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YPI

Vol. 131_청소년지도자 양성시스템 재구축 방안 연구Ⅱ

Metadata Downloads
Abstract
국가자격 청소년지도자 양성시스템을 점검하고 개선하기 위하여 2019년부터 2020년까지 2년에 걸쳐 「청소년지도자
양성시스템 재구축 방안 연구」를 수행함. 1차 년도에는 청소년지도사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고, 2차 년도인
2020년에는 청소년상담사를 대상으로 양성시스템 재구축 방안을 제시함.

청소년상담사의 양성은 「청소년기본법」 등과 관련 법률을 근거로 자격검정과 연수, 보수교육 체계를 갖추고 운영되고
있음. 최근 제4차 산업혁명 등 청소년을 둘러싼 사회환경 변화로 인해 청소년상담사에게 요구되는 역량 등 양성과정에
있어 새로운 변화를 요구하고 있음.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소년 상담사 양성 관련 국내·외 문헌을 검토하였고, 청소년상담사의 직무와
핵심역량, 자격검정제도, 처우개선 사항 등에 대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하여 시·도 및 시·군·구 청소년상담복지센터
상담직군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함. 더불어 정책담당 공무원, 청소년상담관련 전문가, 학계 교수 등을 대상으로
전문가의견조사를 실시함.

이를 통하여 청소년상담사 양성시스템 개선방안을 도출하고, 청소년상담사 보수기준표를 개발함. 청소년상담사
양성시스템 재구축을 위하여 ① 청소년상담사 양성 관련 제도 개선, ② 청소년상담사 양성 관련 인프라 정비,
③ 청소년상담사 양성 관련 연구개발(R&D) 강화의 3영역, 10대 세부과제를 제시함. 청소년상담사 실태조사를
통해 국가직무능력표준의 청소년상담 복지 분야 능력단위에 기초한 직무를 분석하여 직무모형을 제시함. 또한
청소년상담사의 처우개선을 위하여 실태조사 및 타 유사직종과의 비교 등을 바탕으로 일반직공무원 임금체계를
기준으로 보수기준표 및 수당체계를 제시함.
Author(s)
최창욱좌동훈
Issued Date
2021-05-06
Type
Issue Paper
Keyword
청소년지도자청소년상담사
URI
https://www.nypi.re.kr/repository/handle/2022.oak/2522
Table Of Contents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결과
3. 정책제언
Publisher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Appears in Collections:
정기간행물 > Bluenote 이슈 & 정책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원문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