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l. 62_가출청소년 보호지원 실태 및 정책과제 연구
- Abstract
- • 가출청소년 지원정책은 ‘보호자의 동의 없이 하루 이상 무단으로 귀가하지 않는 행위’보다,
‘상당 기간 동안 일정한 거주지 없이 주거 적절성이 낮은 곳에서 생활하는’ 상황에 초점이 맞
추어져야 함.
※ 우리나라 중·고교생 10명 중 1명이 가출을 경험하고 있으며, 1990년 유엔총회에서 ‘청소년 지위비행 규정’
철폐 권고, 2011년 유엔인권이사회의 ‘거리청소년의 인권보호와 범죄화 중단 촉구’ 결의안 채택 참조
• 2차 자료분석 결과, 가출빈도가 2회 이상인 집단은 가출경험이 없거나 1회인 집단에 비하여
가정환경, 정신건강, 비행 등 모든 영역에서 취약성을 보임. 조사시점 현재, 가정복귀가 가
능한 청소년은 입소자의 32%에 불과하고, 청소년쉼터 1개소 당 가정폭력·아동학대 피해자
는 약 4명, 자살시도는 약 1.6명에 달함.
• 가출청소년 대상 심층면접 결과, 아동·청소년기에 노숙을 경험한 청소년은 정책 사각지대
에서 생존권을 위협받고 범죄의 가·피해 경험이 이후 생활전반에 지속적으로 부정적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남. 따라서 아웃리치(out-reach) 강화를 통한 신속한 조기발견, 가출
청소년의 청소년쉼터 접근성 및 이용률 제고를 위한 시설환경의 개선 등이 요구됨.
• 정부가 청소년쉼터 운영을 지원한 지 10년이 지난 현시점에서, 가출청소년 보호지원을 위한
중·장기 정책수립이 요구됨.
• 특히 유엔인권이사회의 권고를 기반으로, ‘가출은 비행’이라는 접근에서 탈피하고 가출 전·
후 위기상황(at-risk)에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예방 및 개입전략이 요구됨. 이를 위해
가출청소년 지원정책은 비행청소년 선도가 아닌 인권보호 관점에서 설계되어야 할 것임.
- Author(s)
- 김지연
- Issued Date
- 2015-09-30
- Type
- Issue Paper
- Keyword
- 가출청소년; 보호지원
- URI
- https://www.nypi.re.kr/repository/handle/2022.oak/2591
- Table Of Contents
- 1. 청소년의 가출경험과 특성
2. 청소년쉼터 운영여건
3. 정책 제언
- Publisher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Appears in Collections:
- 정기간행물 > Bluenote 이슈 & 정책
- 공개 및 라이선스
-
- 원문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