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l. 114_제4차 산업혁명시대 대비 청소년활동정책 전략 연구
- Abstract
- 이 연구에서는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지능정보사회에 적합한 청소년 역량함양을 위해 청소년활동시설의 프로그램, 지도
자, 시설들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세부 정책과제들을 제시해보고자 하였음.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첫째, 문헌연구를 통해 지능정보기술들의 도입과 사회변화 전망, 청소년활동정책의 변화방항
등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전개하였고, 둘째, 공공 청소년 활동시설 대상의 온라인 설문조사와 사례조사를 실시하여
대응실태를 살펴보았고, 셋째, 설문조사, 사례조사, 전문가의견조사, 청소년정책포럼을 통해 발전전략을 모색해보았음.
이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17개 세부 정책과제들을 제시하였음. 프로그램분야에는 1) 지능정보기술 관련 프로그램의
확대, 2) STEAM/메이커관련 프로그램의 체계적 도입 및 확산, 3) 청소년 자기주도적 참여 기반의 활동프로그램 실시,
4) 사회정서 함양 프로그램의 강화, 5) 소통합리성 함양 프로그램의 강화, 6) 진로체험교육프로그램에서 진로탄력성관련
내용의 강화, 7) 지능정보기술관련 진로직업체험프로그램의 강화, 8) 4차 산업혁명관련 윤리교육 강화의 8개 과제를
제시하였음. 시설분야에는 9) 청소년활동 분야의 빅데이터 구축, 1이 활동프로그램 개발/개선/운영에서 AR/VR 기술의
적용 확대, 11) 4차 산업혁명관련 외부기관과의 협력네트워크 강화, 12) 4차 산업혁명관련 설비/기자재의 공급 강화,
13) 청소년활동시설 운영의 스마트화 추진, 14) 국립청소년시설의 4차 산업혁명관련 거점화의 6개 과제를 제시하였음.
지도자분야에는 15) 활동시설 지도자 대상 4차 산업혁명관련 정보제공 확대, 16) 청소년 지도자 대상 4차 산업혁명관련
직무모형 개발 및 직무연수 실시, 17) 예비청소년지도자의 4차 산업혁명 역량강화의 3개 과제를 제시하였음.
- Author(s)
- 이경상; 이창호; 김민
- Issued Date
- 2019-06-30
- Type
- Issue Paper
- Keyword
- 제4차 산업혁명시대; 청소년활동정책
- URI
- https://www.nypi.re.kr/repository/handle/2022.oak/2539
- Table Of Contents
- 1. 연구의 목적 및 내용
2. 연구결과
3. 정책제언
- Publisher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Appears in Collections:
- 정기간행물 > Bluenote 이슈 & 정책
- 공개 및 라이선스
-
- 원문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