답자 특성 183
2. 분석 결과 185
Ⅶ. 정책제언 189
참고문헌 195
- Publisher
- 국무조정실
-
Appears in Collections:
- 연구보고서 > 수탁연구보고서
- 공개 및 라이선스
-
- 원문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