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YPI

지역사회 청소년 체험활동의 자유학기제 연계 운영방안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청소년(수련)시설과 학교의 협업을 중심으로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청소년 체험활동과 자유학기제의 지속가능한 연계 운영방안을 개발하고 이를 지원하는 정책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지역사회 청소년시설 및 단체가 체험활동 자원을 자유학기제와 지속적으로 연계하는 성공적인 핵심요인을 포함하는 연계 운영방안을 개발하고 정책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지역사회 청소년 체험활동의 확대와 함께 자유학기제의 성공적 시행을 지원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지역사회 청소년 체험활동의 의미는 청소년시설 및 단체로서 청소년수련관과 청소년문화의집에서의 체험활동을 말하며, 연계운영의 의미는 일회성, 행사성 사업이 아니라 한 학기 약 8회차 이상의 지속가능한 연계운영으로서 협업을 말한다.
본 연구의 특징은 지역사회 청소년시설 및 단체의 입장에서 학교 자유학기제와 지속적 연계 운영방안을 개발한 점이며, 단위 학교와 단위 지역시설 차원에서 실무자의 실행을 지원하는 연계 운영방안을 개발하고 이를 지원하는 정책방안을 제시한 점이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 현장사례조사, 실증적 자료분석, 심층면담, 전문가집단 설문조사, 워크숍을 활용하였다. 첫째, 현장 사례조사로서 지역체험활동과 자유학기제 연계 운영과정과 효과성을 분석결과, 문제점으로는 진로직업체험 영역으로 자유학기제 프로그램의 범위 제한, 공모사업 운영지침에 따른 예산활용 및 사업실행시기 등의 제약, 청소년시설의 전문성과 역량에 따른 프로그램 수준의 차이 및 참여자 모집에 대한 부담, 자유학기제 운영에 대한 교사의 준비도와 관심부족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유학기제 연구학교(2014-2015)의 지역연계 실증적 자료분석 결과, 지역시설 활용비율은 평균 74%이며, 이중 청소년수련시설 활용비율은 평균 54%로 과반수 이상으로 나타나 시․군․구 수련관 설치비율(82.4%), 읍․면․동 문화의집 설치비율(6.7%)을 확대하는 것이 요구된다. 셋째, 심층면담 결과, 핵심요인을 도출하여 협업사항으로서 연계 운영방안을 개발하였으며 기획단계의 사전실무협의, 실행실무협의, 사전교육이 가장 중요한 핵심요인으로 나타났다. 청소년지도사가 전문성을 가지고 외부강사 위탁을 줄이고 직접 중요프로그램을 운영하기 위한 준비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web 설문조사 결과, 자유학기제 연계운영 경험자(청소년지도사, 교사, 장학사) 85명은 지역-학교 자유학기제 연계운영이 중요하다(99%)고 응답했다. 연계 실행방안 중요도 우선순위(1-5순위형 다중응답분석) 분석결과, 사전실무협의(1순위), 연계운영방식 준비(2순위), 학생수요조사 및 프로그램개발(3순위), 총괄평가 및 차년도 연계사업 준비(4순위)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자유학기제 지역연계 운영 경험이 있는 청소년지도사, 교사, 장학사를 조사대상으로, 심층면담(8명)과 전문가집단 설문조사(85명)를 실시하여 연계 운영방안 개발과 핵심사항에 대한 우선순위를 분석하여 정책방안 도출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정책과제와 추진방안은 설문조사 1-5순위 다중응답분석(중요도 우선순위) 결과에서 도출된 항목을 중심으로 연구협의를 통하여 최종 확정된 것이다. 정책과제별로 문제현상, 문제원인, 추진방안, 추진 Tip, 법․예산․추진체계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3개 영역별 9개의 정책과제로는 기관별 자체자원분석 및 사전실무협의, 자유학기 프로그램 실행실무협의, 담당자 사전교육, 학생 수요에 기반한 자율참여 증진, 정부공모사업의 확대, 공공청소년기관에 자유학기활동 프로그램 사업비 지원, 청소년지도사를 내부강사로 확보 및 교육역량 강화, 교사의 교육과정 개선과 지역사회 이해 및 관계형성 역량강화, 청소년시설 청소년지도사의 인력배치 인원증대로 도출되었으며, 이를 위한 추진 로드맵을 제시하였다.
Author(s)
임지연김한별한도희
Issued Date
2016
Type
Report
Keyword
청소년체험활동자유학기제청소년활동시설
URI
https://www.nypi.re.kr/repository/handle/2022.oak/3035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3
2. 연구추진체계 5
3. 연구내용 6
1) 지역사회 체험활동, 자유학기제 및 연계모형에 대한 문헌고찰 6
2) 지역사회 체험활동과 자유학기제 연계 운영을 위한 핵심요인 분석 6
3) 지역사회 체험활동과 자유학기제 연계 운영방안 6
4. 연구방법 7
1) 문헌연구 7
2) 전문가 자문 7
3) 현장 사례조사 8
4) 자유학기제 연구학교의 지역연계 자료 분석 10
5) 면담조사 : 심층 개별면담 10
6) 전문가집단 설문조사 10
7) 워크숍 및 정책협의회 11
8) 청소년정책 리포트 발간 12

