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밖 청소년 지역사회 지원방안 연구Ⅴ
- Alternative Title
- 질적 종단자료 심층분석 보고서
- Abstract
- 2022년에 「학교 밖 청소년 지역사회 지원방안 연구: 질적패널조사를 중심으로」연구가 마지막으로 수행됨에 따라, 협동연구에서 더욱 다양한 주제로 질적종단자료 심층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수집된 학교 밖 청소년 질적패널 대상의 종단적 면접자료를 활용하여, 질적연구와 학교 밖 청소년에 전문성을 지닌 전문연구자들과 함께 학교 밖 청소년의 진로발달 및 성인기 이행, 지원서비스와 관련한 심층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① 학교 밖 청소년이 학교를 그만둔 이유와 경험, 자퇴에 대한 인식 변화, 그리고 성인기 이행, ② 후기청소년기 학교 밖 청소년 진로발달 및 자립과정, ③ 취약한 상황의 학교 밖 청소년 경험에 관한 질적 종단 분석, ④ 사회적 서비스를 제공받은 학교 밖 청소년의 진로 준비 경험에 관한 종단적 질적연구로, 총 4개 주제의 심층분석이 수행되었다. 20대 중·후반의 기존 패널과 10대 중·후반인 신규 패널의 면담결과를 비교하여 분석한 사례도 있었으나, 대체로 분석 내용에 맞게 기존 또는 신규 패널의 질적자료를 따로 분석하였다.
각 연구자는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다양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안하였으며, 본 보고서의 마지막 장에 이러한 내용들을 통합하여 학교를 그만두기 전 단계와 이후로 구분하여 정책과제들을 제시하였다. ‘학교를 그만두기 전 단계 지원’에서는 학교를 그만두기 전의 일련의 과정에 대한 더욱 체계적인 관리, 취약한 상황에 놓인 청소년을 위한 학교 내 전문가의 적극적인 개입, 정규교육 과정에서의 진로교육 강화를, ‘학교를 그만둔 이후의 지원’으로는 학교 밖 청소년 지원체계 강화, 취약한 환경의 학교 밖 청소년 지원 강화, 대입지원 강화, 학교 밖 청소년에 대한 부정적 인식개선으로 요약, 정리하였다.
- Author(s)
- 김희진; 서고운; 조혜영; 민윤경
- Issued Date
- 2022
- Type
- Report
- Keyword
- 학교 밖 청소년; 질적종단자료; 종단적 질적 분석; 성인기로의 이행
- URI
- https://www.nypi.re.kr/repository/handle/2022.oak/6023
- Table Of Contents
- I.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2. 질적 종단자료 심층분석 개요 5
Ⅱ. 학교 밖 청소년이 학교를 그만둔 이유와 경험, 자퇴에 대한 인식 변화, 성인기 이행: 기존·신규 패널 비교를중심으로 9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1
2. 분석방법 14
1) 조사대상 및 내용 14
2) 자료 분석 방법 17
3. 분석결과 18
1) 학교를 그만둔 이유 18
2) 학교를 그만둔 이유에 관한 다층적 분석 32
3) 학교를 그만둔 이유와 이후 경험: 기존 패널과 신규 패널 비교 37
4) 자퇴에 대한 인식 변화 42
5) ‘자립’에 대한 생각을 통해 살펴본 학교 밖 청소년의 성인기 이행의 특징 51
2. 요약 및 정책적 시사점 56
1) 요약 56
2) 정책적 시사점 59
Ⅲ. 후기청소년기 학교 밖 청소년 진로발달 및 자립과정 63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65
2. 분석방법 69
1) 분석개요 69
2) 분석방법 73
3. 분석결과 74
1) 개별 참가자들의 진로 궤적 74
2) 학교 밖 후기청소년 진로 및 자립 과정 분석 76
4. 요약 및 정책적 시사점 95
Ⅳ. 취약한 상황의 학교 밖 청소년 경험에 관한 질적 종단 분석 10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03
2. 분석방법 105
1) 분석개요 105
2) 분석방법 107
3. 분석결과 111
1) 취약한 상황별 사례 111
2) 취약한 학교 밖 청소년들의 지지체계 123
4. 요약 및 정책적 시사점 133
1) 요약 133
2) 정책적 시사점 135
Ⅴ. 사회적 서비스를 제공받은 학교 밖 청소년의 진로준비 경험에 관한 종단적 질적 연구 139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41
2. 분석방법 144
1) 참여자 선정기준 144
2) 참여자 특성 및 소개 145
3) 자료분석 148
4) 연구의 신뢰성과 타당성 149
3. 분석결과 150
1) 1차 년도 결과 152
2) 2차 년도 결과 161
3) 3차 년도 결과 173
4. 요약 및 정책적 시사점 180
Ⅵ. 결론 189
1. 요약 191
1) 「학교 밖 청소년이 학교를 그만둔 이유와 경험, 자퇴에 대한 인식 변화, 그리고 성인기 이행」 연구 요약 192
2) 「후기청소년기 학교 밖 청소년 진로발달 및 자립과정」 연구 요약 193
3) 「취약한 상황의 학교 밖 청소년 경험에 관한 질적 종단 분석」 연구 요약 195
4) 「사회적 서비스를 제공받은 학교 밖 청소년의 진로준비 경험에 관한 종단적 질적 연구」 요약 196
2. 통합적 정책 제언 298
참고문헌 201
- Publisher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Appears in Collections:
- 연구보고서 > 협동연구보고서
- 공개 및 라이선스
-
- 원문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