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이 행복한 마을 지표개발 및 조성방안 연구Ⅰ
- Alternative Title
- 총괄보고서
- Abstract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정신건강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필요한 정책수립의 과학적 기반을 제공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청소년이 행복한 마을지표’ 초안을 구성했다. 본 지표는 I수준: 개인적 영역, II수준: 가정·학교·지역사회 영역, III수준: 제도영역으로 나누어 청소년의 삶의 질과 행복을 결정하는 요인들을 축약했다. 본 지표에 기초해 16개 시·도의 청소년(중·고등학생), 교사, 학부모, 공무원을 대상으로 주관적 지표 조사를 실시하고, 행정통계자료를 수집하여 2013년 현재 한국 청소년들의 삶의 질과 행복 실태를 측정하였다. 조사 결과, 지난 1개월 간 자주 혹은 매일 행복감을 느꼈다는 응답은 중학생 중 49.6%, 고등학생 중 38.6%에 그쳤다. 중학생 중 27.4%와 고등학생중 32.4%는 지난 한달간 한 번도 행복한 적이 없었다고 응답했다. 청소년들의 행복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개인차 변인은 경제적 요소와 학업성적이었다. 청소년 행복에 미치는 지역사회 환경 요인의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부모님과의 관계, 동네와 학교에서의 따돌림 경험, 거주환경의 위생수준과 안전수준, 지역사회의 문화행사와 환경개선 활동 참여, 학교에서의 아동권리 교육과 매체를 통한 의견표현 가능성이었다. 청소년과 학부모·교사의 삶의 현황과 인식의 차이가 발견되었으며, 지표들에 있어 시·도별 차이 역시 발견되었다. 교사들은 지표별 평가와 주관적 삶의 질이 전반적으로 우수한 반면, 학부모와 청소년의 지표 평가와 삶의 질은 낮았다. 공무원과 교사들은 교육영역과 건강·보건영역, 참여영역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내린 반면, 교사들은 놀이·여가 영역, 공무원들은 안전·보호 영역의 지표를 가장 부정적으로 평가했다. 학부모와 청소년의 인식 격차도 뚜렷하게 나타났는데, 경제적 웰빙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서 모든 학부모들이 청소년에 비해 자기 자녀의 생활 여건을 더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부모자녀의 대화횟수가 적고, 자녀에 대한 희망교육연수가 많으며, 부모가 맞벌이를 하지 않는 경우에 인식 차이가 더 컸다. FGI 결과, 어머니의 불안감은 자녀에게 공부에 대한 요구와 기대로 표출되면서 부모-자녀관계를 악화시키는 악순환을 야기하고 있었다. 다만 출생순위가 후순위거나 자녀가 딸인 경우 성공과 미래에 대한 기대와 압박이 덜한 경향을 보였다. 본 지표를 16개 시·도별로 비교한 결과, 부산과 인천·제주 지역의 지표들이 우수했으며, 울산과 경북, 전북 지역이 부정적이었다. 특히 울산지역은 경제적 웰빙 영역 지표를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부정적인 양상을 보여 청소년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지자체의 정책적 노력이 가장 시급한 지역임을 시사했다. 지표 평가결과와 해당 지역 청소년들의 삶의 질은 전반적으로 일치하는 양상을 보여 본 지표의 타당성을 지지했다.
- Author(s)
- 장근영; 배상률; 성은모; 이혜연; 김균희; 이용교; 홍승혜
- Issued Date
- 2013
- Type
- Report
- Keyword
- 행복마을; 청소년 행복; 청소년 행복지표; 청소년정책; YCHI
- URI
- https://www.nypi.re.kr/repository/handle/2022.oak/3261
- Table Of Contents
- 목차
제 1 장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내용
제 2 장 이론적 배경
1. 청소년 행복의 개념
2. 청소년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제 3 장 청소년이 행복한 마을지표(YCHI)의 구성
1. 청소년이 행복한 마을의 개념
2. 청소년이 행복한 마을 지표의 구성요인
3. 청소년이 행복한 마을 지표의 선정 기준 및 지표안
4. 지표 타당도 평가 결과
5. 청소년이 행복한 마을 최종지표 산출
제 4 장 청소년 행복지표 조사결과
1. 조사개요
2. 표본설계
3. 조사문항 구성
4. 주요 조사 결과
제 5 장 청소년이 행복한 마을 지표 시도별 분석결과
1. 시도별 청소년의 평가 결과(주관적 지표만 분석)
2. 시도별 청소년의 평가 결과(주관적 및 객관적 지표 분석)
3. 영역별 청소년ㆍ학부모ㆍ교사의 인식 차이
제 6 장 16개 시·도 청소년정책 시행계획 분석결과
1. 연구의 목적과 내용
2. 2012년 청소년정책 추진성과
3. 2013년 청소년정책 시행계획
제 7 장 국제 교류 협력
1. 해외 연구기관과의 파트너십
2. 그 밖의 국제 교류
제 8 장 정책 제언
참 고 문 헌
부 록
- Publisher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Appears in Collections:
- 연구보고서 > 기본연구보고서
- 공개 및 라이선스
-
- 원문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