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안교실에 대한 담당자의 인식 유형 및 지원 방안
- Alternative Title
- The perception types and support plans of the person in charge of alternative classrooms in schools
- Abstract
- 본 연구는 대안교실 담당자의 인식을 심층적으로 탐색하고 그에 따른 주요 과제를 도출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문헌연구와 심층면접을 통해 500여 개의 Q모집단을 구축하였으며, 중복 진술문 삭제 및 유목화 과정을 거쳐 최종 30개의 Q표본을 선정하였다. 대안교실 담당자 총 31명을 대상으로 Q분류를 진행한 결과, 대안교실에 대한 담당자의 인식 유형은 4가지로 확인되었다. 1유형은 ‘대안교실 지원 제도 체계화형’으로 학생 맞춤형 교육이라는 취지에 맞게 운영될 수 있도록 지원 제도를 정비하는 것을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2유형은 ‘적극적 업무 수행을 위한 근거 마련형’으로 담당자의 사명감을 중시하였으며, 대안교실 담당자로서 권위를 가지고 적극적으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운영에 대한 명확한 근거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3유형은 ‘업무 과중으로 인한 소진형’으로 업무 과부하로 인한 한계를 느끼고 있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인센티브 부여와 같은 동기부여 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 4유형은 ‘협력 강화 우선형’으로 대안교실의 취지와 목적을 정확히 설명하는 홍보를 통해 관리자, 동료교사, 학부모의 협력을 이끌어내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담당자의 역량 강화’, ‘명확한 법적 근거 마련’, ‘담당자 동기부여’, ‘취지와 목적에 대한 홍보’를 대안교실 발전을 위한 주요 과제로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학생 맞춤형 교육으로의 전환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는 시점에서 대안교실에 대해 논의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으며, 대안교실에 참여하는 다양한 주체들에게 대안교실 발전을 위한 계획을 수립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Author(s)
- 문세진; 지슬비; 김다인
- Issued Date
- 2021-11-30
- Type
- Article
- Keyword
- 학교 내 대안교실; 대안교육; 인식 유형; Q방법론
- DOI
- 10.14816/sky.2021.32.4.135
- URI
- https://www.nypi.re.kr/repository/handle/2022.oak/2333
- Publisher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Appears in Collections:
- 정기간행물 > 한국청소년연구
- 공개 및 라이선스
-
- 원문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