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버스를 활용한 청소년정책 혁신모델 구축방안 연구
- Abstract
- 본 연구는 청소년들이 체감하는 메타버스의 경험이 청소년들에게 어떠한 변화를 가져오는지 살펴보고, 청소년정책의 혁신모델로서 메타버스 기술이 접목 혹은 활용되는 방안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 메타버스의 개념과 활용의 현황 그리고 메타버스 관련 청소년정책 및 청소년사업과 관련한 연구를 찾아 분석하였다. 또한 1)메타버스 관련 청소년실태조사, 2) 시차비교를 이용한 메타버스 활용에 대한 행동실험 성과분석, 3) 계층적분석법(AHP) 및 중요도-성과도 분석(IPA)을 통한 청소년 현장 전문가 의견조사를 통한 메타버스 활용전략 분석하였다. 이와 더불어 청소년이 주도적으로 구축한 메타버스에 대한 활용도와 현장 적용시 문제점 등을 분석하는 소집단 FGI 면담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1) 법제도적 개선으로서 ‘① 메타버스 이용 청소년 보호를 위한법 제정’, 2) 미래형 디지털인재 육성으로서 ‘② 메타버스 관련 미래형 경제활동과 경제가치 교육’과 ‘③ 청소년기의 메타버스 관련 미래인재 육성 활성화’ 그리고 3) 대상별 맞춤형 지원으로서 ‘④ 메타버스를 활용한 교육격차 해소와 사교육 경감’ 및 ‘⑤ 메타버스를 활용한 청소년 맞춤형 사회안전망 구축사업’, 4) 청소년정책(활동, 보호복지) 현대화 측면의 ‘⑥ 미래 청소년활동 프로그램 현대화’, ‘⑦ 메타버스 플랫폼을 통한 청소년 참여확대’, ‘⑧ 메타버스를 활용한 개인심리정서 지원사업’ 그리고 5) 청소년기 학교교육과 연계로서 ‘⑨ 증강현실(AR)과 가상세계(VR)를 활용한 학교교육 연계’의 총 9가지 정책을 제언하였다.
- Author(s)
- 최용환; 좌동훈; 박윤수
- Issued Date
- 2022
- Type
- Report
- Keyword
- 메타버스; 청소년정책; 혁신모델
- URI
- https://www.nypi.re.kr/repository/handle/2022.oak/6008
-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2. 연구방법 4
1) 문헌연구 4
2) 양적 연구: 메타버스 관련 청소년 실태 조사 4
3) 양적 연구: 시차비교를 이용한 메타버스 활용에 대한 행동 실험 성과분석 5
4) 양적 연구: 청소년 현장 전문가 의견조사를 통한 메타버스 활용전략 분석 6
5) 질적 연구 7
6) 사례조사 및 청소년현장의 사업성과 사례분석 8
3. 연구추진 절차 9
Ⅱ. 메타버스와 청소년의 성장에 대한 이론적 논의
1. 메타버스의 개념과 유형 15
1) 메타버스의 정의 15
2) 메타버스의 유형 16
2. 메타버스와 청소년의 건강한 성장에 대한 연구 19
1) 기술의 발달이 청소년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 19
2) 메타버스 기술과 청소년의 성장에 대한 연구 26
Ⅲ. 메타버스 활용사례와 청소년정책의 시사점 36
1. 메타버스에 대한 일반적 활용 현황과 사례 36
1) 기업 및 민간 부문의 메타버스 41
2) 공공 및 지자체 부문의 메타버스 44
2. 메타버스에 대한 교육 분야의 활용사례 48
3. 메타버스에 대한 청소년 분야의 횔용사례 49
4. 메타버스에 대한 해외의 교육적 활용사례 49
1) 미국 49
2) 일본 51
3) 독일 52
4) 영국 55
5) 호주 56
6) 기타 국가 56
5. 기존 연구의 한계와 메타버스를 활용한 청소년정책 혁신 방향 57
Ⅳ. 메타버스 활용에 대한 청소년 인식조사
1. 응답자의 인적 특성 62
2. 인식조사 결과 63
1) 메타버스 이용 경험 63
