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변화 궤적 유형화: 유형 예측요인과 유형별 심리·사회적응
- Alternative Title
- Acculturative stress amongst multicultural adolescents: Patterns, predictors, and psychosocial outcomes
- Abstract
- 국내 다문화 청소년은 지속적인 증가 추이에 있으며, 이들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심리사회적 적응을 예측하는 주요 변수로서 통합적인 탐색의 의의가 있다. 이 연구는 다문화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변화 궤적을 유형화하고, 이를 예측하는 스트레스 조절 자원으로서 이중문화 수용태도, 사회적 지지, 자존감의 역할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또한 문화적응 스트레스 변화 유형에 따라 우울, 삶의 만족도, 학교적응이 달라지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문화청소년패널 2, 3, 4차년도 조사에 참여한 초등학교 5학년~중학교 1학년 시기 다문화 청소년 1,376명의 응답을 활용하였다. 먼저 잠재계층성장분석을 통해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변화 궤적을 유형화하였으며, 다항로지스틱회귀분석을 통해 스트레스 조절 자원의 유형 예측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통해 스트레스 변화 유형에 따라 스트레스 결과 요인이 달라지는지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다문화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변화 유형은 증가형, 감소형, 하위유지형으로 구분되었다. 둘째, 초등학교 5학년 시기 스트레스 조절 자원 중 가족지지, 친구지지, 자존감이 증가형 및 감소형에 비해 하위유지형을 예측하였다. 셋째, 문화적응 스트레스 변화 유형에 따라 중학교 1학년 시기 우울, 삶의 만족도, 학교적응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발달적 특성과 개인차를 바탕으로 정책적 지원이 이루어질 때, 다문화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건강을 도모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Author(s)
- 은선민; 이수현; 이강이
- Issued Date
- 2019-05-31
- Type
- Article
- Keyword
- 문화적응 스트레스; 다문화 청소년; 스트레스 과정 모델; 잠재계층성장분석; 다문화청소년패널
- DOI
- 10.14816/sky.2019.30.2.177
- URI
- https://www.nypi.re.kr/repository/handle/2022.oak/2244
- Publisher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ISSN
- 1225-6336
-
Appears in Collections:
- 정기간행물 > 한국청소년연구
- 공개 및 라이선스
-
- 원문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