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빈곤 실태와 자립안전망 체계 구축방안 연구Ⅱ
- Abstract
- 본 연구는 총 3개년 연속연구과제의 2차년도 연구로서 청년 빈곤의 다차원적인 실태, 청년 빈곤의 이행경로 분석, 교육훈련 및 주거 빈곤을 중심으로 한 빈곤 인식과 정책 욕구를 토대로 자립안전망 구축방안을 마련하고자 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하고 있다. 금년도 연구의 주요내용은, 첫째, 청년 빈곤과 관련된 개념화 논의, 선행연구 분석, 관련 정책 및 법제도에 대한 고찰, 주요국 해외사례 분석, 둘째, 우리나라 청년의 빈곤 현황에 관해 1차년도에 개발하여 수립한 6개 영역의 총 12개 청년 다차원 빈곤 지표에 대해 다차원적인 실태 분석 및 정책적 시사점 제시, 셋째, 청년 빈곤 문제 주요영역에 대한 실태, 인식, 정책에 관한 욕구 조사 및 분석, 넷째, 청년 빈곤의 2차년도 중점영역인 교육훈련 및 주거 영역에 대한 심도있는 이해를 위해 청년층 심층면담조사 실시, 다섯째, 정책제언 및 결론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에서는 다양한 분석결과를 근거로 청년 빈곤을 예방하고 해소하기 위한 자립안전망 체계 구축과 관련하여 금년도 중점주제인 교육훈련, 주거, 그리고 법제도 기반 및 인프라의 3개 분야에 대해 총 12개의 정책과제를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청년 빈곤의 타개와 더불어 성인기로 이행하는 과정에 있는 청년들의 자립을 정책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구체적인 지원방안을 제시하였다.
- Author(s)
- 김형주; 장근영; 박미선; 정세정; 변금선; 배정희
- Issued Date
- 2022
- Type
- Report
- Keyword
- 청년; 빈곤청년; 자립안전망
- URI
- https://www.nypi.re.kr/repository/handle/2022.oak/5990
-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2. 연차별 연구추진계획 8
3. 연구내용 9
4. 연구방법 10
Ⅱ. 청년 빈곤에 관한 선행연구 및 정책동향 고찰
1. 청년 빈곤의 개념화 논의 13
2. 청년의 교육훈련 및 주거 빈곤 관련 선행연구 고찰 20
3. 청년 빈곤 관련 정책 및 법제도 동향: 니트 및 주거정책을 중심으로 25
4. 해외 청년 빈곤 정책 추진 동향 43
Ⅲ. 청년 빈곤 실태 분석
1. 청년 빈곤의 분류 틀 및 지표 65
2. 우리나라 청년의 다차원적 빈곤 실태 68
3. 청년 주거 빈곤 심층 분석 100
Ⅳ. 청년 빈곤 관련 인식 및 정책욕구에 관한 조사: 교육훈련과 주거를 중심으로
1. 조사 개요 121
2. 청년의 교육훈련 123
3. 청년의 주거 212
4. 요약 및 시사점 310
Ⅴ. 청년 빈곤의식 심층면담: 교육훈련과 주거를 중심으로
1. 면담조사 개요 317
2. 면담조사 분석결과 321
3. 요약 및 시사점 366
Ⅵ. 자립안전망 체계 구축을 위한 정책 제언 및 결론
1. 정책 비전 및 분야 375
2. 정책 제언 376
3. 결론 400
참고문헌 409
부 록 421
- Publisher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Appears in Collections:
- 연구보고서 > 협동연구보고서
- 공개 및 라이선스
-
- 원문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