Ⅱ. 이론적 배경 13
1. 자유학기제의 목적 및 현황 15
1) 자유학기제의 목적 및 주요내용 15
2) 체험활동과 자유학기제 관련 법률 및 정부 계획 19
3) 자유학기제․진로체험지원센터의 역할과 현황 21
2. 중앙정부와 지자체의 지역사회 체험활동 지원사업 23
1) 중앙정부 차원의 지역사회 체험활동 지원 사업 23
2) 지자체 차원의 지역사회 체험활동 지원 사업 36
3) 시사점 38
3. 자유학기제 운영학교의 지역사회 체험활동 연계운영 사례 39
1) 지역사회 청소년 관련 기관과의 연계운영 유형 39
2) 지역사회 청소년 관련 기관과의 우수 연계 사례 42
3) 시사점 44
4. 선행연구와의 차이점 45

Ⅲ. 질적․양적 조사결과 및 시사점 53
1. 현장 사례조사 결과분석 55
1) 사례조사 개요 및 분석방법 55
2) 청소년시설 및 학교의 사례 분석결과 : 연계 운영과정 58
3) 시사점 79
2. 자유학기제 연구학교와 청소년수련시설의 연계 실증적 자료 분석 83
1) 2015년 자유학기제 연구학교의 청소년수련시설 활용실적 분석 84
2) 2014년 자유학기제 연구학교의 청소년수련시설 활용실적 분석 88
3) 청소년(수련)시설 에서의 자유학기제․진로체험지원센터 현황 분석 92
4) 시사점 : 학교의 청소년수련시설 활용 관점에서 협업 관점으로의 전환 96
3. 면담조사 결과분석 : 연계 운영방안 개발 100
1) 면담 조사개요 및 분석방법 100
2) 청소년지도사 및 교사의 분석결과 : 협업 방안 핵심요인 101
3) 결론 및 시사점 : 협업 방안의 핵심요인 103
4. 전문가집단 설문조사 결과분석 107
1) 설문 조사개요 및 분석방법 107
2) 청소년지도사, 교사․장학사 분석결과 : 협업의 핵심사항에 대한 우선순위 109
3) 시사점 116

Ⅳ. 정책방안 : 지역 청소년시설의 자유학기제 협업방안 123
1. 협업 방안 개요 : 절차 및 핵심사항 126
1) 지역사회 청소년시설의 자유학기제 연계운영 절차 126
2) 핵심요인과 협업 방안 128
2. 협업 지원을 위한 정책방안 130
1) 학교와 청소년시설의 자유학기 활동 사전 협력체계 구축 133
2) 학생 수요에 기반한 자유학기 활동 프로그램 제공 143
3) 지역 청소년시설의 청소년지도사와 교사 역량개발을 통한 지역교육력 강화 152
3. 추진 로드맵 160

참고문헌 163
부 록 171
[부록 1] 현장 사례조사지 : 청소년지도사 및 교사(연계운영 경험자) 173
[부록 2] 면담 조사지 : 청소년지도사용/교사용(연계운영 경험자) 176
[부록 3] 설문 조사지 : 청소년지도사/교사․장학사(연계운영 경험자) 178
Publisher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Appears in Collections:
연구보고서 > 기본연구보고서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원문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