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력적 거버넌스의 관점에서 지역사회 청소년 성장지원 네트워크의 과정적 운영요소 및 운영효과 분석: 부천시, 유성구, 곡성군 시범사업 지역을 대상으로
- Alternative Title
- An analysis of the operational elements and effects of a youth growth support network in a local community from the perspective of cooperative governance: Targeting the pilot project areas of Bucheon-si, Yuseong-gu, and Gokseong-gun
- Abstract
- 이 논문에서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3년간의 지역사회 청소년 성장지원 네트워크 지원사업을 대상으로 지역사회 청소년 성장지원 네트워크의 운영요소, 운영효과 등 협력적 거버넌스의 구축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3차년도 시범사업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기관 네트워크 운영에 관한 전수조사를 실시하였다(79.2% 응답). 분석결과, 첫째, 목표설정, 신뢰관계, 의사결정 규범, 참여자 책무성, 운영구조의 효율성 등 과정적 운영요소들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둘째, 서비스 효율성 제고, 서비스 역량 제고, 지역사회 공감 및 참여 증대, 지역사회 독립적 자생력 증대, 전체 운영효과 등 운영효과들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셋째, 참여자 책무성과 운영구조의 효율성이 운영효과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지역사회 청소년 성장지원 네트워크의 효과가 있으며, 타 지역사회로의 확대 적용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Author(s)
- 황세영; 이경상
- Issued Date
- 2023-02-28
- Type
- Article
- Keyword
- 지역사회 청소년 성장지원 네트워크; 연계협력; 청소년 성장지원
- DOI
- 10.14816/sky.2023.34.1.5
- URI
- https://www.nypi.re.kr/repository/handle/2022.oak/3018
- Publisher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Appears in Collections:
- 정기간행물 > 한국청소년연구
- 공개 및 라이선스
-
- 원문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