2) 메타버스 활용 기대 효과 64
3) 미래사회 대응을 위한 청소년기관(시설) 개선 필요성 67
4) 청소년기관(시설) 이용 장애요인 70
5) 청소년기관(시설) 이용시 중요한 시설 및 환경73
6) 온라인 활동 시 불편사항 75
7) 청소년기관(시설)에서 메타버스 활용 시 분야별 기대 수준 78
8) 메타버스 관련 기술에 대한 관심도 81
9) 청소년 서비스에 있어 메타버스의 활용 가능성 83
10) 메타버스를 활용한 청소년 활동의 기대 효과 84
3. 소결 87
Ⅴ. 메타버스 활용에 대한 청소년 행동실험 및 제작체험 분석
1. 메타버스 체험이 청소년에 미친 영향 91
1) 연구 설계 91
2) 실증전략 92
3) 조사내용 93
4) 기초통계량 95
5) 회귀모형 96
6) 추정결과 97
7) 소결 99
2. 메타버스 활용을 위한 메타버스 제작 체험 분석 100
1) 메타버스 활용을 위한 메타버스 제작 청소년 면담 개요 100
2) 메타버스 제작 청소년에 대한 면담 내용 105
3) 시사점 109
Ⅵ. 청소년 메타버스 활용에 대한 전문가 의견 및 IPA, AHP 분석
1. 메타버스 활용에 대한 전문가조사 개요 113
2. IPA 분석 결과 115
1) 청소년 대상 메타버스 서비스 제공 IPA 결과 115
2) 메타버스 관련 국정과제 IPA 결과 122
3) 메타버스 관련 국정과제에 대응하는 메타버스 활용방안 IPA 결과 128
4) 제6차 청소년정책기본계획에 근거한 메타버스 활용방안 IPA 결과 134
3. 메타버스 유형 및 메타버스 서비스 유형에 대한 전문가 의견 AHP분석 139
1) 개요 139
2) 메타버스 유형별 중요성 140
3) 메타버스 서비스 유형별 중요성 141
4. 소결 143
Ⅶ. 정책 제언
1. 메타버스 이용 청소년 보호를 위한 법 제정 149
1) 제언 배경 149
2) 정책 대안 149
3) 관련 추진체계 154
4) 기대효과 154
2. 메타버스 관련 미래형 경제활동과 경제가치 교육 155
1) 제언 배경 155
2) 정책 대안 156
3) 관련 추진체계 157
4) 기대효과 158
3. 청소년기의 메타버스 관련 미래인재 육성 활성화 159
1) 제언 배경 159
2) 정책 대안 160
3) 관련 추진체계 161
4) 기대효과 162
4. 메타버스를 활용한 교육격차 해소와 사교육 경감 163
1) 제언 배경 163
2) 정책 대안 163
3) 관련 추진체계 165
4) 기대효과 166
5. 메타버스를 활용한 청소년 맞춤형 사회안전망 구축사업 ··168
1) 제언 배경 168
2) 정책 대안 169
3) 관련 추진체계 171
4) 기대효과 172
6. 미래 청소년활동 프로그램 현대화 173
1) 제언 배경 173
2) 정책 대안 174
3) 관련 추진체계 176
4) 기대효과 177
7. 메타버스 플랫폼을 통한 청소년 참여확대 177
1) 제언 배경 177
2) 정책 대안 178
3) 관련 추진체계 179
4) 기대효과 180
8. 메타버스를 활용한 개인 심리정서 지원사업 180
1) 제언 배경 180
2) 정책 대안 181
3) 관련 추진체계 183
4) 기대효과 184
9. 증강현실(AR)과 가상세계(VR)을 활용한 학교교육 연계 185
1) 제언 배경 185
2) 정책 대안 185
3) 관련 추진 체계 188
4) 기대효과 189
참고문헌 191
부 록 203
1. 메타버스 관련 청소년 실태조사 설문지 205
2. 청소년의 메타버스 활용에 대한 행동실험조사 설문지 212
3. 전문가 의견조사 설문지 220
4. 청소년 면접조사 질문지 231
- Publisher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Appears in Collections:
- 연구보고서 > 기본연구보고서
- 공개 및 라이선스
-
- 원문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