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YPI

소외계층 진로교육 활성화 방안

Metadata Downloads
Abstract
이 연구는 진로교육법 제5조(“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장애인, 북한이탈주민, 저소득층 가정의 학생 및 학교 밖 청소년 등 사회적 배려대상자를 위한 진로교육 시책을 마련하여야 한다.”)에 의거하여 특수교육대상학생, 이주배경청소년, 학교부적응 학생 및 학교 밖 청소년 등 소외계층을 위한 진로교육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우선 소외계층 집단별 현황과 특성, 진로요구 수준을 살펴보고, 이들을 위한 진로교육 정책 현황과 정책의 한계점 및 향후 과제를 분석한 후, 소외계층 진로교육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소외계층 집단별 현황과 특성을 제시하면, 우선 특수교육대상학생의 약 70%는 지적장애 학생이며 이들 중 약 54%는 일반학교 특수학급에 재학하고 있다. 이주배경청소년은 다문화가족청소년, 중도입국청소년, 탈북청소년, 외국인근로자자녀 등 다양한 하위집단으로 구성된다. 학교부적응 유형 역시 수업 및 학업부적응, 정서적 부적응, 인간관계 부적응, 규칙 위반형 부적응, 공격성 부적응, 획일적 학교제도 거부형으로 구분되는 등 다양하며, 학교 밖 청소년은 학교를 그만 둔 이후의 경험 사건 분류를 통해 학업, 직업, 무업, 비행형 등으로 구분 가능하다. 이들 집단은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낮은 자존감으로 인한 심리적 위축 및 소극적 태도, 기초학력 부족, 자기이해 부족, 사회적 지지의 부족 등의 특성을 보이며, 낮은 진로의식 수준, 진로정보 부족과 높은 진로장벽으로 인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진로결정 및 진로준비행동에 대한 욕구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음으로, 소외계층 집단별 진로·직업교육 정책 현황을 살펴보고, 진로교육 목표 및 방향, 진로교육 콘텐츠, 진로교육 교수방법, 진로교육 전달체계 및 여건개선을 기준으로 진로·직업교육 정책의 한계점 및 향후 과제를 분석하였다.
상술한 분석 내용을 토대로, 소외계층 집단별 진로교육 활성화를 위한 4대 기본 방향을 제시하고, 4개 추진전략 및 10개 세부과제를 제안하였다.
Author(s)
김정숙연보라
Issued Date
2018
Type
Report
Keyword
소외계층특수교육대상학생이주배경청소년학교부적응학교 밖 청소년진로교육
URI
https://www.nypi.re.kr/repository/handle/2022.oak/3127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2. 용어의 정의 4
3. 연구 내용 6
4. 연구방법 7
1) 문헌연구 7
2) 전문가 포럼 및 자문조사 7
5. 연구보고서의 구성 9

Ⅱ. 소외계층 집단별 현황, 특성 및 진로요구 11
1. 세부 유형 및 현황 13
1) 특수교육대상학생 13
2) 이주배경청소년 18
3) 학교부적응 학생 및 학교 밖 청소년 23
2. 특성 및 진로요구 27
1) 특수교육대상학생 27
2) 이주배경청소년 31
3) 학교부적응 학생 및 학교 밖 청소년 35
3. 요약 40

Ⅲ. 소외계층 진로·직업교육 정책 현황, 한계점 및 개선방안 43
1. 소외계층 집단별 진로·직업교육 정책 현황 45
1) 특수교육대상학생 45
2) 이주배경청소년 49
3) 학교부적응 학생 및 학교 밖 청소년 53
2. 소외계층 집단별 진로·직업교육 관련 한계점 및 개선 방안 58
1) 특수교육대상학생 58
2) 이주배경청소년 63
3) 학교부적응 학생 및 학교 밖 청소년 68
3. 요약 73

Ⅳ. 소외계층 진로교육 활성화 방안 77
1. 소외계층 진로교육 활성화를 위한 기본 방향 79
2. 소외계층 진로교육 활성화를 위한 세부 과제 84

참고문헌 113
Publisher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Appears in Collections:
연구보고서 > 수시연구보고서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원문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