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YPI

Vol. 60_청년 핵심정책 대상별 실태 및 지원방안 연구Ⅲ

Metadata Downloads
Abstract
조사목적 ▶ 국제적으로 다른 국가들에 비해 높은 수준을 보여주고 있는 청년 이직 문제와 관련하여 청년들의 전반적인 이직 실태 파악 및 정책적 대안 모색을 위해 「청년 사회 경제실태조사」(국가승인통계 제402004호)에서 청년 이직에 대한 부가조사를 실시하였음.

조사대상 ▶ 전국 17개 시·도에 거주하는 만18세~34세의 일반 국민 중 3,520명
▶ 전체 응답자 분포를 보면, 남자 1,855명(52.7%), 여자 1,665명(47.3%), 만18~19세 477명(13.6%), 만20~24세 1,095명(31.1%), 만25~39세 1,050명(29.8%), 만30~34세 898명(25.5%)임.
▶ 전체 응답자(19~34세) 중에서 일 경험이 있는 청년은 78.0%로 2,514명이며 이들 중 이직을 경험한 청년은 46.7%였음.

조사방법 ▶ 태블릿PC를 활용한 개별면접조사(TAPI: Tablet PC Aided Personal Interview)

조사내용 ▶ 일한 경험이 있는 청년에게 이직의사와 이직 경험, 이직 사유와 이직 요인을 질문

조사기간 ▶ 2020년 5월 말~10월 말(8월 말 계획이었으나 코로나19 영향으로 조사기간이 연장됨)
Author(s)
김기헌신동훈
Issued Date
2021-11-06
Type
Issue Paper
Keyword
청년 이직자청년 핵심정책
URI
https://www.nypi.re.kr/repository/handle/2022.oak/2457
Table Of Contents
1. 청년 이직 경험
2. 청년 이직 사유
3. 청년에게 이직이 미친 영향
4. 청년 이직 경험자의 정부 지원 수급 경험
Publisher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Appears in Collections:
정기간행물 > Bluenote 통계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원문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