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YPI

2021 아동·청소년 권리에 관한 국제협약 이행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한국 아동·청소년 인권실태 총괄보고서
Abstract
이 연구는 유엔아동권리협약이행 모니터링과 아동·청소년 인권실태 분석을 통해 아동·청소년의 인권 현황을 파악하고 인권정책 개발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한 제3기 아동·청소년 인권 연구의 5차년도 과제이다.
이 연구는 아동·청소년 인권실태를 파악하고 진전 상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데이터 수집체계를 마련하라는 유엔아동권리위원회의 권고에 따라 시작되어 2017년 제3기 연구부터 아동권리협약이행 모니터링을 강화하여 추진하고 있다.
국가승인통계인 ‘아동·청소년 인권실태조사’는 초등학교 4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매년 실시하여, 아동권리협약에 기반한 ‘아동·청소년 인권지표체계’ 115개 지표 항목 중 42개 지표 항목의 결과를 생산하는 데 활용된다. 조사결과는 아동·청소년의 인권실태와 인권상황 진전 정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시계열 자료로 축적되고 있으며 국가통계포털(KOSIS)과 마이크로데이터 통합서비스(MDIS)에 원자료와 통계표를 탑재하고 있다.
유엔아동권리협약이행 모니터링을 위해서는 전문가협의회, 워크숍, 의견조사 등을 실시하여 제5?6차 아동권리협약 권고사항 이행 성과와 한계를 점검하고 향후 과제를 도출하였다. 최종적으로 유엔아동권리협약이행 모니터링과 인권실태 분석 등을 통해 17개의 주요 정책과제를 제안하였다. 최종 산출물은 총괄보고서, 심화분석보고서, 기초분석보고서 등 총 3종이며, 인권데이터의 이론적 활용도 제고를 위한 소논문인 심화분석보고서의 2021년도 주제는 ‘인권인식과 학교문화’이다.
Author(s)
김영지유설희최홍일이민희김진호
Issued Date
2021
Type
Report
Keyword
아동인권아동권리청소년인권청소년권리인권지표인권실태조사유엔아동권리협약모니터링아동청소년인권실태조사
URI
https://www.nypi.re.kr/repository/handle/2022.oak/2934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3
2. 연구내용 및 연구방법5
3. 연구의 체계도12

Ⅱ. 아동·청소년 인권 관련 국제협약이행 동향과 아동·청소년 인권지표체계
1. 아동·청소년 인권 관련 국내외 동향17
2. 유엔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와 아동·청소년 인권지표46
3. 2021년 아동·청소년 인권지표체계의 개선70

Ⅲ. 아동·청소년 인권지표 결과 분석 : 2021 아동·청소년 인권실태
1. 조사개요 및 방법85
2. 인권일반 및 일반원칙93
3. 시민적 권리와 자유144
4. 폭력 및 학대183
5. 가정환경 및 대안양육221
6. 장애, 기초 보건과 복지257
7. 교육, 여가 및 문화적 활동340
8. 특별보호조치379

Ⅳ. 아동·청소년 권리에 관한 국제협약 이행 분석 : 제5·6차 유엔아동권리위원회 권고사항 이행 성과와 과제
1. 협약 모니터링 개요439
2. 인권일반 및 일반원칙451
3. 시민적 권리와 자유457
4. 폭력 및 학대462
5. 가정환경과 대안양육469
6. 장애, 기초보건 및 복지474
7. 교육·여가 및 문화 활동481
8. 특별보호조치488

Ⅴ. 정책 제언
1. 정책제언을 위한 논의501
2. 주요 아동·청소년 인권정책과제523

참고문헌545

부 록
1. 2021년 아동·청소년 인권실태조사 설문지(초등용·중등용)589
2. 제5·6차 유엔아동권리위원회 권고사항별 소관 부처(요약)620
3. 제5·6차 유엔아동권리위원회 권고사항별 소관 부처(전체)628

국문665

Abstract667
Publisher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Appears in Collections:
연구보고서 > 기본연구보고서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원문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