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생애핵심역량 개발 및 추진방안 연구 Ⅰ
-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추진체계
3. 연구의 내용
1) 청소년기 생애핵심역량 개념화 및 지표체계
2) 지적 도구 활용 영역 분석 및 측정도구 개발
3) 사회적 상호작용 영역 분석 및 측정도구 개발
4) 자율적 행동 영역 분석 및 측정도구 개발
5) 청소년 생애핵심역량 기반 학습체계 분석
4. 연구의 방법
1) 생애핵심역량 개념화 및 하위요소 구축
2) 생애핵심역량 하위요소 측정도구 개발
3) 청소년기 역량 기반 학습체계 추진방안
Ⅱ. 이론적 배경
1. 생애핵심역량의 개념
2. 생애핵심역량의 선별
3. 생애핵심역량의 영역체계
Ⅲ. 사회환경 변화와 핵심역량
1. 환경 변화 분석의 필요성
2. 청소년을 둘러싼 사회 환경 변화
1)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인구구조의 변화
2) 가족구조의 다양화
3) 다문화 가정의 증가
4) 입시위주의 교육환경
5) 취업 불확실성의 증가
6) 첨단기술의 발달
7) 소득 양극화와 아동·청소년 빈곤율 증가
3. 환경 변화에 따른 요구 역량
Ⅳ. 청소년 핵심역량 개념 및 지표체계
1. 전문가 델파이조사 결과
2. 청소년 생애핵심역량 개념 및 영역체계(안)
3. 청소년 생애핵심역량의 영역별 지표체계
4. 측정도구 개발
Ⅴ. 청소년기 역량기반 학습체계 구축방안
1. 역량기반 학습체계 개관
2. 해외 사례 분석
1) 뉴질랜드의 역량중심 교육과정 개혁 사례
2) 캐나다 퀘백 주의 역량중심 교육과정 개혁 사례
3) 호주 빅토리아 주의 역량중심 교육과정 개혁 사례
4) 일본의 학습지도요령을 통해본 역량 논의
3. 시사점
Ⅵ. 요약 및 결론
1. 요약
2. 결론 및 제언
부록
1. 측정도구 예비조사 설문지
2. 전문가 델파이조사(1차) 설문지
3. 전문가 델파이조사(2차) 설문지
- Publisher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Appears in Collections:
- 연구보고서 > 협동연구보고서
- 공개 및 라이선스
-
- 원문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