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YPI

Vol. 124_정보기술을 활용한 위기청소년 사회서비스 확충 방안

Metadata Downloads
Abstract
2017년 10월 대통령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가 출범한 이래 사회·공공·산업·기술 등 각 분야 정책과 공공부문에서
빅데이터, 인공지능(AI) 등 지능정보기술 활용, 초지능·초연결 사회기반 구축 작업이 급속하게 전개됨.

최근에는 촘촘한 사회안전망 구축의 일환으로 정부차원에서 정보기술을 활용한 복지 사각지대 발굴, 학대위기아동
조기발견 시스템을 운용하고 있어 위기청소년 지원정책 전반에서도 정보기술의 활용 가능성을 본격적으로 검토해야 할
시점임.

특히 그간 위기청소년 정보망은 개별 사업들이 확장되는 과정에서 유사 정보시스템 간의 연계·통합에 대한 고려 없이
산발적으로 구축되었고, 개인정보 보호 문제로 서비스 제공 주체 간 정보 공유가 미흡하여 발굴 문제와 ‘연결의 실패’가
고질적인 난제로 고착화됨.

이에 이 연구에서는 현행 위기청소년 정보망의 한계와 문제를 진단하여 정보시스템 개선 방향을 검토하고 ‘위기청소년을
한 명도 놓치지 않는 촘촘한 안전망 구축’을 위해 새로운 정책수단의 일환으로 지능정보기술의 활용 방향과 추진과제를
모색함. 이를 위해 청소년 및 전문가 의견조사, 공공·소셜 빅데이터 분석 등을 실시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함.
Author(s)
김지연이경상
Issued Date
2020-08-31
Type
Issue Paper
Keyword
위기청소년사회서비스
URI
https://www.nypi.re.kr/repository/handle/2022.oak/2529
Table Of Contents
1. 위기청소년 정보시스템 진단과 과제
2. 지능정보기술의 활용 분야 : 청소년 인식조사
3. 지능정보기술의 활용 방향과 우선순위 : 전문가 의견조사
4. 위기청소년 지원을 위한 공공·소셜 빅데이터 활용 가능성과 시사점
Publisher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Appears in Collections:
정기간행물 > Bluenote 이슈 & 정책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원문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