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청소년 권리에 관한 국제협약 이행 연구
- Alternative Title
- 한국 아동·청소년 인권실태 2019 심화분석보고서
- Abstract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청소년들이 경험하는 폭력피해 및 인권존중 경험의 잠재유형을 발견하고 그 특성을 이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첫째, 보호자의 체벌, 언어폭력, 방임, 학교 선생님의 체벌과 언어폭력, 학교 친구나 선후배의 구타 및 언어폭력과 따돌림, 사이버 상의 원치 않는 사생활 공개 및 언어폭력, 성폭력(성희롱과 성추행)의 11개 폭력유형을 활용하여 청소년들의 폭력피해 잠재유형을 분류하였다. 자기인권평가는 청소년들이 가정, 학교, 사회, 사이버 상의 4가지 환경에서 자신의 인권이 존중받는 정도에 대한 인식을 토대로 자기인권평가 잠재유형을 발견하였다. 둘째, 분류한 폭력피해 및 자기인권평가 잠재유형이 청소년의 정신건강(자아존중감, 우울, 자살생각)과 관련하여 어떠한 특성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셋째, 각 잠재유형의 예측변인을 밝히고자 하였으며, 성별, 학년, 주관적 건강상태, 성적, 가정형편, 가정과 학교에서의 존중정도, 지역사회 안전도를 독립변인으로 활용하였다. 마지막으로 폭력피해 및 자기인권평가의 잠재유형이 청소년의 차별가해 행동 및 인권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잠재유형을 독립변인으로, 성별, 학년, 자아존중감, 차별피해경험, 가정, 학교에서의 폭력경험 및 존중경험, 지역사회 안전도 등을 통제변인으로 활용하였다. 한국 아동·청소년인권실태 2019년 조사에 참여한 중고등학생 6,409명의 설문응답을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고, 기술통계, 집단 간 평균 및 빈도 비교 및 회귀분석, 잠재집단 및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폭력피해 경험은 무피해 집단, 가정 내 피해 집단, 교사피해 집단, 다중피해 집단의 4개 잠재유형으로 분류되었고, 자기인권평가는 높은 자기인권평가 집단과 낮은 자기인권평가 집단의 2개의 잠재유형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다중피해 집단은 우울감 및 자살생각 빈도에서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고 그 다음으로는 가정 내 피해 집단, 교사피해 집단, 그리고 무피해 집단의 순서로 우울과 자살생각 빈도가 높았다. 높은 자기인권평가 집단은 낮은 자기인권평가 집단에 비해 우울, 자아존중감, 자살생각에서 모두 양호한 특성을 보여주었다. 셋째, 폭력피해 잠재유형별 예측변인을 살펴본 결과, 무피해 집단에 비해서 여학생인 경우 가정 내 피해 집단에, 남학생인 경우 교사피해 집단에 소속될 가능성이 높았다. 학년이 올라갈수록 그리고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다중피해 집단에 소속될 가능성은 크게 감소하였다. 가정 내 피해, 교사피해, 다중피해 집단 모두에 대해 가정에서의 존중 정도, 학교에서의 참여 및 존중 정도가 증가할수록 각 폭력피해 집단에 소속될 가능성은 낮아졌다. 또한 지역사회의 안전도가 높을수록 폭력피해 가능성 역시 줄어들었다. 높은 자기인권평가의 예측변인 가운데 그 영향력이 가장 큰 것은 가정 내에서 부모에게 의견을 존중받는 것과 부모로부터의 폭력을 경험하는 것이었다. 학교에서 존중받고 참여하는 것 역시 청소년이 높은 자기인권평가 집단에 소속되는데 영향을 미쳤다. 지역사회의 안전도가 높을수록, 학업성적이나 가정형편이 좋을수록 높은 자기인권평가 집단에 소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넷째, 폭력피해의 잠재유형이 차별가해 행동 및 인권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을 때, 다중피해 집단에 소속된 경우 다른 폭력피해 잠재유형에 소속된 것에 비해 차별가해 행동을 큰 폭으로 증가시켰다. 폭력피해 잠재유형 가운데 인권의식에 영향을 미친 것은 가정 내 폭력피해 집단뿐이었고 무피해 집단에 비해 가정 내 폭력 피해 집단에 소속된 경우 인권의식이 오히려 조금 더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다섯째, 자기인권평가 잠재유형은 차별가해 행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자기인권평가 잠재유형 가운데 높은 자기인권평가 집단에 속한 것은 인권의식의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폭력피해 경험을 줄이고, 인권존중 경험을 증가시킬 방안을 논의하였으며 다중폭력피해 청소년들에 대한 개입전략을 제안하였다.
- Author(s)
- 강지영
- Issued Date
- 2019
- Type
- Report
- Keyword
- 폭력피해 경험; 인권존중 경험; 잠재유형예측변인; 차별가해 행동; 인권의식; 아동청소년인권실태조사
- URI
- https://www.nypi.re.kr/repository/handle/2022.oak/3077
-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2. 연구문제 6
Ⅱ. 이론적 배경 7
1. 폭력피해 유형과 정신건강 9
2. 폭력피해 유형의 예측변인 12
3. 청소년의 자기인권평가의 개념 및 예측변인 14
4. 청소년의 차별가해 행동 15
5. 청소년의 인권의식 17
Ⅲ. 연구방법 19
1. 연구대상 21
2. 연구변인 21
3. 분석 방법 28
Ⅳ. 연구결과 29
1. 연구대상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31
2. 잠재유형 분류 32
3. 잠재유형별 정신건강 37
4. 잠재유형의 예측변인 38
5. 폭력피해 및 자기인권평가 잠재유형의 영향 42
Ⅴ. 결론 및 논의 47
1. 결론 및 논의 49
2. 실천적 제언 56
3. 연구의 한계점 61
참고문헌 63
Abstract 71
- Publisher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Appears in Collections:
- 연구보고서 > 기본연구보고서
- 공개 및 라이선스
-
- 원문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