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l. 115_학교 밖 청소년 지역사회 지원모델 개발연구Ⅰ : 질적 패널조사를 중심으로
- Abstract
-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기 이행과정에 있는 학교 밖 청소년의 변화과정을 추적하여 이들의 생활세계에 대해 심층적으로
분석하는 것임. 또한 지역단위에서 학교 밖 청소년을 성장시키고 자립시키기 위한 지역사회 지원모델을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음.
이를 위해 학교 밖 청소년에 대한 질적 패널조사를 통해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와 자신에 대한 인식과 현재 겪고 있는
생활세계의 특성을 분석하였고, 시•군•구 학교 밖 청소년 관련기관의 책임자, 실무자, 이용 청소년에 대한 심층면접을
통해 지역별 학교 밖 청소년 지원모델을 탐색하였음. 또한 국내•외의 학교 밖 청소년 지역사회 지원사례를 파악,
비교하여 시사점을 제시하였음.
이 같은 과정을 거처, 본 연구에서는 무업화 예방 정책의 필요성, 대안교육적 지원의 필요성, 직업형과 무업형 청소년에
대한 적극적 개입의 필요성, 지역사회 생태계 구축의 필요성, 학교 밖 청소년을 위한 진로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하였음.
우선, 학령기 진로교육과 직업훈련의 강화, 20대 무업청소년의 발굴과 직업훈련 및 취업지원 등에 대한 정책이
강화되어야 함. 또한 단순한 검정고시나 복학을 장려하는 것이 아닌 동기강화, 자립에 필요한 기술 습득 등의 대안교육적
지원이 필요함. 학교 밖 청소년들의 지역사회 생활권을 고려하여 다양한 욕구를 지원할 수 있는 지역생태계를 조성해야
함. 마지막으로 학교 밖 청소년을 위한 진로교육은 직업교육 및 취업지원까지 연계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지역별 청소년
직업교육훈련 시설의 확충이 필요함.
- Author(s)
- 윤철경
- Issued Date
- 2019-07-31
- Type
- Issue Paper
- Keyword
- 학교 밖 청소년; 지역사회 지원모델; 질적 패널조사
- URI
- https://www.nypi.re.kr/repository/handle/2022.oak/2538
- Table Of Contents
- 1. 연구의 목적 및 내용
2. 연구결과
3. 정책제언
- Publisher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Appears in Collections:
- 정기간행물 > Bluenote 이슈 & 정책
- 공개 및 라이선스
-
- 원문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