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YPI

청소년 빅데이터 체계 구축 및 활용방안 연구

Metadata Downloads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 대상 빅데이터 체계 구축의 가능성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체계 구축을 위한 제안점을 도출함으로써 청소년 빅데이터 체계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함은 물론 정형 빅데이터와 비정형 소셜 빅데이터를 활용한 분석을 시도함으로써 청소년관련 이슈에 대해 어떻게 예측이 가능한지를 확인해 보고 청소년빅데이터 체계가 추후 청소년관련 미래변화나 정책수요를 예측하고 위험요소를 조기 발견, 예방하는데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등에 관한 구체적 방안을 도출,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 국내·외 문헌 고찰, 빅데이터 분석방법론에 관한 콜로키움, 외국의 빅데이터 체계 구축 및 활용 사례 검토, 청소년 핵심 온톨로지 개발, 빅데이터 체계 구축, 활용 방안 등에 대한 전문가 자문, 전문가 심층면접, 전문가 설문조사, 정책협의회 등을 활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가 심층면접 결과 청소년 빅데이터가 실질적으로 다루어야 할 사안과 관련하여 응답자들은 크게 생애설계적 관점과 생애수정적 관점을 강조하였다. 둘째, 전문가 설문조사 결과 공공 영역 빅데이터 사용시 불편하거나 개선했으면 하는 사항으로 개인정보 보호로 인한 접근의 제한성이 37.5%로 가장 많았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 빅데이터 체계 구축 방안 및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Author(s)
서정아성윤숙송태민
Issued Date
2020
Type
Report
Keyword
빅데이터미래예측청소년정책
URI
https://www.nypi.re.kr/repository/handle/2022.oak/2973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2. 주요 연구내용 6
1) 빅데이터에 관한 이론적 배경 검토 6
2) 청소년 지표체계와 빅데이터 온톨로지 개발 6
3) 외국의 아동·청소년 빅데이터 구축 사례 검토 7
4) 빅데이터 체계 구축 및 활용방안 모색을 위한 전문가 조사(심층/설문) 7
5) 정형 빅데이터 사례 분석 실시 8
6) 비정형 빅데이터 사례 분석 실시 8
7) 청소년 빅데이터 체계 구축 및 활용을 위한 비전 및 전략, 세부 정책과제 도출 8
3. 연구방법 9
1) 문헌연구 9
2) 전문가 자문 9
3) 양적 연구 10
4) 질적 연구 10
5) 기타 연구방법 11

Ⅱ. 이론적 배경 13
1. 빅데이터의 개요 15
1) 청소년 빅데이터의 개념 15
2) 청소년 빅데이터의 필요성 16
3) 국내 아동·청소년 빅데이터 구축 및 활용 현황 18
2. 아동·청소년 빅데이터 관련 선행연구 28
3. 빅데이터의 활용 및 분석 32
1) 비정형 빅데이터의 활용 32
2) 비정형 빅데이터의 분석 34
4. 빅데이터 개인정보보호 방안 35
1) 개인정보, 프라이버시, 익명성의 개요 36
2) 빅데이터 활용에서의 개인정보보호방안 39
3) 시사점 42

Ⅲ. 청소년 빅데이터 분류 체계 43
1. 청소년 빅데이터 분류 체계 기준 자료 검토 45
2. 청소년 빅데이터 분류 체계 관련 개선 의견 58
3. 통계청 아동·청소년 관련 통계 현황 조사 66

Ⅳ. 외국의 아동ㆍ청소년 빅데이터 체계 구축 사례 67
1. 미국의 아동·청소년 빅데이터 체계 구축 및 활용 사례 69
1) 서론 69
2) 미국의 빅데이터 체계 현황 71
3) 정책 사례 82
4) 우리나라의 정책적 시사점 96
2. 영국의 아동·청소년 빅데이터 체계 구축 및 활용 사례 103
1) 데이터 구축 및 공개에 관한 주요 정책 103
3. 호주의 아동·청소년 빅데이터 체계 구축 및 활용 사례 139
1) 호주의 빅데이터 정책 139
2) 호주의 청소년 빅데이터 현황 172
3) 호주의 청소년 빅데이터 적용 사례 180
4) 우리나라에 대한 시사점 187
4. 외국의 아동·청소년 빅데이터 체계 구축?활용 사례 소결 및 시사점 188

Ⅴ. 전문가 심층면접 199
1. 심층면접 개요 201
1) 조사 목적 201
2) 연구 대상 201
3) 조사도구 202
4) 연구절차 204
2. 심층면접에 대한 분석 205
1) 빅데이터 개념 및 중요성 205
2) 청소년 빅데이터의 개념 212
3) 국내외 빅데이터 체계 구축 상황과 우수사례 216
4) 빅데이터 활용 경험 220
5) 활용 가능한 정형, 비정형 빅데이터 유형 224
6) 청소년 대상 빅데이터 지표 체계 분류 영역 228
7) 청소년 대상 빅데이터 활용 방안 240
8) 청소년 대상 빅데이터 체계 구축 방안 263
9) 청소년 빅데이터 체계 구축 및 활용의 발전방향 277
3. 소결 281

Ⅵ. 전문가 조사 289
1. 조사대상 일반특성 291
2. 빅데이터 사용 경험 292
1) 공공 영역 빅데이터 사용 연구·분석 경험 292
2) 민간 영역 빅데이터 사용 연구·분석 경험 299
3. 빅데이터 관련 욕구 304
1) 빅데이터에 대한 관심 및 활용 희망 여부 304
2) 빅데이터 활용 희망하지 않는 경우 이유 305

Ⅶ. 결론 및 제언 307
1. 청소년 빅데이터 체계 구축을 위한 비전 및 전략 309
2. 청소년 빅데이터 체계 구축 및 활용을 위한 세부 정책과제 도출 311
1) 빅데이터 활용 향상을 위한 세부 정책과제 311
2) 미래예측을 위해 우선적으로 구축되어야 할 청소년 관련 빅데이터 세부 정책과제 312
3) 아동·청소년 분야 빅데이터 체계 구축을 위한 세부 정책과제 313
3. 청소년 빅데이터 온톨로지(안) 제시 316

참고문헌 319
부 록 335
Abstract 361
Publisher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Appears in Collections:
연구보고서 > 기본연구보고서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원문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