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을 위한 디지털 역기능 예방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내용 및 방법
1) 디지털 역기능 예방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을 위한 도구 문항 개발 과정
2) 디지털 역기능 예방 매뉴얼 개선을 위한 전문가 의견 조사
3) 디지털 역기능 예방교육 진행 및 효과성 검증 절차
Ⅱ. 청소년 디지털 역기능 예방 프로그램 소개 및 효과성 검증 척도 개발
1. 2차년도에 개발된 청소년 디지털 역기능 예방 프로그램 소개
2. 설문의 개발
Ⅲ. 청소년 디지털 역기능 예방 프로그램의 효과성 분석
1. 초·중·고등학생
1) 디지털중독(스마트폰 중독) 예방교육
2) 사이버따돌림(사이버불링) 예방교육
3) 사이버범죄 예방교육
4) 성인물접촉 예방교육
5) 인터넷도박 예방교육
2. 학교 밖 청소년
1) 디지털중독(스마트폰 중독) 예방교육
2) 사이버따돌림(사이버불링) 예방교육
3) 사이버범죄 예방교육
4) 성인물접촉 예방교육
5) 인터넷도박 예방교육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부 록
- Publisher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Appears in Collections:
- 연구보고서 > 수탁연구보고서
- 공개 및 라이선스
-
- 원문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