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청소년정책 20년사
- Table Of Contents
- 목 차
Ⅰ. 한국 청소년 정책 발전 개관
1. 서론
2. 청소년정책의 개념과 의미
3. 청소년 정책의 시기구분
가. 선행연구의 시기구분
나. 본 연구의 시기구분
4. 한국청소년정책의 발전 특성
가. 형성기(1961~1988): 전담화의 시기
나. 성장기(1988~1998): 체계화의 시기
다. 전환기(1998 이후): 특성화의 시기
5. 결론
Ⅱ. 청소년행정·정책의 동향과 과제
1. 서론
2. 청소년행정·정책의 동향
가. 광복에서 청소년육성법 제정까지
나. 중앙정부 청소년정책 전담부서의 출범
다. 청소년보호위원회의 창설과 (국가)청소년위원회로 통합
라. 보건복지가족부 아동청소년(가족)정책실
3. 청소년정책·행정의 성과와 과제
가. 성과와 문제점
나. 전망과 과제
Ⅲ. 청소년 관계법령의 동향과 관계
1. 서론
2. 청소년 관계법령의 동향
가. 전사(정부수립~1986): 근로기준법, 아동복지법
나. 태동기(1988~1990): 청소년육성법, 청소년헌장 제정
다. 도약기(1991~1998): 청소년기본법, 청소년보호법, 청소년성보호법
라. 성장기(1998~2002): 청소년헌장 개정
마. 통합기(2003 이후): 청소년활동진흥법, 청소년복지지원법
3. 청소년 관계법령의 성과와 과제
가. 성과와 문제점
나. 전망과 과제
Ⅳ. 청소년단체·시설 및 지도자제도의 동향과 관계
1. 서론
2. 청소년단체·시설 및 지도자제도의 동향
가. 청소년단체
나. 청소년시설
다. 청소년지도자
3. 청소년단체·시설 및 지도자제도의 성과와 관계
가. 청소년단체
나. 청소년시설
다. 청소년지도자
- Publisher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Appears in Collections:
- 연구보고서 > 수시연구보고서
- 공개 및 라이선스
-
- 원문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